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세한의 마음
옛글로 시대를 말하다
성백효
고반 2024.06.27.
베스트
독서/비평 top100 2주
가격
20,000
2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추천사 _성낙인(서울대학교 제26대 총장)
머리말

01. 선(善)으로 남을 도와주라
02. 지조(志操)를 지켜라
03. 시련(試鍊)을 극복하라
04. 이익(利益)을 앞세우지 말라
05. 신(信)을 존중하라
06. 중용(中庸)을 행하라
07. 윤리도덕(倫理道德)을 가르쳐야 한다
08. 덕성(德性)을 존중하라
09. 인재(人材)를 등용하라
10. 추기급인(推己及人)을 하라
11. 아름다움을 드러내지 말라
12. 안일(安逸)을 탐하지 말라
13. 미리 대비하여야 한다
14. 긍정적(肯定的)인 사고(思考)를 갖자
15. 도의교육(道義敎育)을 강화하여야 한다
16. 충고(忠告)를 받아들이는 아량(雅量)이 있어야 한다
17. 선현(先賢)의 명언(名言)과 선행(善行)을 알아야 한다
18. 개혁(改革)은 포용력과 용단, 치밀함과 공정성을 간직하여야 한다
19. 옳지 못한 일은 즉시 중지하라
20. 효도(孝道)는 모든 행실의 근본이다
21. 오만은 패망을 부르니
22. 언로(言路)가 막히면 나라가 망한다
23. 화(禍)와 복(福)은 사람이 할 나름이다

한문(漢文)을 향해 걸어온 외길 한학자 성백효 _박정진

논문과 역서
후기 _신범식(유원대학교 교수)

저자 소개1

충남(忠南) 예산(禮山)에서 태어나셨다.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셨고,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으로부터 사사했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를 수료하였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역임 중이다. 사서집주(四書集註), 『시경집전(詩經集傳)』, 『서경집전(書經集傳)』, 『주역전의(周易傳義)』, 『고문 진보(古文眞寶)』,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심경부주(心經附註)』, 『통감절요(通鑑節
충남(忠南) 예산(禮山)에서 태어나셨다.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셨고,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으로부터 사사했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를 수료하였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역임 중이다.
사서집주(四書集註), 『시경집전(詩經集傳)』, 『서경집전(書經集傳)』, 『주역전의(周易傳義)』, 『고문
진보(古文眞寶)』,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심경부주(心經附註)』, 『통감절요(通鑑節要)』, 『당
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소식(蘇軾)』, 『고봉집(高峰集)』, 『독곡집(獨谷集)』,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약천집(藥泉集)』, 『양천세고(陽川世稿)』, ??우계집(牛溪集)??, 『여헌집(旅軒集)』, 『율곡전서(栗谷全書)』, 『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 『존재집(存齋集)』, 『퇴계전서(退溪全書)』, 『부안설 논어집주(附按說 論語集註)』, 『부안설 맹자집주(附按說 孟子集註)』, 『부 안설 대학·중용집주(附按說 大學·中庸集註)』, 『배우고 익히는 논어(전3권)』, 『최신판 논어집주(論語集註)』, 『최신판 맹자집주(孟子集註)』, 『최신판 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 『조선후기 한문비평(전2권)』 등을 번역하였다.

성백효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6월 27일
쪽수, 무게, 크기
328쪽 | 153*225*30mm
ISBN13
9788997169641

책 속으로

정치는 실로 군주나 위정자의 자세 여하에 달려 있는 것이다. 아무리 훌륭한 지도자라 하더라도 모든 것을 다 알고 모든 것을 다 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오직 마음가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윗사람이 인물을 등용함에 있어 혈연(血?)이나 지연(地?), 학연(學緣)을 앞세우고 자신에게 아부하는 자를 좋아하여 등용한다면 그 밑에 있는 사람들 역시 그러한 인물만을 끌어오게 마련이다.
--- p.117

《대학(大學)》에서는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을 말하면서 혈구지도(?矩之道)를 강조하고 있다. … 혈구지도란 구(矩)로 잰다는 뜻으로 구(矩)는 목수들이 사용하는 곡척(曲尺)인바, 구로 잰다는 것은 자신의 마음을 자(기준)로 삼아 타인의 마음을 측량함을 뜻한다. ‘윗사람에게서 싫었던 것으로써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고 아랫사람에게서 싫었던 것으로써 윗사람을 섬기지 말라’는 것은 즉 윗사람이 자신에게 무례하게 대하는 것이 싫거든 이것을 가지고 타인의 마음을 헤아려 자신도 아랫사람에게 무례하게 대하지 말며, 아랫사람이 자신에게 건방지게 대하는 것이 싫거든 이것을 가지고 타인의 마음을 헤아려 자신도 윗사람에게 건방지게 대하지 말라는 뜻이다. 이것은 물론 군주주의 시대 계급사회에서 행해지던 방법이다. 하지만 민주주의 시대라고 해서 이와 다를 리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사고가 있어야만 올바른 민주주의가 제대로 정착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 p.129

요즘 길거리에 나가면 승용차에 ‘잠깐 양보’라는 스티커를 붙이고 다니는 차량을 자주 접하게 된다. 참으로 좋은 내용이다. … 한데 이것을 부착하는 위치가 문제이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차량의 뒤에 부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스티커의 목적은 남을 경계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라고 보여진다. 그렇다면 당연히 자신의 운전석에서 잘 보이는 곳에 스티커를 붙여놓고 반성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들 자신의 차량 뒤에 붙이고 다니는 이유는 무엇일까? 혹시라도 자신이 얌체 행위를 하기 위해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잠깐 양보해 달라는 의도는 아닌지 모르겠다.

남을 탓하기에 앞서 자신이 솔선수범을 보여야 한다. 맹자(孟子)는 “사람들의 병통은 자신의 밭은 버려두고 남의 밭을 김매려 하는 데 있다. 그리하여 남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겁고 자기 스스로 책임지는 것은 가볍다.[人病舍其田而芸人之田 所求於人者重 而所以自任者輕]”라고 하였으며, 공자는 마음속의 악을 제거하는 방법을 묻는 번지(樊遲)의 질문에 “자신의 악을 다스리고 남의 악을 다스리려 하지 않는 것이다.[攻其惡 無攻人之惡 非修慝與]”라고 대답하였다.

--- p.202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0,000
1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