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이전

작가파일

김상균
국내작가 인문/사회 저자
작가이미지
김상균
국내작가 인문/사회 저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학부생부터 스타트업 종사자, 기업 경영자와 실무자까지 다양한 층을 지도하는 인공지능, 메타버스, 미래 교육 분야의 선구자로, 인간의 마음과 경험을 연구하는 인지과학자이다. 18년간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수강생이 뽑은 명강의’ ‘학생이 선정한 최우수 강의상’에 각각 3회씩 선정되었고, 기업, 교육 기관, 학부모 대상 강연을 2,000회 이상 진행한 강연 섭외 1순위의 교육 전문가로 꼽힌다.

초등 교과 학습 플랫폼인 웅진 스마트올 개발에 3년째 참여하며, 어떻게 해야 학습자가 디지털 세계에서 재미를 느끼고, AI 디지털 교과서의 교육적 효과를 키울 수 있을지를 교육공학, 게이미피케이션, 메타버스, 인공지능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자문한다. 또한 삼성이 주관하는 삼성청년소프트웨어아카데미(SAFFY)에서 커리큘럼 구성, 교수법 등의 설계를 자문한다.

삼성전자 임원을 대상으로 매달 2회씩 ‘첨단 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인류의 미래와 지혜’에 관해 교육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LG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 KBS 등 여러 산업군의 기업 임직원들에게 강의한다. tvN <어쩌다 어른>, JTBC <차이나는 클라스>, SBS <빅퀘스천>, KBS <쌤과 함께> 등의 방송과 여러 유튜브 채널에도 출연해 대중과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

인지과학, 교육공학 분야에서 90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2021년 올해의 책으로 선정된 베스트셀러 《메타버스》를 비롯해, 《초인류》 《AI×인간지능의 시대》 《기억의 낙원》 등 경제경영, 과학, 교육, 소설의 다양한 분야에서 18권의 책을 썼다

작가의 전체작품

작가의 추천

  • “CJ도너스캠프 문예공모가 10회를 맞이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꿈이 자라는 방》에 수록된 아이들의 순수한 상상력과 진심이 담긴 작품들은 세상에 따뜻한 울림을 줍니다.”
  • 거대한 지식과 불안한 오류가 공존하는 AI. 우리는 낯선 그것에 두려워하면서도 매료된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의 미래는 이미 AI와 함께 시작됐다. AI를 교육의 동반자로 삼을지, 두려운 적대자로 남겨둘지는 우리의 선택이다. 살만 칸은 새 교육의 지평을 생동감 있는 사례를 통해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그의 도전에 함께할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작품 밑줄긋기

p.273
AI 생각을 아이들이 외우게 해서는 안됩니다. AI는 정보를 정리하는 도구 AI가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나 그렇게 의견을 만들어내는 이유는 다양한 대안으로 쓰고 있에서 입니다.A가 그 출력한 여러 가지 의견에 같이 쓰임새를 판단하는 책임은 우리 아이들이에게 있습니다.이런 책임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면 AI는 아이들의 사고를 확장하는 새로운 도구들을 정착하리라고 합니다. 쓸만한 도구가 우리에게 생긴 상황입니다. 그러나 이런 책임의 무거움을 피해서 그저 AI 도구가 던져주는 답을 외우고 전달하기만 한다면 아이들은 AI라는 머리에게 쓸만한 팔다리가 될 뿐입니다. 결정은 AI가 하고 그 결정을 실행하는 역할을 아이들이 맡는 상황이니까요.AI를 통해서 하나 도구로 삼을지 아니면 AI의 쓸만한 도구가 될지 인간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인간은 각자 생각한 결과를 나누고 섞는 과정을 통해서 사고를 확정합니다. AI는 그런 과정을 촉진하는 도구입니다. 다만 그런 과정을 AI 하고만 하는 것도 역시 좋지 않습니다.아이들의 사고는 다른 사람들과 교감을 통해 확장되어야 하며 AI가 과정에 보조 도구로 존재하기를 희망합니다

작가에게 한마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