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들어가며
서장 클래식 음악을 감상하는 방법 클래식 음악의 매력 / 클래식 음악의 곡명 / 교향곡(심포니)의 특징과 감상법 협주곡(콘체르토)의 특징과 감상법 / 관현악곡의 특징과 감상법 오페라와 발레 음악 감상법 / 오케스트라의 구성과 악기 종류 제1장 교향곡의 명곡 1_ 하이든: 교향곡 제104번 라장조 〈런던〉 2_ 모차르트: 교향곡 제40번 사단조 K. 550 3_ 베토벤: 교향곡 제6번 바장조 〈전원〉 작품번호 68 4_ 베토벤: 교향곡 제7번 가장조 작품번호 92 5_ 슈베르트: 교향곡 제8번 나단조 〈미완성〉 D. 759 6_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어느 예술가의 생에 대한 일화 작품번호 14 7_ 프랑크: 교향곡 라단조 8_ 브루크너: 교향곡 제4번 내림마장조 〈로맨틱〉 9_ 브람스: 교향곡 제3번 바장조 작품번호 90 10_ 브람스: 교향곡 제4번 마단조 작품번호 98 … 제2장 협주곡의 명곡 19_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20_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라장조 21_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23번 가장조 K. 488 22_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5번 내림마장조 〈황제〉 작품번호 73 23_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라장조 작품번호 6 24_ 슈만: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작품번호 54 25_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마단조 작품번호 64 26_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번호 77 27_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사단조 작품번호 26 28_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제1번 내림나단조 작품번호 23 29_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번호 35 30_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라단조 작품번호 47 … 제3장 관현악곡의 명곡 40_ 바흐: 관현악 모음곡 제2번 나단조 BWV. 1067 41_ 헨델: 모음곡 〈수상음악〉 42_ 로시니: 오페라 〈라 체네렌톨라〉 43_ 바그너: 악극 〈니벨룽겐의 반지〉 44_ 베르디: 오페라 〈리골레토〉 45_ 비제: 모음곡 〈아를의 여인〉 46_ 무소륵스키: 교향시 〈민둥산에서의 하룻밤〉 47_ 차이콥스키: 발레 음악 〈호두까기 인형〉 작품번호 71 48_ 스메타나: 교향시 〈몰다우〉 49_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오페레타 〈박쥐〉 서곡 50_ 그리그: 극음악 〈페르 귄트 모음곡〉 작품번호 23 … 제4장 기악곡, 가곡, 실내악곡의 명곡 68_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 69_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제5번 다단조 BWV. 1011 70_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제1권 BWV. 846~869 91_ 사라사테: 치고이너바이젠 작품번호 20 92_ 사티: 세 개의 짐노페디 93_ 드보르자크: 현악 4중주곡 제12번 바장조 〈아메리카〉 작품번호 96 94_ 라벨: 밤의 가스파르 95_ 알베니스: 모음곡 〈이베리아〉 96_ 크라이슬러: 아름다운 로즈마린 97_ 바버: 현악을 위한 아다지오 98_ 빌라로부스: 쇼루스 99_ 쇤베르크: 현악 합주곡 〈정화된 밤〉 작품번호 4 100_ 다케미쓰 도루: 노벰버 스텝스 책에서 미처 소개하지 못한 명곡 10선 마치며 |
박세미의 다른 상품
오케스트라로 이루어진 클래식 콘서트는 교향곡 또는 교향시 위주로 구성된다. 보통 제1부에서는 오케스트라 편성에 따른 곡을 한두 곡 연주하는데, 일반적으로 협주곡이나 전주곡, 간주곡, 모음곡 등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휴식시간(인터미션)이 끝나고 제2부에서는 교향곡을 연주한다. 이런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향곡이야말로 클래식 음악과 오케스트라의 성과를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곡이자 클래식 콘서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연주이다.
