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에선 벌써 사라져버린 ‘부조리시不條理詩’가 새 것으로 유행하는 지금, 자신의 삶을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일에 시의 전부를 건 전윤호의 시는 오히려 신선하다. ‘초현실주의’를 마지막으로 지난 50년간 세계의 시에선 모든 ‘주의主義’가 사그라졌다. 남은 것은 시인의 삶이고, 그 삶을 지탱해주거나 무너트리려 드는 현실이다. 이 둘 사이의 관계가 전윤호의 시에서처럼 지나친 과장이나 분노 없이, 지나친 자괴심 없이, 살아 있는 예를 달리 찾기 힘들 것이다.
그는 자신의 고향 정선의 혼을 ‘도원桃源’이라고 부르지만 이상향으로 그리지 않고, ‘오지奧地’만으로 그리지도 않는다. 일찍 이별한 어머니, 혹은 어머니의 상징 꽃인 별로 화려하지 않은 물봉숭아 정도로 그리워한다. 정선은, “누구도 기다려주지 않는 한밤중/ 정선역까지 밀려왔다면/ 강릉여인숙으로 가자/ 연탄재 부서진 마당엔/ 세상의 배꼽 같은 수도꼭지가 반짝이고/ 빙 둘러선 방들이/ 묶인 배처럼 흔들리는 곳”(「강릉여인숙 1」), 그런 곳이다. 그러면서도 그의 삶의 중심(세상의 배꼽)을 이룬다. 그런 삶이 시를 만드는 고통과 기쁨을 이 시집은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