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20,000
2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만주어 『중용(中庸)』의 기초적 연구 · 심영환
1. 머리말
2. 『중용』의 전래와 유포
3. 만주어 『중용』의 성격
4. 맺음말
『?譯中庸』 전사(transliteration): 附 『中庸諺解』

『음즐문』의 생산·유통·이해·교류 과정 연구 · 김백희
1. 머리말
2. 『음즐문』의 생산과 유통
3. 『음즐문』의 이해와 교류
4. 『음즐문』의 사상과 이념
5. 다언어 텍스트의 의미
『陰?文』 전사(transliteration)

청대 유불도 관련 문헌 판본 연구 · 춘화
1. 청대 사서의 만주어와 몽골어 판본
2. 『음즐문』 만주어·몽골어 판본

저자 소개3

고문서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책임연구원. 고문헌을 통한 통치 시스템과 역사 언어학을 연구하며, 최근에는 한국의 고대어와 주변 언어의 관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영환의 다른 상품

동양철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노자의 사유방식』, 『부끄러워할 줄 아는 선비』, 『원측 『해심밀경소』의 심의식상품 연구』(공저) 등

김백희의 다른 상품

몽골어·만주어 문헌학 전공. 중국 고궁박물원도서관 연구원.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10월 15일
쪽수, 무게, 크기
232쪽 | 153*224*20mm
ISBN13
9791158664220

출판사 리뷰

이 책은 주희가 확립한 사서 중 청대에 만주어로 번역된 『번역중용』을 로마자로 전사(轉寫)하고, 조선에서 번역된 『중용언해』를 비교했다. 남송에서 확립된 『중용장구』의 형성과정, 원과 청의 『중용』에 대한 해석과 번역, 그리고 원·명을 거쳐 조선에서 확립된 『중용언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번역중용』에 나타난 만주어 번역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청대에 발간된 『만몽한삼합음즐문』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권선서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이해와 교류 과정을 탐색하고, 한문·몽골어·만주어로 된 『음즐문』이 다언어로 문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검토한다. 『대청실록』, 『대청회전』, 『흠정학정전서』, 『기거주』, 『흑도당』 등을 근거로 삼아 만주어와 몽골어에 대한 각종 사서의 판본을 고찰함으로써 청대 각 민족이 유가문화의 가르침을 받았던 사실을 밝힌다.
심영환의 「만주어 『중용』의 기초적 연구」는 유가 경전의 하나인 『중용』을 고찰했다. 텍스트는 『[문연각]사고전서』 권33, 경부(經部)33, 오경총의류(五經總義類)의 『흠정번역사서(欽定?譯四書)』 중 『어제번역중용(御製?譯中庸)』(1755)이다. 이 판본의 구성은 본문에서 『중용』을 만주어로 번역했고, 그 아래에 한문을 대역(對譯)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만주어는 전사를 하고, 원본대로 한문을 아래에 붙였다.
김백희의 「『음즐문』의 생산·유통·이해·교류 과정 연구」는 도교 경전인 『음즐문』을 고찰했다. 『음즐문』은 명·청 시대에 유행했던 도교 권선서의 대표 경전이다. 이 경전이 최초로 생산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체로 송(宋)나라 말기로 비정한다. 『음즐문』의 저자는 미상이나, 조선 후기에 유입되어 민족종교의 발생과 윤리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 책에서는 중국 청나라의 『만몽한삼합음즐문(滿蒙漢三合陰?文)』을 저본으로 삼았다. 한글 언해본은 언해자가 밝혀지지 않은 사찬(私撰) 문서이다. 저자는 만문(滿文)과 몽문(蒙文)을 전사하여 한문과 대조했는데, 이 전사 자료는 도교 자료가 만주어와 몽골어로 번역된 극히 드문 사례에 속한다. 한글 언해본을 기초로 현대 우리말로 옮겨놓아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춘화의 「청대 유불도 관련 문헌 판본 연구」는 유불도 삼교의 대상 자료에 대한 문헌학적 조사를 다뤘다. 중국 북경의 고궁박물원에서 방대한 만몽문 문헌을 다룰 수 있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한 연구로, 만주학과 몽골학 분야에서 유불도 삼교의 문제로까지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토대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0,000
1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