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PDF
eBook 독일 친구들이 들려주는 별별 학교 이야기
PDF
고맹임김현영 그림 조한옥 기획
초록개구리 2022.05.01.
가격
8,400
8,400
YES포인트?
4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상세 이미지

소개

목차

1. 하루를 어떻게 보낼까?
2. 걸어 다니며 배우는 날
3. 시험만 잘 본다고 좋은 성적을 받지는 않아
4. 잘 쉬어야 공부도 잘 된다고!
5. 길 위의 학교
6. 미술 시간에 부활절 달걀을 만들어
7. 오늘은 일터로 출근하는 날
8. 입학식은 사탕 봉투와 함께
9. 필요한 돈은 직접 마련해
10. 초등학교 4학년 아이들의 최대 고민은?
11. 1년 중 가장 신나는 날, 생일
12. 고요한 밤, 메리 크리스마스!

| 독일 함부르크 한인학교를 소개합니다!

저자 소개3

고맹임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한 뒤, 독일에서 문학을 공부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함부르크 한인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지금은 독일인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는 교사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똑바로 보기 거꾸로 보기』,『안데르센 동화전집』등이 있다.

그림김현영

 
대학에서 의상 디자인을 공부했지만 그림이 너무 좋아서 미국 뉴욕에 있는 SVA(School of Visual Art)에서 다시 일러스트레이션을 공부했습니다. 지금은 두 아이들과의 일상을 그림으로 남기는 일과 책 속의 그림 만드는 일에 열심입니다. 그린 책으로는 《주말에는 우리 강을 여행할래!』, 《세상을 바꾸는 따뜻한 금융』, 《신기하고 특이하고 이상한 능력자』, 《내가 바로 바이러스』, 《귀신 사는 집으로 이사 왔어요』, 《까불이 걸스』 등이 있습니다.

김현영의 다른 상품

기획조한옥

 
성신여자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한 뒤 매일경제신문사에서 일러스트레이터로 일했다. 독일에서 시각디자인을 공부했고, 지금은 함부르크 한인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틈틈이 어린이 미술 지도도 하고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5월 01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파일/용량
PDF(DRM) | 90.08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111쪽 ?
ISBN13
9791157821761

출판사 리뷰

독일 어린이들의 일상을 12가지 주제로 소개
독일은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데다 지리적으로나 경제력으로나 명실상부 유럽의 중심이다. 독보적·선진적 교육 체계를 바탕으로, 끔찍한 과거를 딛고 행복한 개인과 평화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어른이나 어린이, 대상을 망라하고 독일의 역사와 문화, 교육 체계를 소개한 책이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이 책은 독일 문화 중에서도 어린이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래의 일상에 집중한 이야기라 어린이 독자들의 호기심을 더욱 자극한다. 또한 함부르크 한인학교 학생 셋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식이라 독자들이 친근하게 귀 기울일 수 있다. 학교와 집에서 보내는 하루하루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독일의 역사와 문화도 자연스레 알 수 있다.

화자인 마빈, 민수, 루미코는 시험과 성적, 방학 생활, 진학 문제 등 독일 어린이들의 삶과 관련된 12가지 주제에 대한 경험담을 들려준다. 아침에 일어나 학교에 가는 것부터 수업을 어떻게 하고, 쉬는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 어떤 과목을 공부하는지 등의 학교생활은 물론, 생일 파티, 크리스마스 파티 같은 놀이 문화도 담겨 있다. 아이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면 독일 교육에서 중시하는 인성 교육, 경제 교육, 종교 교육, 진로 교육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알 수 있다. 화자의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정보도 함께 실려 있어 요긴하다.

우리나라와 다른 점과 같은 점
독일에서는 초등학교가 대부분 지역에서 4학년까지이다. 그래서 4학년 때 공부를 더 할지, 직업 탐색을 할지 진로를 결정한 뒤 상급 학교로 진학한다. 1학년 때 만난 반 친구와 선생님은 졸업할 때까지 쭉 함께한다. 담임의 권한이 매우 커서 담당 교과 안에서 자율적으로 수업한다. 휴식을 무척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쉬는 시간이 되면 되도록 밖에 나가서 놀아야 한다. 날이 좋을 땐 교사가 교실 문을 잠그기도 할 정도이다.

한편 틈틈이 학교 바깥으로 체험학습을 가고, 요리·연극·미술 같은 다양한 특별활동을 한다는 점은 한국과 같다. 시험 기간이 따로 없고 교사가 그때그때 학생들이 배운 것을 점검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책장을 넘기다 보면 다른 나라 아이들의 삶을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다양한 문화를 아는 것은 왜 중요할까
이 책을 읽다 보면 화자인 세 아이가 독일에서 이른바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라는 사실을 좀처럼 알아채기 어렵다. 독일이 뼈아픈 과거를 뉘우치려는 노력으로 학교 교육에서 피부색, 종교, 출신 국가와 상관없이 모두를 평등하게 대하는 관용 정신을 중시해 왔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국내 거주 외국인의 수가 크게 늘었다. 학교 친구 중에 외국인을 부모로 둔 아이들도 있고, 연예인으로 활약하는 외국인도 흔히 볼 수 있다. 그만큼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우리나라 안에 뒤섞이게 된 것이다. 지금은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지혜와 마음가짐이 필요한 시기이다. 제주에 온 예멘 난민의 수용 여부를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한 요즘, 다른 문화를 알고 존중하는 자세는 기성세대보다 훨씬 다양한 문화 속에 살아갈 어린이들에게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해 보인다.

현직 함부르크 한인학교 교사가 전하는 생생한 리포트
저자는 함부르크 한인학교 교장을 지내다가 지금은 독일인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는 교사이다. 기획자 역시 같은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친다. 화자가 한인학교 학생인 것은 이런 배경 때문이다.

한인학교에는 한국인 부모를 가진 학생이 대부분이지만, 한국 드라마와 노래가 인기를 끌면서 독일인도 많아지고 있다. 저자는 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는 일을 하면서, 한국 어린이들에게도 독일 어린이들의 문화를 알려주고 싶어서 이 책을 썼다. 문화 교류는 서로에 대한 이해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독일 어린이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풍부한 사진과 그림은 이 책을 읽는 또 다른 즐거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