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론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10장 표트르 알렉세예비치 크로포트킨의 생애 |
안성헌의 다른 상품
우리는 타자와 공존함으로써, 홉스의 야만을 뛰어넘을 수 있다.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원리는 생존 투쟁이 아니다. 자아와 타자의 자발적 상호협력이 삶 그 자체를 지탱하는 원칙이다. 크로포트킨의 관점을 따라 말하면, 인간에게나 동물에게나 “존재”는 언제나 “너와 함께 존재함”이며, “너와 함께 존재함”이란 “너를 위해 존재함”이다.
--- p.16 동물의 세계는 그보다 훨씬 효과적이며 색다른 토대를 갖고 있다. 곤충에서 사람에 이르는 동물의 세계는 굳이 성서나 철학 서적을 들춰 보지 않더라도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악한지를 완벽하게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본성의 욕구 때문이다. 말하자면, 종족 보존의 욕구를 가진 동물의 세계는 저마다 선악을 완벽하게 구별하며, 각 개체는 자신에게 가장 큰 행복이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나름대로 선과 악을 구분한다. --- p.48 동물의 선악 관념은 인간의 관념과 완전히 똑같다. 심지어 그것은 어류, 곤충류, 조류, 포유류로 분리된 각각의 종을 대표하는 생물에게 동일하게 나타난다. … 개미도 알고, 참새도 안다. 자기 사회에 ‘유용’하면, 그것은 ‘선’이다. ‘해’를 끼친다면, 그것은 ‘악’이다. --- p.51~53 동물 세계 전반을 관찰하면서 도출된 도덕성, 이전 시대의 도덕성보다 차원 높은 도덕성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같은 상황에서, 남이 네게 행하기 원하는 일을 너도 남에게 ‘행하라.’”일 것이다. --- p.56~57 연대감이야말로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모든 동물의 생활을 지배하는 특징 중의 특징이라고 본다. 수리는 참새를 먹이로 삼고, 늑대는 들쥐를 잡아먹는다. 그러나 수리와 늑대는 사냥 과정에서 서로를 돕고, 참새와 들쥐도 서로 연대하여 육식동물에게서 자신을 지킨다. 얼치기들만 이들의 발톱에 걸려든다. 모든 동물 사회에서 연대는 하나의 자연 법칙(일반 사태)이다. 이는 부르주아가 우리를 멍청하게 만들 요량으로 무한 반복하는 미덕의 찬가인 ‘생존 투쟁’보다 더 중요하다. --- p.63 동물 세계의 발달에 가장 큰 부분, 어쩌면 무한대와 같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연대”다. 다시 말해, 개별 이익 확보를 위해 개체와 개체 사이에 투쟁이 벌어지고, 그 투쟁의 결과물에 대한 적응보다 상호부조의 연대성이 동물계 진화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했다. --- p.67 인간은 연대라는 큰 방향을 설정하고, 그 속에서 하나의 길을 만든다. 연대야말로 인간과 자연을 대립시키는 장애 요소 중에서, 미약한 제 종족을 보존할 수 있는 길이며, 자기 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길이다. --- p.68 미래의 인류가 담고 살아야 할 인간다운 덕성, 곧 ‘도덕성’은 언제, 어디에 도래하는가? 아마도 우리 아이들이 ‘손익계산’을 멈추고 만물, 에너지, 용기, 사랑을 최고의 가치로 활용할 줄 아는 곳에서 도래할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 그 힘을 사용하고픈 욕구를 생생하게 느끼고 늘 그러한 생각을 안고 자랄 때 도래할 것이다. 이러한 용기와 헌신은 시대마다 존재했다. 우리는 모든 동물에게서 이러한 용기와 헌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심지어 몰락의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서도 우리는 그 용기와 헌신을 볼 수 있다. --- p.97 기오는 용기와 헌신을 ‘자기 고유한 힘에 대한 각성’이라고 말했다. 즉, ‘차고 넘치는 생명력, 끝없이 확장하려는 생명력’이다. “행할 ‘수 있는’ 것을 내면 깊이 느끼라. 바로 거기에서 행동해야 할 의무를 처음으로 의식하게 되리라.” --- p.98 의무는 자기 실천과 자기 증여를 요구하는 생명의 풍성함과 다르지 않다. 동시에, 의무는 힘에 대한 자각이다. 누적된 모든 힘이 그 앞에 놓인 장애물들에 압박을 가한다. 행동할 ‘능력’이 있는 사람은 행동할 ‘의무’를 가진 사람이다. 이 모든 도덕적 ‘의무’에 관해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했고 글도 썼다. 그러나 거기에 덧씌워진 모든 신비주의를 걷어내고 진짜 개념으로 좁혀서 정리하면, ‘생명은 확장될 때에만 유지될 수 있다’일 것이다. 식물은 꽃을 피우지 않을 수 없다. 때로 개화는 죽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얼마나 큰 불행인가! 그럼에도, 생명의 수액은 계속 흐른다!” --- p.98~99 우리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자신의 고통을 위한 눈물보다 더 많은 눈물이 있으며, 자연스럽게 누려도 무방한 행복의 기쁨보다 더 많은 기쁨이 있다. --- p.1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