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옮긴이의 말 4
들어가며 12 chapter 1. 맛과 풍미의 복잡한 우주 입과 코, 이 모든 것이 시작되는 곳 15 마우스필: 총체적 풍미 경험의 중심 요소 20 떫은맛과 고쿠미: 정확하게 ‘마우스필’은 아니지만 그와 비슷한 무언가 26 감각 혼란 28 마우스필과 다른 감각 인상들 간의 상호작용 29 신경-미식학: 풍미는 모두 뇌 안에 있다 32 chapter 2. 우리가 먹는 음식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나 생명의 나무로부터 온 음식 42 식용 분자 58 생체 연성 물질 63 물: 상태가 안정적인 동시에 다재다능한 66 가공식품 70 합성 식품: ‘음音 조합식 요리’ 70 chapter 3. 음식의 물리적 특성: 형태, 구조, 질감 구조와 질감 74 고체, 액체, 기체로서의 음식 76 더 복합적인 상태들 76 음식이 형태, 구조 및 질감을 바꿀 때 90 chapter 4. 질감과 마우스필 음식을 씹을 때, 우리는 ‘미각 근육’을 쓰고 있다 93 질감은 무엇인가 94 질감을 묘사하는 법 99 질감 바꾸기 107 chapter 5. 마우스필 제대로 즐기기 식재료 변형하기 110 열과 온도 112 병이나 캔 안에서의 질감 116 녹말: 매우 특별한 종류의 증점제 116 에멀션과 유화제 119 겔과 겔화 120 검 132 효소가 질감에 끼치는 영향 134 식품 속 당들 136 식품 속 지방들 137 놀랍도록 다양한 우유의 질감 145 놀라운 달걀 152 유리 상태의, 윤기 있는 음식 155 음식 속 입자들 163 음식 속 기포 171 부드러움에서 딱딱함으로, 그리고 되돌리기 180 chapter 6. 질감의 세계에 한 발짝 더 들어가기 콩과식물, 대두 및 새싹 189 새로운 질감의 요리 창조하기 190 씹는 질감이 있는 채소 195 쓰케모노, 혹은 크런치한 요리의 기술 199 다양한 질감의 곡물과 씨앗 201 소스의 비밀 209 수프의 마우스필 213 쫄깃한 반죽을 바삭한 빵으로 바꿔내기 215 바삭한 껍질과 크런치한 뼈 219 부패하기 쉬운 것의 질감 236 맛 도전: 몇몇 특별한 해산물 242 빙과: 가루, 크리미한 것부터 씹는 맛이 있는 것까지 252 맛이 폭발하는 질감 257 chapter 7. 왜 우리는 그 음식을 좋아할까 즐거움과 쾌락주의 269 음식과 맛에 대한 모험심 270 질감, 음식 선택, 그리고 질감에 대한 허용 271 완벽한 식사 272 에필로그 | 삶을 위한 마우스필과 맛 275 참고문헌 277 도해 판권 281 찾아보기 282 |
총체적 풍미 경험을 이루는 모든 다양한 요소 가운데, 마우스필은 가장 홀대를 받았다. 우리는 마우스필의 기반인 촉각을 만들어내는, 먹는 일의 기계적 측면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p.20 육상동물과 수중동물의 근육에 있는, 마우스필에 영향을 끼치는 콜라겐과 단백질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먼저, 육상동물의 고기에는 상당히 많은 결합 조직이 있다. 두 번째로, 물고기의 콜라겐은 개별 단백질 분자 사이에 상대적으로 교차결합이 적어 더 약하다. ---p.55 종종 ‘질감’과 ‘마우스필’은 거의 바꿔 써도 되는 단어인 듯 여겨지지만, 사실 질감은 우리가 음식의 마우스필을 특징지을 때 가장 중요한 개념이 된다. 간단히 말하면, 질감은 마우스필의 대상이자 마우스필에 의해 인식되는 음식의 구조적 측면이다. ---p.74 우리가 어떤 음식의 맛이 나쁘다며 불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보다는, 수플레가 무너졌고, 고기는 너무 질기며, 프렌치프라이는 눅눅해졌고, 빵은 말랐으며, 커피는 미지근하고, 겨자는 쏘는 맛이 없다는 둥의 얘기를 한다. 