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6,000
16,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장서각 한국사 강의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선교장의 형성과 발전 / 차장섭
18~19세기 선교장의 지역적 위상 변화의 추이- 강릉 향촌사회를 중심으로 / 임호민
18세기 전주이씨 선교장의 전답매매활동과 전략 / 정수환
조선후기 강릉 선교장의 지주경영 / 허원영
강릉 선교장 장서의 서지학적 고찰 / 김민현
선교장 소장 악보 『현금보 초』 연구 / 김수현
차강 박기정이 그린 《활정십경백납도병》 / 정은주
선교장 소장 『황정경』의 철학적 생명관 / 김백희
선교장 복식의 보존과 미래 가치 / 이민주

저자 소개9

강원대학교 교수. 1958년 경북 포항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쳤다. 조선사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강원대학교에서 도서관장, 기획실장, 강원전통문화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명예교수로 한국사, 미술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사진전으로 「선교장?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집 이야기」(2011), 「한옥의 벽」(2016), 「한옥, 모태적 평온 속에서」(2018), 「한옥의 천장」(2019), 「한옥의 담」(2024) 등 개인전을 가졌으며, 「사진 새 옷을 입다」(2013), 「동강국제
강원대학교 교수. 1958년 경북 포항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쳤다. 조선사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강원대학교에서 도서관장, 기획실장, 강원전통문화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명예교수로 한국사, 미술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사진전으로 「선교장?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집 이야기」(2011), 「한옥의 벽」(2016), 「한옥, 모태적 평온 속에서」(2018), 「한옥의 천장」(2019), 「한옥의 담」(2024) 등 개인전을 가졌으며, 「사진 새 옷을 입다」(2013), 「동강국제사진제 강원도사진가전」(2021)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은평역사한옥박물관, 경북대학교미술관, 강원대학교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벌열연구』(1997), 『고요한 아침의 땅, 삼척』(2006), 『인간이 만든 신의 나라, 앙코르』(2010), 『선교장?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집 이야기』(2011), 『부처를 만나 부처처럼 살다』(2012), 『아름다운 인연으로 만나다, 미얀마』(2013), 『자연과 역사가 빚은 땅, 강릉』(2013), 『명재고택』(2017) 등이 있으며, 사진집으로 『한옥의 벽』(2016), 『한옥의 천장』(2019)이 있다.

차장섭의 다른 상품

조선시대 지역사를 전공했으며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이다

임호민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17세기 동전유통의 정책과 실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고문서와 일기자료를 활용하여 조선시대 일상을 추적하면서 마을을 주제로 조선시대에서 현대까지 농촌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한국 농촌개발과 국제개발』, 「17세기 전반 조극선의 매매기록과 용전경험」, 「18세기 경주 갓뒤마을 동계의 말림갓을 위한 호혜와 협동」,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 등이 있다.

정수환의 다른 상품

강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고문서를 다루고 있으며, 현재 장서각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조선후기로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근대이행기를 중심으로 고문서를 통한 사회경제사 연구가 중심이다.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2013), 『17세기 충청도 선비의 생활기록:조극선의 인재일록과 야곡일록』(2018) 등의 공저와 「19세기 濟州島의 戶口와 賦稅運營」(2006), 「고문헌학과 민족고전학, 고문헌을 다루는 남과 북의 학문
강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고문서를 다루고 있으며, 현재 장서각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조선후기로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근대이행기를 중심으로 고문서를 통한 사회경제사 연구가 중심이다.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2013), 『17세기 충청도 선비의 생활기록:조극선의 인재일록과 야곡일록』(2018) 등의 공저와 「19세기 濟州島의 戶口와 賦稅運營」(2006), 「고문헌학과 민족고전학, 고문헌을 다루는 남과 북의 학문적 입장」(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2021) 등의 논문이 있다.

허원영의 다른 상품

서지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고문헌관리학과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에서 가야금을 전공하였고 중앙대학교에서 음악학 전공 석사학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의 근대음악사와 전통음악 이론인 악률론을 전문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민족문화유산연구소 소장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원이며, 중앙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동안 낸 편저로는 『근대음악기사자료집』 1~10권(공편, 2008), 『제국의 억압과 저항의 사회사』(공저, 2011), 『조선시대 악률론과 시악화성』(2012), 『경기음악Ⅱ
서울대학교에서 가야금을 전공하였고 중앙대학교에서 음악학 전공 석사학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의 근대음악사와 전통음악 이론인 악률론을 전문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민족문화유산연구소 소장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원이며, 중앙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동안 낸 편저로는 『근대음악기사자료집』 1~10권(공편, 2008), 『제국의 억압과 저항의 사회사』(공저, 2011), 『조선시대 악률론과 시악화성』(2012), 『경기음악Ⅱ』(공저, 2013), 『지영희를 말한다』(공저, 2016), 『선교장과 관동 사대부가의 삶』(공저, 2019), 『북한의 민족음악유산』(공저, 2021), 『조선의 악률론과 근대의 음악론』(2021), 『애국과 독립을 노래하라』(공저, 2022), 『다시 부르는 독립의 함성-항일노래 600곡집』(공편, 2022), 『북한의 공연예술기관』(공저, 2023), 『시나위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엮음, 2023), 『근대민족음악유산 창가집 연구』(공저, 2024)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악학궤범 권1에 나타난 중국음악 이론의 주체적 수용」(2012), 「근대시기 전통음악 장르 용어에 관한 연구」(2012) 등 수 십 편이 있다. 최근에 집중하고 있는 애국창가, 항일노래와 관련된 논문으로는 「사료로 보는 애국가 짓기와 부르기의 역사」(2021), 「일제강점기 음악통제와 애국창가 탄압사례」(2021), 「항일·독립운동가로 부른 학도가류 연구」(2021), 「북간도 광성중학교 발행 『최신창가집(부악전)』(1914) 수록 창가 연구」(2022) 등이 있다.

김수현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朝鮮時代 明淸 使行 關聯 繪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를 연구하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에도시대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의 영향 , 중국 역대 직공도의 한인도상(韓人圖像)과 그 인식 , 19세기 대청사행(對淸使行)과 연행도 , 중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조선적 변용 , 계미(1763) 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와 공저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朝鮮時代 明淸 使行 關聯 繪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를 연구하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에도시대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의 영향 , 중국 역대 직공도의 한인도상(韓人圖像)과 그 인식 , 19세기 대청사행(對淸使行)과 연행도 , 중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조선적 변용 , 계미(1763) 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와 공저로 전근대 서울에 온 외국인들 , 표암 강세황, 조선 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등이 있다.

정은주의 다른 상품

동양철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노자의 사유방식』, 『부끄러워할 줄 아는 선비』, 『원측 『해심밀경소』의 심의식상품 연구』(공저) 등

김백희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소 중견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책례의식 및 복식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왕실복식은 물론 연구영역을 확장하여 일반 사대부가의 차림새와 멋내기 연구로 조선 사람들의 맵시에 주목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조선왕실의 미용과 치장』,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치마저고리의 욕망』,『조선사람들의 차림새, 멋내기로 통하다』(2023),『조선시대 제주와 제주문화』(공저, 2023) 「조선 후기의 패션 리더―기생」 등이 있다

이민주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06월 28일
쪽수, 무게, 크기
316쪽 | 153*224*30mm
ISBN13
9791158665456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000
1 1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