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PART 1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정의와 필요성]
CHAPTER 01 플랫폼 엔지니어링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이유 _1.1 ‘플랫폼’과 기타 주요 용어의 정의 _1.2 과도한 일반화의 늪 _1.3 과도한 일반화의 늪에 빠지게 된 과정 _1.4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어떻게 늪을 정화하는가 _1.5 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권한 부여 _1.6 마무리 CHAPTER 02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기둥들 _2.1 큐레이션 제품 접근 방식 채택 _2.2 소프트웨어 기반 추상화 개발 _2.3 폭넓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층 지원 _2.4 비즈니스의 토대로서 운영 _2.5 마무리 [PART 2 플랫폼 엔지니어링 실무] CHAPTER 03 착수 시기와 방법 _3.1 소규모 조직의 플랫폼 협력 촉진 _3.2 협력을 대체하는 플랫폼 팀 만들기 _3.3 전통적 인프라 조직의 변혁 _3.4 마무리 CHAPTER 04 훌륭한 플랫폼 팀 만들기 _4.1 단일 초점 플랫폼 팀의 위험성 _4.2 플랫폼 엔지니어의 다양한 역할 _4.3 각종 엔지니어의 채용 및 식별 방법 _4.4 훌륭한 플랫폼 엔지니어링 관리자의 자질 _4.5 플랫폼 팀의 기타 역할들 _4.6 플랫폼 엔지니어링 팀 문화 조성 _4.7 마무리 CHAPTER 05 제품으로서의 플랫폼 _5.1 고객에 초점을 둔 제품 문화 _5.2 제품 발굴과 시장 분석 _5.3 성공적인 제품 실행: 제품 로드맵 만들기 _5.4 제품 실패 유형 _5.5 마무리 CHAPTER 06 플랫폼 운영 _6.1 온콜 관행 _6.2 사용자 지원 업무 _6.3 운영 피드백 관행 _6.4 마무리 CHAPTER 07 계획과 전달 _7.1 장기 프로젝트 계획 _7.2 상향식 로드맵 계획 수립 _7.3 격주간 성과 및 난제 공유로 현황 알리기 _7.4 마무리 CHAPTER 08 플랫폼 아키텍처 재구축 _8.1 새로운 v2를 만드는 것보다 아키텍처 재구축이 나은 이유 _8.2 아키텍처를 통한 보안 문제 해결 _8.3 아키텍처 재구축을 위한 가드레일 _8.4 아키텍처 재구축 계획의 수립 _8.5 마무리 CHAPTER 09 플랫폼 마이그레이션과 폐지 처리 _9.1 마이그레이션 안티패턴 _9.2 더 쉬운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엔지니어링 _9.3 더 원활한 마이그레이션 조정 _9.4 플랫폼 폐지 _9.5 마무리 CHAPTER 10 이해관계자 관리 _10.1 이해관계자 매핑: 권력-관심도 그리드 _10.2 적절한 투명성으로 소통하기 _10.3 수용 가능한 타협점 찾기 _10.4 돈 문제: 비용과 예산 관리 _10.5 마무리 [PART 03 성공은 어떤 모습일까?] CHAPTER 11 플랫폼의 정렬 _11.1 목적에 대한 정렬 _11.2 제품 전략의 정렬 _11.3 계획의 정렬 _11.4 총정리: 조직의 정렬 _11.5 마무리 CHAPTER 12 플랫폼에 대한 신뢰 구축 _12.1 운영 방식에 대한 신뢰 _12.2 대규모 투자에 대한 신뢰 _12.3 전달 우선순위에 대한 신뢰 _12.4 총정리: 과도하게 결합한 플랫폼 사례 _12.5 마무리 CHAPTER 13 복잡성을 관리하는 플랫폼 _13.1 사람 간 협업의 우발적 복잡성 관리 _13.2 그림자 플랫폼의 복잡성 관리 _13.3 성장 통제를 통한 복잡성 관리 _13.4 제품 발견을 통한 복잡성 관리 _13.5 총정리: 내부 복잡성과 외부 복잡성의 균형 _13.6 마무리 CHAPTER 14 사랑받는 플랫폼 _14.1 사랑의 효과 _14.2 해크처럼 보이는 사랑 _14.3 명백한 사랑 _14.4 총정리: 사용자를 멋지게 만드는 사랑 _14.5 마무리: 사랑이란 무엇인가, 상처를 주지 마오 |
Camille Fournier
카미유 푸르니에의 다른 상품
Ian Nowland
류광의 다른 상품
307번역랩의 다른 상품
작은 노력으로 큰 성과를 내는 개발 조직의 비밀:
