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크레마클럽 EPUB
eBook 서사의학이란 무엇인가
현대 의학이 나아가야 할 공감과 연대의 이야기 EPUB
가격
17,500
17,500
YES포인트?
87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상세 이미지

소개

저자 소개9

리타 샤론

관심작가 알림신청
 

Rita Charon

컬럼비아대학교 내과 의사, 문학 연구자이다. 컬럼비아 서사의학 프로그램의 설립자이자 상임 이사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필수 서사의학 교과과정 및 서사의학 석사과정을 감독하고 있다.

사얀타니 다스굽타

관심작가 알림신청
 

Sayantani DasGupta

소아청소년과 및 공중보건학을 공부했고, 현재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석사과정, 비교문학 연구소, 민족·인종 연구 센터의 교수이다.

넬리 허먼

관심작가 알림신청
 

Nellie Hermann

브라운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 예술 석사를 졸업했다. 바너드대학에서 글쓰기를 가르치며,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서사의학 프로그램 창작 감독을 맡고 있다.

크레이그 어바인

관심작가 알림신청
 

Craig Irvine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석사과정 프로그램 감독, 서사의학 프로그램 교육 감독, 철학 박사이다.

에릭 마커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Eric R. Marcus

컬럼비아대학교 정신분석 교육 및 연구 센터 주임, 의과대학 임상 정신의학과 교수, 서사의학 프로그램 설립 교수이다.

에드거 리베라콜론

관심작가 알림신청
 

Edgar Rivera-Colon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프로그램 교수로 질적 연구방법을 가르친다.

대니엘 스펜서

관심작가 알림신청
 

Danielle Spencer

컬럼비아대학교 서사의학 프로그램 및 아인슈타인-카르도조 생명윤리 석사과정 교수이다.

마우라 스피겔

관심작가 알림신청
 

Maura Spiegel

20년 동안 컬럼비아대학교와 바너드대학에서 소설과 영화를 가르쳐온 영문과 교수로,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서사의학 프로그램 설립자 중 한 명이다
의료윤리학자. 의료윤리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인이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살피고, 각 의료적 쟁점의 다양한 맥락을 검토한 뒤 내리는 ‘인간의 건강과 삶에 대한 윤리적 판단’이자 ‘최선의 선택’을 가리킨다. 그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이 각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질환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삶과 생활이 깨진 이들을 다시 하나로 불러 모으는 일’은 의료윤리만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약자를 위한 의료, 서로를 보듬어 안는 의료윤리를 꿈꾸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이자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다. 연세대학
의료윤리학자. 의료윤리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인이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살피고, 각 의료적 쟁점의 다양한 맥락을 검토한 뒤 내리는 ‘인간의 건강과 삶에 대한 윤리적 판단’이자 ‘최선의 선택’을 가리킨다. 그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이 각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질환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삶과 생활이 깨진 이들을 다시 하나로 불러 모으는 일’은 의료윤리만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약자를 위한 의료, 서로를 보듬어 안는 의료윤리를 꿈꾸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이자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후 동 병원에서 소아치과 수련 과정을 마쳤다. 군의관 복무 중 의료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윤리 및 건강정책 교실에서 생명윤리 석사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의료인문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저·역서로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누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서사의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응급 상황에서 의료자원 분배 및 백신 접종의 우선순위 설정」, 「능력으로서의 건강 개념과 그 의료정의론적 적용」 등이 있다.

김준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7월 14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76.34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41.4만자, 약 11.3만 단어, A4 약 259쪽 ?
ISBN13
9788962623741

출판사 리뷰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는 것은
의사의 의무이자 능력이다


불과 몇 년 전 글 쓰는 의사들에 대한 책들이 화제가 되었다. 의사로서의 사명감과 고충, 환자와의 관계에서 오는 단상들… 이런 책들에는 환자의 아픔에 대한 공감이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정말로 의사가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는 것이 필요할까? 의사는 치료만 잘하면 의사로서 의무를 다한 것 아닐까? 공감이 치료와 정확히 어떤 관계가 있을까?
책은 공감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사례를 들어 보여준다. 서사의학 프로그램 설립자이자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인 리타 샤론이 소개한 자신의 사례를 보자. 당뇨를 앓던 여성은 내분비과 여러 곳을 전전하다 샤론을 만나러 왔다. 그녀는 흥분한 상태로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샤론은 그녀의 이야기를 가만히 들었다. 그렇게 한참을 이야기하던 여자는 “내가 원하는 건 새로운 치아예요”라고 말한다. 당뇨로 윗니를 모두 잃은 그녀에게 필요한 건 당뇨 치료가 아니라 틀니였다. 샤론은 그녀를 치과로 보내 틀니를 만들게 했고, 그녀는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샤론이 그녀의 이야기를 ‘들었다’는 것이다. 병원의 진료는 의사가 주도한다. 의사가 전문적인 지식과 과학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환자의 상태를 밝혀내는 것이 우리가 알던 진료였다. 그런데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환자의 목소리에는 의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과학적인 데이터에 담기지 않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의사가 환자의 아픔에 공감해야 한다는 것은 환자의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그것을 통해 환자가 정확히 어떤 상태인지를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샤론은 환자의 이야기를 가만히 들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었다. 의사에게 환자의 아픔을 공감하는 것은 의무이자 능력인 이유이다.

