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아나키즘의 도덕적 기초
아나키즘 도덕의 계보학
가격
8,000
10 7,200
YES포인트?
4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서론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10장

표트르 알렉세예비치 크로포트킨의 생애

저자 소개2

표트르 알렉세예비치 크로포트킨

관심작가 알림신청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과학자, 사회사상가이며 지리학자. 러시아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시베리아에서 육군 장교로 근무하는 동안 지리학적 탐사활동을 하면서 중요한 연구들을 발표했다. 지리학, 동물학, 사회학, 역사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명성을 얻었지만 세속적인 출세의 길을 버리고 혁명가의 길을 선택했으며, 귀족 세습권도 포기하고 사회 정의의 실현을 위해 일생을 헌신했다. 서유럽에서 30여 년간에 걸친 망명 생활 동안 아나키스트 운동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정부나 국가 없이 수평적으로 상호 협동하는 아나키스트 코뮌주의 이론을 과학적 기반 위에 정립하려고 힘썼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과학자, 사회사상가이며 지리학자. 러시아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시베리아에서 육군 장교로 근무하는 동안 지리학적 탐사활동을 하면서 중요한 연구들을 발표했다. 지리학, 동물학, 사회학, 역사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명성을 얻었지만 세속적인 출세의 길을 버리고 혁명가의 길을 선택했으며, 귀족 세습권도 포기하고 사회 정의의 실현을 위해 일생을 헌신했다.

서유럽에서 30여 년간에 걸친 망명 생활 동안 아나키스트 운동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정부나 국가 없이 수평적으로 상호 협동하는 아나키스트 코뮌주의 이론을 과학적 기반 위에 정립하려고 힘썼다. 지은 책으로는 『상호부조론』, 『빵의 쟁취』, 『논밭, 공장, 작업장』, 『어느 혁명가의 회고록』, 『청년에게 고함』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 개신교신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현시대 인간론 재구성, 탈성장과 정치생태학, 종교와 경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본서를 비롯해, 자끄 엘륄의『 마르크스 사상』(대장간 2013), 『마르크스의 후계자』(대장간 2015),『 혁명에서 반란으로』(대장간 2019),『 생태감수성의 혁명적 힘』(비공 2021),『 기술담론의 허세』(대장간 2023), 아킬레 로시의『 시장 신화』(대장간2021), 리카르도 페트렐라 등의『 탈성장』(대장간 2021)을 우리말로 옮겼다.

안성헌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12월 02일
쪽수, 무게, 크기
128쪽 | 123*200*20mm
ISBN13
9791193272183

책 속으로

우리는 타자와 공존함으로써, 홉스의 야만을 뛰어넘을 수 있다.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원리는 생존 투쟁이 아니다. 자아와 타자의 자발적 상호협력이 삶 그 자체를 지탱하는 원칙이다. 크로포트킨의 관점을 따라 말하면, 인간에게나 동물에게나 “존재”는 언제나 “너와 함께 존재함”이며, “너와 함께 존재함”이란 “너를 위해 존재함”이다.
--- p.16

동물의 세계는 그보다 훨씬 효과적이며 색다른 토대를 갖고 있다. 곤충에서 사람에 이르는 동물의 세계는 굳이 성서나 철학 서적을 들춰 보지 않더라도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악한지를 완벽하게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본성의 욕구 때문이다. 말하자면, 종족 보존의 욕구를 가진 동물의 세계는 저마다 선악을 완벽하게 구별하며, 각 개체는 자신에게 가장 큰 행복이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나름대로 선과 악을 구분한다.
--- p.48

동물의 선악 관념은 인간의 관념과 완전히 똑같다. 심지어 그것은 어류, 곤충류, 조류, 포유류로 분리된 각각의 종을 대표하는 생물에게 동일하게 나타난다. … 개미도 알고, 참새도 안다. 자기 사회에 ‘유용’하면, 그것은 ‘선’이다. ‘해’를 끼친다면, 그것은 ‘악’이다.
--- p.51~53