효율적 개발을 넘어 지속 가능한 협업의 시대를 여는 FAANG 따라잡기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에서 점점 더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효과적인 플랫폼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일은 많은 기업이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복잡한 퍼즐과 같습니다. 바로 이 책은 그 난해한 퍼즐을 명확하게 풀어갈 수 있는 해법을 펼쳐냅니다.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조직에서 플랫폼을 구축해 온 두 저자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플랫폼 엔지니어링을 위한 핵심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기술 가이드를 넘어, 플랫폼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실제로 마주치는 복잡한 문제들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팀을 구성하는 방법부터 안정적인 운영 전략, 레거시 시스템의 성공적인 마이그레이션, 미래 지향적 아키텍처 설계까지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전 영역을 포괄합니다. 또한 기능 플래그와 A/B 테스트와 같은 안전한 배포 전략도 상세히 설명하며, 플랫폼 구축을 고민하는 모든 기술 조직에 실질적인 지침이 되어 줄 것입니다. 궁극적으로는 개발자가 신뢰하고, 조직이 의존하며, 사용자가 사랑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길을 안내합니다. 주요 내용 ● 플랫폼을 하나의 제품처럼 바라보는 개발자 중심의 사고방식 ● 플랫폼 엔지니어링 팀이 하는 일과 하지 않는 일 ● 조직에서 플랫폼 엔지니어링을 도입하는 과정 ● 플랫폼 팀의 제품 관리자가 되는 데 필요한 요건과 역량 ● 플랫폼을 확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난제들 ● 성공적인 플랫폼 엔지니어링 팀을 이끄는 데 필요한 모범관행 |
크든 작든 플랫폼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개발자나 관리자라면 누구나 현재의 업무와 플랫폼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런 고민 속에 있던 저에게 이 책과의 만남은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강경구 ((작고 소중한) 사내 플랫폼을 개발 및 운영하는 개발팀 팀장)
|
이 책은 단순한 기술서가 아닙니다. 사례에 몰입하다 보면, 서로 다른 입장에 선 상대를 이해하고, 그들을 규합하여 플랫폼 조직이 나아가야 할 이상향을 구체적으로 고민해 볼 기회를 얻게 됩니다. 플랫폼을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입니다. - 김영환 (라인플러스 서버 개발자)
|
이 책은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을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그에 따라 탄생한 시스템, 더 나아가 플랫폼에 관한 통찰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플랫폼을 설계하고 개발, 운영하는 조직의 관리자, 기술 리더나 아키텍트 등 플랫폼 엔지니어링에 관한 대부분의 이해관계자에게 새로운 인사이트를 전해줄 것입니다. - 김용회 ((주)씨에스피아이 SA사업본부 이사/사업부장)
|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개념이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 책은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개념부터 실무 적용까지 명확하게 설명하며, 조직이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이종우 (페이민트 CTO)
|
이 책은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구현하려는 기술 리더와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꼭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실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침을 통해, 플랫폼이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든든한 토대가 될 것입니다. - 전준규 (금융서비스 프로젝트 매니저)
|
플랫폼의 중요성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 책은 실무에서 마주하는 여러 과제를 다룹니다. 플랫폼 팀을 어떻게 구성할지, SRE와 어떻게 협업할지, 아키텍처는 어떻게 설계할지, 기존 시스템은 어떻게 옮길지 등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 진태양 (볼타 C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