또는, 그저 간단하게 “맛없다”고 말한다. ---p.97 우리는 음식을 만들 때마다, 그 음식이 특별한 질감과 더불어 마우스필을 가지도록 자신만의 인장을 남긴다. 가정의 주방은 물론이고 식품 공장에서도 마찬가지다. ---p.109 초콜릿은 졸sol 혹은 고체 콜로이드계로, 고체 분산매인 카카오 버터에 고체 입자인 설탕과 카카오 가루가 분산돼 있는 현탁액이다. 초콜릿의 아주 특별한 마우스필은 카카오 버터의 녹는 성질 때문에 생긴다. ---p.140 세포 안이나 세포 사이에 작은 주머니 형태로 공기를 함유하는 식재료가 있다. 우리는 종종 그 사실을 알아채지 못하며, 또한 많은 음식이 매우 조밀하다. 따라서 아삭한 사과가 공기를 25퍼센트 포함하고 있으며, 배는 5~10퍼센트 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사람들 대부분은 놀랄 것이다. ---p.171 수프는 맛 경험이 최대한 음미되기 전에 목구멍 아래로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수프 밑국물이 흥미로운 마우스필을 가지려면 수프를 걸쭉하게 하거나 단단해서 씹히는 재료들을 강화해야 한다. ---p.214 입안에서는 7~10마이크로미터의 작은 입자들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아이스크림처럼 완벽하게 부드럽고 크리미하려면, 결정이 형성되지 않도록 혼합물을 계속 휘저어주면서 빠르게 얼리는 것이 중요하다. ---p.254 질감은 좋은 마우스필을 지닌, 구미가 당기게 하는 음식의 중요한 조건일 뿐만 아니라, 지방과 설탕이 적어 열량을 줄인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p.275-276 |
햄버거를 먹는 것과 햄버거를 갈아서 곤죽처럼 만들어서 먹는 것은 전혀 다른 경험이다. 영양은 그대로이고 풍미 물질도 고스란히 남아 있지만 후자는 전혀 즐겁지 않다. 왜 그런가? 입안에서 뇌로 전달되는 ‘마우스필’이 다르기 때문이다. 겉보기에 비슷한 생크림 케이크여도, 유크림으로 만든 것과 식물성 크림으로 만든 것은 혀에 휘감기는 느낌과 목구멍에서 치고 올라오는 향에서 차이가 크다. 먹는 즐거움은 음식이 맛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식사는 음식 속 화학 물질과 물성이 함께 만들어내는 마법이다. 경험으로는 알고 있지만 비밀에 가려 있던 실체를 물리학자와 요리사가 함께 세세히 풀어낸다. 병을 흔들면 케첩이 뿜어져 나오는 이유, 튀르키예 아이스크림이 쫄깃한 이유까지 일상 속 사례를 들어가며 쉽고 친절하게 설명한다. 음식과 요리에 진지한 사람이라면 반드시 들여다봐야 할 걸작이다. 이 책을 소장하라! - 정재훈 (약사, 푸드라이터)
|
우리가 음식과 술을 즐기는 데에 있어 가장 먼저 집중하는 것은 아무래도 맛과 향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들을 온전히 느끼고 싶어하는 사람일수록 알맞은 조건에 더욱 집착하게 마련이다. 바로 그 조건이 되는 온도와 질감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음식과 술은 그릇 위에서 무너지고, 입안에서 금세 사라진다. 맛과 향, 질감을 제대로 느끼는 방법, 마우스필에 대한 이 책의 내용은 정말이지 흥미롭다. - 박준우 (서촌 오쁘띠베르 셰프)
|
『마우스필』은 ‘먹는 경험’에서 종종 간과되고는 하지만 필수적인 측면에 관한 흥미진진한 탐사이며, 식재료의 질감과 그것을 변형하려는 조리법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다. - 해럴드 맥기 (『음식과 요리 Food and Cooking』 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