동물 세계 전반을 관찰하면서 도출된 도덕성, 이전 시대의 도덕성보다 차원 높은 도덕성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같은 상황에서, 남이 네게 행하기 원하는 일을 너도 남에게 ‘행하라.’”일 것이다.
--- p.56~57

연대감이야말로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모든 동물의 생활을 지배하는 특징 중의 특징이라고 본다. 수리는 참새를 먹이로 삼고, 늑대는 들쥐를 잡아먹는다. 그러나 수리와 늑대는 사냥 과정에서 서로를 돕고, 참새와 들쥐도 서로 연대하여 육식동물에게서 자신을 지킨다. 얼치기들만 이들의 발톱에 걸려든다. 모든 동물 사회에서 연대는 하나의 자연 법칙(일반 사태)이다. 이는 부르주아가 우리를 멍청하게 만들 요량으로 무한 반복하는 미덕의 찬가인 ‘생존 투쟁’보다 더 중요하다.
--- p.63

동물 세계의 발달에 가장 큰 부분, 어쩌면 무한대와 같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연대”다. 다시 말해, 개별 이익 확보를 위해 개체와 개체 사이에 투쟁이 벌어지고, 그 투쟁의 결과물에 대한 적응보다 상호부조의 연대성이 동물계 진화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했다.
--- p.67

인간은 연대라는 큰 방향을 설정하고, 그 속에서 하나의 길을 만든다. 연대야말로 인간과 자연을 대립시키는 장애 요소 중에서, 미약한 제 종족을 보존할 수 있는 길이며, 자기 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길이다.
--- p.68

미래의 인류가 담고 살아야 할 인간다운 덕성, 곧 ‘도덕성’은 언제, 어디에 도래하는가? 아마도 우리 아이들이 ‘손익계산’을 멈추고 만물, 에너지, 용기, 사랑을 최고의 가치로 활용할 줄 아는 곳에서 도래할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 그 힘을 사용하고픈 욕구를 생생하게 느끼고 늘 그러한 생각을 안고 자랄 때 도래할 것이다. 이러한 용기와 헌신은 시대마다 존재했다. 우리는 모든 동물에게서 이러한 용기와 헌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심지어 몰락의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서도 우리는 그 용기와 헌신을 볼 수 있다.
--- p.97

기오는 용기와 헌신을 ‘자기 고유한 힘에 대한 각성’이라고 말했다. 즉, ‘차고 넘치는 생명력, 끝없이 확장하려는 생명력’이다. “행할 ‘수 있는’ 것을 내면 깊이 느끼라. 바로 거기에서 행동해야 할 의무를 처음으로 의식하게 되리라.”
--- p.98

의무는 자기 실천과 자기 증여를 요구하는 생명의 풍성함과 다르지 않다. 동시에, 의무는 힘에 대한 자각이다. 누적된 모든 힘이 그 앞에 놓인 장애물들에 압박을 가한다. 행동할 ‘능력’이 있는 사람은 행동할 ‘의무’를 가진 사람이다. 이 모든 도덕적 ‘의무’에 관해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했고 글도 썼다. 그러나 거기에 덧씌워진 모든 신비주의를 걷어내고 진짜 개념으로 좁혀서 정리하면, ‘생명은 확장될 때에만 유지될 수 있다’일 것이다. 식물은 꽃을 피우지 않을 수 없다. 때로 개화는 죽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얼마나 큰 불행인가! 그럼에도, 생명의 수액은 계속 흐른다!”
--- p.98~99

우리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자신의 고통을 위한 눈물보다 더 많은 눈물이 있으며, 자연스럽게 누려도 무방한 행복의 기쁨보다 더 많은 기쁨이 있다.

--- p.101~102

리뷰/한줄평2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7,200
1 7,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