---「교향곡(심포니)의 특징과 감상법, 18쪽」중에서 파가니니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독특한 초절기교 아이디어를 베낄까 봐 작품을 인쇄하지 않았고, 관현악 악보까지 모두 직접 들고 다녔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목숨만큼 소중한 악기를 담보로 저당 잡힐 정도로 도박에 몰두했다. 협주곡제1번은 격렬한 성격에 목숨조차 아끼지 않은 그의 인생이 온전히 투영된 곡이다. ---「23. 바이올린 협주고 제1번, 110쪽」중에서 “바람에 날리는 갈대와 같이 항상 변하는 여자의 마음….” 가사 덕분에 오페라 중에서도 특히 널리 알려진 〈여자의 마음(La donna e mobile)〉은 바로 〈리골레토〉 중 일부이다. 주세페 베르디는 오페라의 나라 이탈리아에서도 최고로 손꼽히는 거장으로, 신기하게도 같은 해에 태어난 바그너와 나란히 오페라계를 석권한다.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 〈오텔로(Otello)〉 등 오페라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수많은 명작은 지금도 매일같이 전 세계 어딘가의 극장에서 상연된다. ---「44. 오페라 〈리콜레토〉, 176쪽」중에서 태양계 행성에 기초한 점성술을 장대한 음악으로 표현한 홀스트의 모음곡을 듣다 보면 머나먼 우주로 날아가는 모습이 떠오른다. 구스타브 홀스트는 스웨덴에서 영국으로 이주한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아버지는 음악 교사였고 어머니는 피아니스트였다. 그는 피아니스트를 꿈꿨지만 팔을 다친 탓에 트롬본으로 전향해 프로 연주자로서 활약하는 한편 음악교사로 일했다. ---「64. 모음곡 〈행성〉 236쪽」중에서 모리스 라벨은 드뷔시와 같은 시대인 19세기 말에 프랑스 인상파의 한 획을 그은 음악가였다. 당시 파리의 문화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는데, 파리에서는 만국박람회를 통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의 신기한 문물이 소개되었다. 미술, 음악, 문학, 무용 등 많은 분야의 예술가들이 유럽 전역에서 모여들어 짧은 시간에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여러 가지 명작을 완성했다. ---「94. 밤의 가스파르, 332쪽」중에서 |
도슨트보다 더 친절한
클래식 안내서 클래식 곡을 감상하려고 해도 곡의 제목부터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없어서 당황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상적으로 접하는 곡명과 비교하면 아주 길기도 하고, 클래식에 친숙하지 않으면 무슨 뜻인지조차 알기 어려울 것이다. 이 책은 곡명을 읽는 법, 작품번호에 쓰이는 약자들, 곡의 종류에 따른 특징과 감상법, 오케스트라의 구성과 악기에 대한 설명을 먼저 구성해 클래식 음악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 뒤 각 곡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게 배려하였다. 클래식 명곡 100선은 곡의 종류에 따라 교향곡, 협주곡, 관현악곡, 그리고 기악곡과 가곡, 실내악곡을 묶은 장과 함께 총 네 개의 장으로 구분하였다. 교향곡의 명곡 첫 번째 곡은 하이든이 1795년에 작곡한 교향곡 제104번 〈런던〉이다. 이 곡에 대해 저자는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의 마지막을 장식한 걸작으로 평가한다. 이렇게 각 곡에는 곡의 특징 혹은 감상을 한 줄로 파악할 수 있게 정리해놓아, 초심자가 한번에 더 쉽게 곡을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게 돕는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저자가 독자적으로 정리한 곡 해설표이다. 총 11개의 곡 해설표가 실려 있는데, 시간 순서대로 곡의 흐름에 따라 셈여림, 조의 변화, 특징적인 악기를 표시해놓았다. 곡 해설표를 참고해 해당 곡을 듣다보면 어느 시점에 곡의 변화가 어떻게 변할지 예상할 수 있고, 주역이 되는 악기 소리에 더 귀 기울이게 된다. 클래식 음악의 감상법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라면 이를 통해 클래식 감상의 재미를 더 크케 느낄 수 있다. 독일 음악의 3대 ‘B’는 누구일까? 독일 음악에는 3대 ‘B’가 있다. 누구일까? 꼽자면 바흐, 베토벤, 그리고 나머지 한 사람은 요하네스 브람스이다. 이 3대 B는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항상 비슷한 인기를 누리는 작곡가이다. 다시 또 문제. 4대 바이올린 협주곡은 누구의 곡일까? 베토벤, 멘델스존, 브람스의 세 곡이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불리며 솔리스트들에게 필수과목으로 꼽힌다. 여기에 차이콥스키를 더해 4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고도 한다. 그럼, 영화 〈쇼생크 탈출〉(1994)에서 주인공이 교도소장 방의 축음기를 이용해 죄수들이 수용된 정원을 향해 틀어놓은 곡은 무엇일까?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의 이중창 아리아 〈저녁 바람이 부드럽게〉다. 이 책에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상식도 넓히면서, 곡을 둘러싼 흥미로운 이야기가 넘친다. 모국인 스페인의 악기에 대한 애착이 이어져 〈아란후에스 협주곡〉을 작곡한 로드리고, 정신과 의사의 도움을 받고 노이로제에서 벗어나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을 작곡한 라흐마니노프, 공포정치 아래에서 목숨을 걸고 〈교향곡 제5번〉을 작곡한 쇼스타코비치 등 작곡가의 인생과 성품, 환경에 대한 이야기가 클래식의 매력에 더욱 빠지게 해준다. 책에서 소개한 100곡의 명곡 이외에도 클래식의 수많은 명곡으로 독자들을 안내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