공감의 기술을 키우려면
왜 문학적 글쓰기 훈련을 해야 하는가


의료인의 공감이 환자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라면, 왜 문학적 글쓰기가 필요할까? 앞의 사례에서는 환자가 다행스럽게도 무엇이 필요한지 스스로 말해주었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그러지 못한다. 의사는 환자가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를 해석해내고 이를 진단의 근거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공감을 위한 듣기의 기술은 진단의 수단으로서 전문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능력이고, 따라서 공감에는 전문적인 훈련이 요구된다. 그 방법으로 책에서 제시하는 것은 문학적 글쓰기 훈련이다.
문학 텍스트는 그 의미의 해석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환자의 말과 유사하다. 텍스트를 해석하는 능력을 갖춘다면 환자의 말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그러므로 의료인이 하는 문학적 글쓰기는 하나의 문학을 읽고 그에 대한 개인의 감상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치료라는 명확한 목적을 두고 하는 전문적인 훈련이어야 한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글쓰기에 필요한 지시문이 있어야 하고, 글 쓰는 시간은 한정적이어야 하며, 쓴 글에 대해 피드백을 해줄 사회자(퍼실리테이터, facillitator)가 있어야 한다. 지시문은 문학의 특정 부분과 글의 주제를 명확히 제시해야 하고, 사회자는 지나치게 개인적인 이야기를 끌어내려고 해서는 안 된다. 이를테면, “앨리스 먼로의 단편 「물 위의 다리」를 읽고 등장인물 사이의 상호작용이나 대화에 관해 5분간 적어보시오”라는 식이다. 이렇게 의료인이 텍스트에 내재한 의미를 이끌어내는 훈련을 하게 되면, 환자와의 대화에서도 진단에 필요한 깊은 이야기를 끌어내어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케 한다. 당뇨 환자에게 인슐린 주사가 아니라 틀니를 처방한 리타 샤론처럼 말이다.

현대 의학이 나아가야 할
공감과 연대의 이야기
서사의학이란 무엇인가


서사의학은 의료인문학의 한 분과로서 1990년대에야 시작된 최신 학문이다. 국내에는 서사의학, 내러티브 메디슨, 내러티브 의학 등 용어조차 정립이 안 되었을 정도로 생소하다. 이 생소하기만 한 학문이 왜 지금 주목받고 있을까?
서사의학은 의학의 본질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됐다. 기존 의학은 사람을 육체와 정신, 두 가지로 분리된 존재라 보았고, 그 대상을 ‘육체’로 한정시켰다. 그래서 의사에게는 정신을 알 수 있는 환자의 목소리보다 육체를 알 수 있는 의무기록이 더 중요했다. 서사의학은 이에 의문을 제기한다. 의학이 육체가 아니라 ‘사람’에 집중해야 한다면, 정신을 왜 외면해야 하는가. 사람이 육체와 정신으로 이분화된 존재가 아니라 사람 그 자체이고, 의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육체의 복원이 아니라 일상의 회복이라면, 의학은 사람의 정신이 내는 ‘목소리’에도 집중해야 하는 것 아닌가.
차갑기만 한 병실에서 의사가 컴퓨터 모니터의 의무기록만 보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눈을 마주치고 그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아픔에 공감하는 것은 감상어린 이유 때문이 아니다. 환자의 목소리에 담긴 진짜 의미를 찾아야 일상으로의 회복을 위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의사가 환자와 함께 치료를 해나가는 연대의 이야기(narrative)인 서사의학은 현대 의학이 나아가야 할 ‘공감의 의료’가 무엇이고 어떠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리뷰/한줄평6

리뷰

9.6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