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32,000
5 30,400
YES포인트?
960원 (3%)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 [POD]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변심 반품이 불가하며, 발송까지 3일 정도 소요됩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지식을만드는지식 소설선집

책소개

목차


자고새
개가 꿈을 꾼 게지
가위눌림
좀 뭐한 이야기지만
요강
토끼
곡괭이
엽총
땅두더지
목장 풀
술잔
빵 조각
트럼펫
머리털
목욕
오노린
냄비
아전보살
아가트
프로그램
장님
정월이라 초하루
가는 길 오는 길
철필대
붉은 뺨
이(?) 사냥
브루투스처럼
편지 모음
헛간
고양이
양(羊)
대부(代父)
샘터
살구
마틸드
금고(金庫)
올챙이
돌변(突變)
사냥에서
파리
처음 잡은 도요새
낚시
은전(銀錢)
자기 의견
나뭇잎의 폭풍
항거(抗拒)
마지막 말
홍당무 사진첩
해설
지은이 연보
옮긴이에 대해

저자 소개1

쥘 르나르

관심작가 알림신청
 

Pierre-Jules Renard Jules Renard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쥘 르나르는 1864년 2월 22일 프랑스의 샬롱 뒤 멘에서 태어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 소년 시절에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하여 어두운 나날을 보냈는데 이 무렵의 추억이 훗날 『홍당무』(1894)라는 걸작을 만들어냈다. 1886년 시집 『장미』로 문단에 등장한 그는 한때 플로베르 모파상을 위시한 사실주의, 자연주의 소설에 몰두했다. 소설집『마을 범죄』를 출간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고, 1889년에는 상징파 잡지『메르퀴르 드 프랑스』의 창간에 참여했다. 1891년에 쓴 소설 『부평초』로 특이한 작가적 위치를 차지하게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쥘 르나르는 1864년 2월 22일 프랑스의 샬롱 뒤 멘에서 태어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 소년 시절에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하여 어두운 나날을 보냈는데 이 무렵의 추억이 훗날 『홍당무』(1894)라는 걸작을 만들어냈다.

1886년 시집 『장미』로 문단에 등장한 그는 한때 플로베르 모파상을 위시한 사실주의, 자연주의 소설에 몰두했다. 소설집『마을 범죄』를 출간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고, 1889년에는 상징파 잡지『메르퀴르 드 프랑스』의 창간에 참여했다. 1891년에 쓴 소설 『부평초』로 특이한 작가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기도 했다.
1900년에는 희곡으로 각색된『홍당무』가 파리에서 상연되어 대단한 호평을 얻었으며, 1904년에는 시트리 촌장이 되었다. 또한 1907년에는 프랑스 아카데미공쿠르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포도밭의 일꾼』(1894) 등을 비롯하여 자연주의극 분야의 대표적인 작품들로 평가받는『이별의 기쁨』(1897) 『집에서 구운 빵』(1898) 『비고트』(1909)등을 발표하면서 자신만의 확고한 문학 세계를 열어갔던 르나르는 명성을 얻은 뒤에도 소박하고 단출한 삶을 살다가 1910년 5월 22일 동맥경화로 세상을 떠났다. 사후에는 작가가 24년간 써왔던 일기가 출간되었다.

죽은 뒤에 출간된 『일기』(1925~1928) 는 일기 문학의 한 획을 긋는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홍당무』와『일기』에는 사람의 진실한 모습을 지켜보려는 작가의 생각이 잘 묘사되어 있다. 르나르는 자연의 영혼과 언어의 빛을 접근시킴으로써, 물질과 영혼이 조우하는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자연 속에 깃들어 있는 인간적인 것과 인간 속에 살아 숨쉬는 자연을 동시에 포착한 보기 드문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그의 대표작 『홍당무』는 홍당무는 프랑스의 대표 작가 쥘 르나르의 자전적 성장 소설이다. 가족에게서 사랑받지 못하는 소년이 홍당무 작가인 쥘 르나르의 반영이다. 출간된 지 100년도 넘었지만 지금도 새로움을 준다.

쥘 르나르의 다른 상품

역자 : 김붕구
(金鵬九, 1022∼1991)는 1922년에 황해도 옹진에서 태어났다. 호는 석담(石潭)이다. 1944년에 일본 와세다대 정치경제학과를 수학하고, 1950년에 서울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다. 1953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대 교수를 역임했다. 스탕달의 『적과 흑』, 보들레르의 『악의 꽃』, 르나르의 『홍당무』, 말로의 『왕도로 가는 길』, 생텍쥐페리의 『야간 비행』, 카뮈의 『반항인』,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 등을 번역했고, 『불문학 산고』, 『작가와 사회』, 『프랑스 문학사』 등의 저서를 남겼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6년 10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260쪽 | 210*297*20mm
ISBN13
9791130427744

책 속으로

홍당무: 빠빠, 난 정말 오래오래 망설이고 있었어. 그렇지만 이젠 끝장을 내야겠어. 털어놓고 말하면… 난 이젠 엄말 사랑하지 않아.
르피크 씨 응, 그건 또 무엇 때문에, 언제부터?
홍당무: 무엇이고 어쩌고 간에 하나에서 백까지 모두 엄마를 안 때부터.
르피크 씨 나 원 참! 그건 참 불행한 일이구나. 엄마가 널 어쨌단 말이냐? 어디 이야기라도 해 보렴.
홍당무: 이야기를 시작하면 길어져. 그런데 빠빠는 조금도 눈치채지 못했어요?

--- p.223

출판사 리뷰

르피크 씨네 막내아들은 그저 ‘홍당무’라고만 불린다. 붉은색 머리카락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어려서부터 어머니의 사랑이라고는 받지 못한 소년이다. 집안에서 그나마 홍당무를 귀여워해 주는 것은 아버지다. 하지만 사업에 바빠 집을 자주 비운다. 위로 형과 누나가 있지만 어둔 밤에 나가 닭장 문을 잠그는 것도, 아버지가 잡아온 자고새의 목을 비틀어 숨통을 끊어 놓는 것도 모두 홍당무 일이다.

어머니가 괜한 트집을 잡아 구박하고 쥐어박기 일쑤지만 홍당무는 그런대로 요령 있게 처신하고 있다. 하지만 아들로서 어머니의 사랑을 요구하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에 이르자 참았던 설움이 폭발한다. “버터 한 근만 사다 주렴.” 어머니의 명령에 홍당무는 난생처음 “싫어”를 외친다. 홍당무의 항거에 어머니는 결국 두 팔을 들고 물러선다. 여느 날과 다르지 않은 그런 평범한 날이었다.

쥘 르나르의 자전적 소설이다. 평범한 가정의 일상을 간결하고 유머러스하게 묘사하며 ‘아동 학대’라는 주제를 자연스럽게 드러냈다. 소설의 흥행에 힘입어 희곡으로 각색, 공연되기도 했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0,400
1 3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