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몸의 만남 마음의 연결 :공간의 한계를 넘어
레지오 정신을 토대로 한 도담도담 이야기 4
베스트
사범대 계열 top100 1주
가격
20,000
10 18,000
YES포인트?
1,0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3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책소개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공간과 소통의 주체가 되어가는 어린이
2-1. 몸의 움직임을 통해 공간을 확장하다
| 움직이고 만나고 소통하다
| 좁지만 넓은 우리들의 도담뜰
| 교실, 도담뜰, 그 사이
| 저기 밖에 책 가지고 와도 돼요?

2-2. 공간의 의미를 스스로 부여하고 마음을 연결하다
| 어린이의 시선으로 보다
| 꽃잎반 도서관에서 시작된 소통
| 뜻밖의 선물, '위로'

2-3. 마음을 연결하며 시공간을 넘어서다
| 시끌벅적 도담뜰
| YOU QUIZ? YES!!
| 우리들의 특별한 연결 공간, 도담뜰
| 도담뜰로 부치는 편지 : 우리가 通(통)하는 방법

Ⅲ. 나가며
| 도담뜰 재개념화 과정을 되짚어보며
| 재개념화된 도담뜰, 그리고 한솔다움의 가치 살아내기

Ⅳ. 부록

저자 소개2

한솔어린이보육재단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솔어린이보육재단은 2006년 설립된 이후 전국 100여개 사업체의 직장어린이집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비영리단체로서, ‘별을 닮은 행복한 어린이를 통해 행복한 세상 만들기’라는 사명을 갖고 있다. 한솔어린이보육재단은 사랑, 신뢰, 협동이라는 재단의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어린이와 어린이교육 및 보육의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자 노력해 왔다. 이를 위해 재단은 지속적인 현장연구를 통해 보육과정과 환경을 개선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하고, 부모 및 사업체를 보육의 한 축으로 끌어들여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협동육아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한솔어린이보육재단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졸업 미국 Southern Connecticut State University 유아교육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유아교육 박사 전, 삼성복지재단 어린이 개발센터, 소장 전, 계명대학교 사범대학, 겸임 교수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조교수 현, 한솔어린이보육재단 이사장, KCCT, 소장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의 공동역자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의 공동역자 「레지오와의 만남 귀향 그리고 적용」의 공동역자 「레지오 접근법과 우리 어린이」의 저자 「레지오 알아가기」의 저자 「기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졸업
미국 Southern Connecticut State University 유아교육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유아교육 박사
전, 삼성복지재단 어린이 개발센터, 소장
전, 계명대학교 사범대학, 겸임 교수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조교수
현, 한솔어린이보육재단 이사장, KCCT, 소장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의 공동역자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의 공동역자
「레지오와의 만남 귀향 그리고 적용」의 공동역자
「레지오 접근법과 우리 어린이」의 저자
「레지오 알아가기」의 저자
「기록작업을 통해 다시 만난 어린이」의 공동저자
「발견과 나눔의 순환을 통한 배움」의 공동저자
「어린이와 자연 사이의 벽을 허물다」의 공동저자
「모든 것에 그림자가 있어요, 개미만 빼고」의 역자
「일상 속 유토피아」DVD의 역자

오문자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5월 15일
쪽수, 무게, 크기
152쪽 | 230*270*20mm
ISBN13
9791197032974

출판사 리뷰

"도담뜰 주제의 현장 실행연구에서 우리는 만남과 소통을 통해 어린이 소통능력의 발달뿐만 아니라, 모든 구성원이 서로 마음을 연결 지으며 정서적 연대를 수립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공동체 구성을 목표로 하였다. 이 책에 소개된 각각의 사례들은 주로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 사례이며, 연령대와 상황, 그 기관의 고유한 공간적 여건에 따라 다르게 선택한 방식을 보여준다."

“한 해의 기록을 돌아보면, 어린이들은 점차 소통의 주체가 되어감과 동시에 공간의 주권을 확보해가는 변화를 보였다. 어린이들이 다양한 대상들과 활발히 소통하며 마음을 연결 짓고 공간을 자신의 용도에 맞게 활용하는 모습은 공간이 부과하는 한계를 스스로 넘어서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린이들이 집단으로 생활하는 어린이집은 하나의 공동체적 사회이다.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는 어린이에게는 주어진 일과와 소속된 교실이라는 공간처럼, 자기 의지와 무관하게 삶의 시간과 공간이 분리되어 배정된다. 그러나 교사가 관점과 접근을 달리한다면, 공동체 안에서도 어린이들은 시간과 공간의 주체로 살아가는 것이 가능해 보인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선택한 상품
18,000
1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