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1부 조선 후기 호남의 통치와 행정
1872년 그림 지도 속의 전라도_정은주 1. 머리말 2. 『1872년 지방지도』의 제작 배경 3. 『1872년 지방지도』 중 전라도 지도의 구성과 내용 4. 『1872년 지방지도』 중 전라도 지도의 회화적 특징 5. 맺음말 조선시대 제주목사의 문서 행정_노인환 1. 머리말 2. 제주목의 임명 문서 3. 제주목사의 상달 문서 4. 제주목사의 명령 문서 5. 제주목사의 청원 처리 6. 맺음말 근대 전환기 해남의 명례궁 궁방전 수세 과정-정우형 수신간찰을 중심으로_권수용 1. 머리말 2. 해남과 궁방전 3. 명례궁 관련 인물 4. 궁방전 수세 내용 5. 맺음말 ▶ 2부 가전(家傳) 고문서를 통해 본 호남의 사회와 경제 정조 대 무신 정호남의 가계와 관직활동-영광 영성정씨 고문서를 중심으로_조미은 1. 머리말 2. 영성정씨 고문서의 현황과 특징 3. 무신 정호남의 가계 4. 무신 정호남의 관직활동 5. 맺음말 조선 후기 남원 순흥안씨의 공유자산과 종중 규약_정수환 1. 머리말 2. 16세기 남원 정착과 ‘사제당’ 3. 17세기 ‘영사정’과 정체성 만들기 4. 18세기 종중 결속을 향한 위선 그리고 문장(門長) 5. 19세기 공유자산을 위한 호혜와 협동 6. 맺음말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가 8대 종부 광주이씨의 가문 경영_이현주 1. 머리말 2. 해남윤씨가 8대 종부의 탄생 3.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 종가의 경제 상황 4. 광주이씨의 종부로서의 위상 찾기 5. 맺음말 한말~일제 초 영광 연안김씨가의 토지 거래와 소유권 확보_허원영 1. 머리말 2. 한말의 전답 매매와 문서 작성 3. 1901년 황인수와의 산송 사건 4. 1910년 전후의 제도 변화에 대한 대응 5. 맺음말 ▶ 3부 호남의 근대 인물, 나철과 전우 ‘나철 친필본’을 통해 본 나철 사상의 일면_정욱재 1. 머리말 2. 나철의 생애를 통해 본 사상 형성 과정 3. 나철의 역사인식과 기존 연구의 문제점 4. 맺음말 일제시기 『간재집』의 간행 경위-현곡 유영선가 문서를 중심으로_유지영 1. 머리말 2. 일제시기 문집의 간행 경위 3. 갈등의 전말 4. 맺음말 |
허원영의 다른 상품
정은주의 다른 상품
노인환의 다른 상품
권수용의 다른 상품
정수환의 다른 상품
이현주의 다른 상품
정욱재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