품목정보
발행일 | 2013년 04월 30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120쪽 | 298g | 153*208*20mm |
ISBN13 | 9788997980383 |
ISBN10 | 8997980386 |
발행일 | 2013년 04월 30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120쪽 | 298g | 153*208*20mm |
ISBN13 | 9788997980383 |
ISBN10 | 8997980386 |
감수자의 말 들어가며 : 영국 의회의 ‘세비 스캔들’ 1. 정보의 자유란 무엇일까요? 2. 정보공개제도 3. 정보공개에 대한 찬반 논쟁 4. 정보공개제도를 누가 이용할까요? 5. 공개 대상이 아닌 정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6. 정보공개의 한 방법 : 내부 고발 7. 정보공개제도의 확대 용어 설명 우리나라 공공 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연표 더 알아보기 찾아보기 |
시민들은 유권자와 납세자로서 정부의 일에 대해 알 권리가 있습니다.
시민들의 투표로 정부의 고위 공무원들이 선출되고 정부는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운영되니까요.
시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정부가 치러야 하는 비용이 너무 많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정부의 의사 결정 과정은 왜 그리도 비밀스럽고 폐쇄적인 걸까요?
다국적 기업이나 정부처럼 거대한 규모의 조직에서 폐쇄주의가 자연스레 싹튼다고 말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정보공개제도는 정부가 폐쇄 주의라는 덫에 빠져 실패하지 않도록
견제하는 일종의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셈이다.
정보공개제도가 단순히 시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차원을 넘어 이른바 정부
실폐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보공개제도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들은 정보공개의 효과에 비해 비용이 너무 크다고 주장 합니다.
정보공개 때문에 정부가 치러야 하는 인력적, 재정적 낭비에 주목합니다.
정보의 자유를 찬양하는 건 쉽지만 정작 그런 서비스를 제공해아 하는 공공
기관 입장에서 현실적인 문제가 한두 개가 아니라는 이야기 이죠
정말 국가 정보 공개 하는게 맞는 걸까요??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할 교양 시리즈 23번째 이야기 국가정보 공개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까 ? 이 책은 이제 초등 5학년이 된 우리 아이가 한번 읽어보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이에게 살짝 권해 본 책 인데요 책의 내용이 국가 정보공개에 대한 내용이라 초등학교 아이가 어떻게 받아들일지 이해는 잘 하면서 읽을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우선 이 책에서는 정보의 자유와 정보 공개 제도 정보 공개에 대한 찬반 논쟁,정보 공개제도를 누가 이용하는지,공개 대상이 아닌 정보에는 무엇이 있는지,정보 공개의 한 방법 내부고발과 정보공개제도의 확대 등의 소단락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사실 우리 아이는 이 책을 보면서 조금은 어렵다는 이야기를 하더라구요..자신의 관심 분야가 아닌 처음 접하는 부분이라 잘 이해 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이 커 가면서 책을 통해서 정보 공개란 무엇인지 세계의 여러나라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법을 통해 정보공개를 하고 있는지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또 각 그 안건을 재정하는데 대한 찬성과 반대론을 제시해 줌으로써 아이들 스스로 그 안건에 대해 어떻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찬성인지 반대인지에 대해 이야기도 나누어 볼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알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세더잘 시리즈를 처음접하는 우리 아이는 정보 공개에 관한 책은 좀 어려웠지만 이전에 나왔던 비만이나 ,동물실험, 성형수술,등을 주제로한 책들은 더 읽고 싶다고 하네요..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할 교양 시리즈는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그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사고를 넓히게 해 주는 책 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세더잘 시리즈에서 또 다른 책이 출간 되었다. 이번엔 '국가 정보 공개'라는 주제인데... 이번 주제 역시 웬지 나에겐 무척 낯설다. 매번 세더잘 시리즈를 읽을때 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이 책 역시 덮고 난 후 큰 배움의 느낌이 있을것 이라는 기대를 해본다. 막연히 알고는 있지만, 아이에게 정확한 의미를 설명해 주기엔 역부족인 나의 짧디 짧은 지식들을 이 시리즈를 통해 많이 배워온것 같다.
국가 정보 공개 제도가 무엇인지, 개념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이 제도의 장단점, 이와 관련된 용어 설명과 법률등 우리의 권리이고, 벌써 도입된지 꽤 되었지만, 조금 생소한 국가 정보 공개 제도에 대해 체계적인 지식을 익힐 수 있다. 한가지 더 정보 공개 열람하는 방법까지 설명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렇게 생소하던지... 전혀 모르고 있었던 부분이다.
이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은 일반적으로 알아야 할 사회적 문제나 이슈들이지만, 정작 관심을 두지 않고 무심했던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일깨워 줌으로써 그 주제에 대해 자연스레 관심을 갖게 됨은 물론이고 교양을 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지식과 함께 객관적인 찬,반 양론에 관해 서술되어 있어 나의 생각을 다시 한번 정리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조금은 어려워 할수 도 있는 여러 주제들을 다룸으로써 사회적 이슈나 문제들에 대해 흥미를 느껴 동참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더불어 사고력을 넓힐 수 있는 기회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