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첫 번째 강의│인간이라는 수수께끼유한한 인간, 무한하신 하나님│이 빛나는 점을 보라│인간이란 무엇인가│인간이 다양한 학문을 통해 배우는 것│인간 실존, 방황이 상수인 삶│나는 누구인가│인간은 관계적 존재다│「에누마 엘리시」에 담긴 인간 본성│「길가메시 서사시」에 담긴 인간 본성│주름 잡힌 텍스트, 성경│성경의 창조 이야기│창조 이야기의 정점, 인간 창조│이름을 안다는 것│경탄의 세계로의 초대│인간은 서로에게 속한 존재다│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두 번째 강의│하나님 안에서 태어나다때를 분별하며 산다는 것│인생은 순례길이다│인간 속에 깃든 영원하신 분의 빛│인간의 뿌리 깊은 죄성│인간 안에 내재된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보편성과 특수성 사이에서│이야기가 중요하다│한 인간이 태어난다는 것│하나님이 개입하시지 않는 까닭│창조주와 피조물의 어긋난 관계│갈등을 넘어 화해에 이르는 길│타자의 얼굴에 반응하는 삶│우리의 지평이 넓어질 때│하나님 체험의 시작│유신론과 무신론│낯선 세계로의 부르심│숙명론이 지배하는 세계를 떠나서│시간 속에서 동행하시는 하나님세 번째 강의│하나님과 함께 걸어가다새로운 세상의 꿈│접촉과 저항의 길│신의 법을 따를 것인가, 실정법을 따를 것인가│시련의 시작│거룩하신 분의 현존 앞에서│관계적 존재로서의 하나님│하나님의 꿈으로의 초대│사건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시는 하나님│심화된 하나님 체험│하나님의 약속│타자에 대한 책임을 떠맡는 삶│인생의 곤경이 다가올 때│받아들여짐의 체험│세상에 당연한 것은 하나도 없다│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취급될 때│역사의 심층에 계신 하나님│고난과 시련의 의미네 번째 강의│하나님을 향하여 나아가다신앙생활의 본령│인간, 죄에 매인 존재│자기를 부인한다는 것│하나님의 통치│존재의 무게에 짓눌릴 때│제국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만나의 경제 법칙│하나님의 사랑법│언약으로의 초대│씨는 생명을 품고 있다│하나님의 세계│자유는 사랑과 잇대어│드러내시는 동시에 숨어 계시는 하나님│신앙의 눈이 열리는 순간│기도의 본질│거룩한 삶으로의 부르심│정의와 공의│하나님 체험의 다양성│일상을 성화하는 삶다섯 번째 강의│나의 인생, 나의 하나님불안이라는 세계│인생이라는 항로에서│갈라진 틈으로 들어오는 빛│보이지 않는 세계│하나님의 현존과 부재 사이에서│내가 가진 신앙의 동기│고난의 시간을 지날 때│신음과 탄식의 순간│신의 일식을 의식하며 산다는 것│알 수 없음의 세계 앞에서│하나님의 실상에 눈을 뜰 때│‘거룩의 정치학’과 ‘자비의 정치학’ 사이에서│환대 속에 형성해 가는 하나님 나라│신뢰, 하나님의 손에 맡기는 것│정답을 알 수 없는 현실 속에서│하나님 안에서,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을 향하여주
|
김기석의 다른 상품
“시와 산문, 현대문학과 동서고전을 자유로이 넘나드는 글쓰기의 향연”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성경의 언어에 다양한 시와 소설, 철학과 미술의 언어를 함께 짜 넣으며 다양한 해석의 지평을 열어 준다는 점이다. 저자는 동서고금의 문학가와 철학자와 예술가와 더불어 깊은 영적 차원을 풀이함으로써 그 매력적인 신 체험으로 독자들을 초청한다. “하나님은 언제나 한 걸음 앞에서 나를 이끄셨다. 그분은 언제나 새로운 사건으로 다가오셨고, 그때마다 깊은 경외심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었다.”저자는 하나님이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분이 아니라고 고백한다. 이 책이 개념을 통해 하나님을 설명하지 않고 이야기에 주목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성경의 인물들을 거울로 삼아 현대를 살아가는 구도자이자 신앙인으로서 스스로를 돌아보라고 이 책은 격려한다. 이야기는 또 다른 이야기를 부른다. “영혼의 어둔 밤”을 지나고 있는 이들, 지독한 방황으로 흔들리는 이들, 하나님을 깊이 이해하고 싶지만 그럴 수 없다는 좌절감에 사로잡힌 이들이 이 책을 읽고 자신이 이미 하나님의 구원 이야기의 일부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 안에서 태어났고하나님과 함께 인생의 길을 걸어가고 있으며,우리가 가는 궁극적인 지점은하나님을 향하여 가는 것입니다.우리 마음은 불안에 시달리고 때때로 흔들리지만, 대지에 발을 굳게 딛고하나님을 향하여 나아가게 될 때 희망이 이 세상에 유입되리라 생각합니다.하나님은 파악될 수 있는 분은 아니지만 순간순간 시간 속에서우리와 동행하며 사건을 일으키시는 분이고, 그 사건을 통해평화의 나라가 서서히 우리에게 다가올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