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후 기록형 데일리 플래너 쓰는 법>
1) To-Do List 작성:
전날 저녁에 내일 해야 할 일을 미리 적는다. 중요한 일부터 순서대로 1번에서 6번까지 기록한다. 아래쪽에 0번으로 표기된 곳에는 중요도와 관계없이 오늘 안에 처리해야 할 잡다한 일을 쓴다. 투 두 리스트는 당일 아침에 쓰는 것도 괜찮지만, 전날 저녁에 쓰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전날 저녁에 다음 날 할 일을 적어두면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목표 지향적으로 바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2) 타임 라인 작성:
시간 기준으로 왼쪽에는 사전 계획, 오른쪽에는 사후 기록을 한다. 사전 계획란에는 투 두 리스트에 있는 일정을 시간대별로 적을 수 있다. 시간 양쪽에 사전 계획과 사후 기록을 기록할 수 있어서 계획을 얼마나 지켰는지 바로 비교할 수 있다. 또 어떤 일을 할 때 예상했던 시간보다 더 오래 걸리거나 더 빨리 끝나는 등의 변수를 파악하기에 좋다. 만야겡 업무를 했다면 어떤 업무를 했는지 최대한 자세히 기록해야 한다.
3) 물, 식사 기록:
물, 식사 같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매일 기록할 수 있는 칸이다.
이런 방식으로 플래너를 작성하면 자신의 시간에 대한 주도권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사후 기록을 하는 목적은 내가 생각지 못한 순간에 무의식적으로 흘려보내고 낭비하는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해서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저녁 시간을 알뜰하게 활용하고 싶다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일을 하는 루틴을 만드는 것이 좋다.
이렇듯 사후 기록 데일리 플래너를 통해 저녁 시간 활용을 할 수 있고 포코도로 테크닉을 통해 저녁 루틴으로 정해진 일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포모도로 테크닉: 45분 집중-15분 휴식
포모도로 타이머는 집중력을 높이고, 단위 시간당 일의 효율을 가장 높여주는 도구다. 포모도로 타이머란 토마토 모양 주방 타이머를 말한다. 그리고 ‘포모도로 테크닉’이란 이름처럼 타이머를 맞춰놓고 일을 하는 것이다. 일에 집중하는 시간에는 일 외의 다른 것을 하지 않는 데 의의가 있다.
포모도로 테크닉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집중 시간에는 절대로 다른 일을 하지 않고, 쉬는 시간에는 반드시 쉬는 것이다. 또한 이 테크닉은 제대로 쉬는 것도 제대로 일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산만하고 잡생각이 많은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이다.
시간관리의 가장 큰 적은 휴식 시간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제대로 쉬지도, 제대로 일하지도 못한 채 어영부영 지나간 시간이다. 즉 의식하지 못핸 채 지나긴 시간이다. 이렇게 지난 시간은 그냥 내 인생에서 삭제된 시간이다. 이렇게 삭제된 시간을 모두 합쳐보면 헛되이 시간을 낭비한 것에 대해 억울하고 아깝다는 기분이 될지도 모른다.
하고 싶은 게 많은데 시간이 없다면 진짜 시간이 없는 것인지, 가장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덜 하고 싶은 것을 포기할 용기가 없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아무 것도 포기하지 않으면서 혹은 노력하지 않으면서 그저 시간이 없다며 넘 쉽게 단념하지 않았는지 돌아보자.
중요한 일을 중심으로 다른 모든 중요하지 않은 자질구레한 일은 삭제해보자. (p.135)
이렇듯 저녁시간 활용법을 통해 루틴을 만들어서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루틴 만들기 3단계가 있다.
<루틴 만들기 3단계>
1단계: 작게 만들기
일단은 목표를 가장 작은 단위의 루틴을 만들어야 한다. 작은 단위로 루틴을 만들어야 나중에 하나씩 추가해서 더 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루틴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작게 만든다는 것은 과제의 단위를 작게 만든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과제 자체를 쉽고 재미있게 만든다는 의미도 포함된다. 시작은 최대한 작게 해서 허들을 낮추로 불필요한 욕심에 과도하게 질주하는 것을 멈추어야 할 것이다.
2단계 매일 같은 시간에 반복하기
루틴으로 만든 일들이 습관이 되도록 매일 같은 시간에 반복해야 한다.
3단계 일정 시간 버티기
저녁 시간에 루틴을 실천하는 것이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지속가능하도록 꾸준히 해야 한다.
"모든 일에 힘을 잔뜩 주지 말자."
강한 의지를 발동하려면 에너지가 많이 들지만 습관에 의한 실천은 그렇지 않다.의지와는 반대로 의식을 덜 하면 덜 할수록 좋다.
"실천은 의지가 아니라 습관으로 하는 거예요."
저자는 의지력이라는 말 대신 실천력이라는 말을 쓴다 심리적인 면에서도 의지라는 말을 자주 쓰는 건 좋지 않다고 말한다. 사소한 일에도 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 말은 부정적으로 변한다. 왠지 그 일은 힘들고, 하기 싫고 억지로 해야 하는 일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사소한 일은 그냥 별거 아닌 마음으로 하자.
모든 일에 힘을 잔뜩 주는 건 쓸데없이 자신을 너무 고되게 만든다.
"뭐든 하기 싫다는 생각이 들기 전에 해야만 할 수 있다"
행동을 시작하는 순간 신기하게도 감정은 달아나고, 실천은 지속할 수 있다.
이처럼 저녁 루틴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실천이고 지속 가능성이다. 의지가 습관으로 굳어서 실천이 될 때까지 꾸준히 계속해서 해야 하는 것이다.
저녁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어떻게 시간을 잘 관리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은 달라질 것이다. 우리가 무심코 흘려보내왔던, 피곤하다는 핑계로 제대로 관리하지 않던 저녁 시간이 이제 되살아난다. 이제는 자신의 본업 외에 자신의 제 2의 일과 인생을 찾으며 살아가야 한다. 자신이 하는 업무가 자신이 원하는 일이 아니더라도 괜찮다. 어쩌면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은 월급을 받기 위해서 마지못해 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저자의 말처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직업에 구애받지 말고 저녁 시간을 활용해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다. 그 시간을 통해서 자신의 못다한 꿈을 이룰 수 있고, 나아가 저자처럼 하나의 직업이 아닌 여러 직업을 가진 N잡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설령 N잡러가 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최소한 나만의 시간이라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 또한 이 책을 읽고 저녁 시간 관리의 중요성과 저녁 루틴 만들기의 필요성을 배웠다. 아직은 육아와 집안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하루에 1시간 아니 30분이라도 나만의 저녁 루틴을 만들어서 매일 꾸준히 실행해서 또 다른 내가 되고 싶다. 어쩌면 그 루틴을 통해 은퇴 후 나의 제 2의 인생을 준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소한 저자의 말대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기 때문에 즐겁고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을 통해서 나를 찾고 나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것 자체만으로도 나에겐 의미있는 일이다.
이제는 "퇴근 언제 하지?" 보다는 "퇴근해서 머하지?" 를 고민해야 할 때이다. 아마도 당신에게 못다한 꿈이 있거나,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저녁 시간을 활용해서 그 꿈을 이루거나, 하고 싶은 일을 하면 어떨까? 아마도 당신이 꾸준히 한다면, 당신의 인생이 달라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