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4지도로 보는 세계의 역사와 지리 … 11* 세계 지역을 구분하는 명칭* 대지구대에서 4대 문명으로* 고대에 탄생한 4대 제국* 기마유목민에 의한 유라시아의 일체화* 크게 전환되는 바다의 세계* 자본주의 경제는 대서양으로부터 탄생했다* 국민국가(근대정치 시스템)의 보급* 두 번의 세계대전으로 유럽의 시대 종언* 세계사 간략 대조 연표* 세계의 지리와 기후1장 세계사의 기원 … 331 ‘대지구대’에서 시작된 여행2 세계사의 다음 무대는 ‘대건조지대’로2장 4대 하천 문명의 출현 … 411 ‘관개’가 만들어낸 도시와 국가2 월등히 부유한 나일 강 유역(이집트)3 부족의 대립이 격렬했던 메소포타미아4 인도반도와 동아시아 문명5 유라시아의 주요 종교와 학문의 기원3장 지역별로 등장한 제국 시대 … 671 말과 전차에 의해 ‘제국’이 탄생하다2 최초로 대제국이 출현한 서아시아(이란)3 동지중해의 성장과 최초의 해양 제국 로마4 세계 최초의 습윤지대 제국5 독자적인 내륙 제국을 형성한 중화 제국4장 유라시아의 일체화로 일어난 문명의 대교류 … 1131 기마유목민이 만들어낸 유라시아의 시대2 세계사를 리드한 이슬람의 대정복 운동3 유라시아 규모의 거대상권 성립4 이슬람 제국을 빼앗은 터키인5 몽골 고원에서 시작된 유라시아 통합의 움직임5장 재편되는 유라시아 … 1571 좌절로 끝난 유라시아 제국의 재통일2 크게 둘로 분열된 이슬람 세계3 사상 최대의 중화 제국, 청의 탄생4 ‘큰 세계’ 준비에 나서는 유럽5 모피대국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과 유럽화6장 세계사의 무대를 확장시킨 대항해 시대 … 1891 자본주의를 탄생시킨 대서양 해역2 바다의 시대를 주도한 포르투갈3 대서양 세계를 개척한 콜럼버스4 스페인인에 의해 바뀌어가는 아메리카 대륙5 ‘바다의 시대’를 본격화시킨 해운대국, 네덜란드6 대서양의 패권을 해군력으로 빼앗은 영국7장 대서양이 키운 자본주의와 국민국가 … 2311 설탕 생산에서 자본주의가 태어났다2 산업혁명과 산업도시가 세계사를 주도하다3 도시의 성장을 뒷받침한 세계 규모의 고속교통망4 ‘국민국가’는 미국의 독립전쟁으로부터 확산되었다8장 영국이 이끈 ‘유럽의 세기’ … 2651 대영제국을 지탱한 파운드의 시대2 증기선의 등장으로 작아진 세계3 해체로 내몰린 유라시아 제국들4 영국 vs 독일의 패권 다툼으로 변해가는 세계5 신대륙에서 거대해진 미국6 종속적으로 세계사에 편입된 아프리카와 태평양9장 세계 규모의 시대로 … 3051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과 유럽의 몰락2 새로운 파국으로 향하는 1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3 대공황이 계기가 된 제2차 세계대전4 세계통화가 된 달러와 냉전의 영향5 글로벌화와 불투명한 지구 신시대
|
저미야자키 마사카츠
관심작가 알림신청Masakatsu Miyazaki,みやざき まさかつ,宮崎 正勝
미야자키 마사카츠의 다른 상품
역김진연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진연의 다른 상품
무조건 외우는 것이 아니라 “알고, 생각하기” 위한 역사책 역사분야 베스트 저자, 미야자키 마사카츠의 ‘세계사 결정판.’지금으로부터 200년 전의 지도를 보면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터키), 청 제국(중국), 그리고 무굴 제국(인도)이 유라시아 재역의 대부분을 지배했고, 대서양 주변 지역에서는 유럽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경제와 국민국가체제로 구성된 ‘큰 세계’가 대두했다. 당시 미국은 갓 독립한 나라였고, 호주와 캐나다는 영국의 식민지였다.그러나 200년이 흐른 지금, 유라시아 제국은 붕괴되어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렵고 근대를 견인해 온 유럽도 혼란에 빠지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면서 세계의 중심이었던 대서양이 태평양에 그 자리를 내주고 있다.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이 대하드라마의 관전 포인트는 역사의 ‘맥’을 잘 짚는 것이다. 저자는 35개의 ‘키포인트’를 제시함으로써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던 사건이나 현상을 요소 요소에 배치했다. 또한 세계사의 큰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지도들을 전면에 배치하고 책의 설명을 뒷받침하는 지도들이 중간에 삽입되어 있어 이해를 돕고 있다.세계사가 너무 방대해서 공부할 엄두가 나지 않는다거나, 빠른 시간에 세계사의 주요 포인트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