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책을 내며
어둠의 터널에서 나온 아이 ‘하고 싶은 것이 있어’라는 말 소중했던 일 년의 시간, 재수 따돌림으로 사춘기를 겪지 않은 아이 폐교되지 않은 학교의 마지막 학생회장 35세까지 청소년인 아이들 장애가 있는 선생님을 업은 아이 전통이란 무엇일까, 본질이란 무엇일까 자퇴라는 낙인 아이를 키워준 동네 만학도의 돌봄본능 시골 교육 인터뷰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박현미 교장 고산고등학교 장경덕 교장 고산향교육공동체 박현정 |
임경수의 다른 상품
다양한 삶을 보고 느끼며 정형화된 삶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얼마든지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경험을 아이들 주변에서 제공해 줄 수 있는 곳은 마을이다. 스스로 자신을 줄 세우지 않아도 된다는 것, 그 줄에 서지 않았다고 해서 낙오자가 아니라는 것, 그런 줄이 필요치 않은 곳도 있다는 것을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해 아이들이 알았으면 좋겠다.
--- p.10 농촌을 살리려면 주민의 일상을 지켜주어야 한다. 특별한 누구가 아니더라도 삼시세끼 넉넉한 밥을 먹고 따뜻하게 잠을 자고 슬리퍼를 끌고 나가 읍내에서 반가운 친구들을 만날 수 있고 안전하게 아이들을 키울 수 있고 나이가 들어도 큰돈을 벌지 않더라도 할 일이 있는 그런 일상이 유지되어야 한다. --- p.11 반백 년을 살면서 나 또한 좋아하는 일을, 절실하게 하고 싶은 일을 찾지 못했었다. 삼겹살을 구우며 조금씩해본 요리가 재미있어 조금씩 공부를 시작했던 나는 재수하면서 집에 있는 아이에게 요리 연습 겸 집밥을 실컷해주었다. 그렇게 함께 지낸 일 년은 3년간 떨어져 지낸 아이와 내가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이었다. 그래서 이제는 대학생이 된 아이와 허름한 식당에서 소주잔을 기울이는 술친구가 될 수 있었다. 그래서 그 일 년은 소중했다. --- p.40 평균수명이 늘었으니 청소년기도 늘어나야 한다. 그래서 이제는 35살까지 청소년이다. 35살까지 성인으로 보지 말자는 것은 아니다. 그때까지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한 진로 탐색 기간으로 봐야 한다. 그러니 그때까지 안정된 직업을 가지라, 창업해라 무리하게 요구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 p.68 “전통이 남아 있으려면 본질을 잃어버리지 않아야 합니다. 아빠, 제가 다니는 학교는 본질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그만 다니겠습니다.” 그렇게 막내는 우리나라 전체 고등학생 중에 1.5% 정도가 결행한다는 낯선 길을 가게 되었고 나는 자퇴생의 아빠가 되었다. --- p.88 분명한 건, 막내가 무난히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우리가 좋은 동네에서 믿을 수 있는 이웃과 살았기 때문이었다. 혹시나 막내가 음악을 하지 않더라도 우리 아이는 고산의 푸른 산과 만경강, 그리고 자신을 보살펴주었던 어른들을 기억할 것이고 그 힘으로 무엇이든 잘 헤쳐나갈 것이다. --- p.107 그때 내가 무언가 놓치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돌봄도 본능이구나. 이건 더 본능에 가까운 것이겠구나. 생각이 여기까지 미쳤을 때 오랜 시간 동안 시어머니를 수발한 막내며느리가 영양사를 그만두고 간호학과에 입학해 늙은 초보 간호사가 되려고 한 연유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그녀를 진심으로 응원하고 있다. --- p.117-118 학교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교육의 소재가 되고 공부하는 내용이 됩니다. 아이들은 그 속에서 삶의 주인이 되는 것 같아요. 권력이나 부를 가지고 다른 사람보다 우위에 서서 주인으로 행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도움을 주고 받으며 자신의 삶에 주인에 되는 것을 10대 후반에 경험하는 거죠. --- p.133-134 동네에서 미장원하는 분, 커피숍 하는 분, 중국집 주인, 농부 이런 분들이 마을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배우고 그런 분들도 다 열심히 살고 계시고 나름대로 자신들의 삶이 있고, 저는 그걸 알게 해주고 싶었어요. 시골이지만 그런 분들이 인생의 낙오자가 아니고 아이들의 미래가 될 수 있는 거잖아요. --- p.150 몇 명, 교사 몇 명 마을교육공동체 팀을 만들어서 새로운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예를 들면 아이들을 학교와 동네에 가두면 안된다. 처음에는 지역에서 나고 자랐으니 멀리 가지 말고 지역에서 재미있는 일을 찾아보자 이런 이야기를 많이 했거든요. 그런데 혹독하게 바깥세상, 즉 도시로 나가 경험을 해야 지역으로 오더라도 잘 살 수 있는 건데, 경험하지 않고 동네에 남아 살라고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 p.1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