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6,000
16,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고전탐독

책소개

목차

책머리에
1. 조선의 인문학 마을, 외내 / 한도현
2. 외내에서 난 용, 운암 김연 / 박성호
3. 추증과 분황을 통한 외내 사람들의 조상 받들기 / 노인환
4. 김령의 과거 시험 도전기 / 정순우
5. 재산상속은 사랑과 정성의 저울질 / 안승준
6. 외내 사람들의 재산 운영 / 전성호
7. 외내 사람들의 재산 늘리기 / 김영나
8. 쌍둥이 분재기의 비밀 / 문숙자
9. 양반가의 먹거리와 사랑방 손님 / 주영하
10. 후조당 문중 라이브러리 / 김소희
11. 후조당 시호 프로젝트 / 김학수
12. 문순 시비를 둘러싼 두 집안의 싸움 / 최진덕

저자 소개12

金鶴洙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齋觀」 등 다수가 있다.

김학수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 서울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에포컬 모멘텀』 『기층 리더쉽과 시민공동체』 『이주 노동자들의 권익과 시민공동체』 『식민지주의기억과 역사화해』 『새마을운동 모범사례』,『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2013), 『지역결사체와 시민공동체』(공저, 2007)등이 있다.

한도현의 다른 상품

한동대학교 국제어문학부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 말 조선 초 왕명문서를 비롯하여 한국 고문서의 제도, 양식, 변화상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한국학술정보, 2017), 「조선후기 고문서에 등장한 喪不着 표기의 기록문화적 의의」(『서지학연구』 78, 2019), 「새로 발견된 고려말 홍패의 고문서학적 고찰과 사료로서의 의의」(『고문서연구』 48, 2016) 등의 논저가 있다.

박성호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고문서학으로 문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이며, 서울 시립 대학교와 충북 대학교에서 고문서와 한국사 강의를 하고 있다. 「조선 후기 道의 명칭 변경에 따른 문서 행정」, 『변화와 정착: 麗末鮮初의 朝謝文書』(공저)를 썼으며, 감수한 책으로는 『한국사 핵심 8장면 따서 조립하기』, 『특종! 70명으로 읽는 한국사』, 『교과서 한국 인물』, 『키워드 한국사 탐사』 시리즈, 『눈높이 한국사』 시리즈, 『히스토리카 만화 백과』 시리즈 등이 있다.

노인환의 다른 상품

丁淳佑

1953년 경북 영천생. 1976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교육사, 지성사이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명예교수이다. 대표 저서로는 《공부의 발견》, 《서당의 사회사》, 《서원의 사회사》, 《조선후기의 성인담론과 교육》 등이 있다. 공저로는 《퇴계학과 남명학》, 《도산서원과 지식의 탄생》, 《조선 전문가의 일생》 《남명 조식―칼을 찬 유학자》 등 다수가 있다.

정순우의 다른 상품

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한국고문서학 전공.

안승준의 다른 상품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 객원교수,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글로벌한국학부 교수이다. 주요 논문으로 제임스 루이스(James. B. Lewis)와 공동으로 쓴 [Accounting Techniques in Korea: 18th Century Archival Samples From a Non-Profit Association in the Sinitic World](Accounting Historians Journal 2006 Vol 33 pp.53-87)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 객원교수,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글로벌한국학부 교수이다. 주요 논문으로 제임스 루이스(James. B. Lewis)와 공동으로 쓴 [Accounting Techniques in Korea: 18th Century Archival Samples From a Non-Profit Association in the Sinitic World](Accounting Historians Journal 2006 Vol 33 pp.53-87)와 [Wages, Rents, and Interest Rates in Southern Korea, 1700 to 1900](Research in Economic History 2007 Vol 24 pp.217-283)가 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호남의 회계 문화-한국 경제 민주주의의 기원을 찾아서』 등이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DMZ를 넘어 북녘이 바라보이는 강화읍 국화리에 거주하면서 ‘K-Account’의 세계화에 매진하고 있다.

전성호의 다른 상품

경북대학교 사학과 외래교수.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조선후기 경상도 서원노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조선 후기 사회경제사 및 지역사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 『후조당 종가의 가문 세우기』(공저), 「18세기 영주 濟民樓 소속 노비의 모습」, 「16-18세기 안동지역 사족의 虎溪 書院 운영」, 「18세기 도산서원(陶山書院) 노비의 혼인과 가족」 등이 있다.

김영나의 다른 상품

경희대학교 사학과 강사, 조선시대사 전공. 『조선 양반가의 치산(治産)과 가계경영』, 『도산서원을 통해 본 조선후기 사회사』(공저).

문숙자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고문헌관리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을 수료하고, ‘중국본 史記·漢書의 조선 유입과 編刊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대학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과 중국의 서적교류 및 지방의 인쇄문화사이다. 논저로는 「조선후기 금속활자본 교정사례연구-壬辰字 校正刷本을 중심으로」, 「17~18세기 完營 출판의 간행양상과 특징-자치통감, 주자대전,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17세기 史纂 출판의 문화사적 의미-중국본의 유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고문헌관리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을 수료하고, ‘중국본 史記·漢書의 조선 유입과 編刊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대학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과 중국의 서적교류 및 지방의 인쇄문화사이다. 논저로는 「조선후기 금속활자본 교정사례연구-壬辰字 校正刷本을 중심으로」, 「17~18세기 完營 출판의 간행양상과 특징-자치통감, 주자대전,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17세기 史纂 출판의 문화사적 의미-중국본의 유입과 변용을 중심으로」, 「청계 양대박 문집의 異本 연구」, 「호계서원의 지식문화 인프라-서적의 생산과 보급」 등이 있다.

김소희의 다른 상품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철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인문학, 철학, 그리고 유학』(2004),『민본주의를 넘어서: 동양의 민본사상과 새로운 공동체 모색』(2000, 공저),『주자학을 위한 변명: 나정암의 이일분수 철학』(2000),『심경』(2009, 공저),『유교의 예치 이념과 조선』(2007, 공저),『군자의 나라』(1999, 공저) 등이 있다.

최진덕의 다른 상품

周永河

음식을 문화와 인문학, 역사학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연구하는 음식인문학자. 한국 음식의 역사와 문화는 물론, 음식의 역사와 문화가 지닌 세계사적 맥락을 살피는 연구를 하고 있다. 1962년 마산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을 공부했다. 1998년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민족학·사회학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민족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장서각 관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2008년 일본 가고시마대학교 심층문화학과, 2017~2018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아시아학과에서 방문교수
음식을 문화와 인문학, 역사학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연구하는 음식인문학자. 한국 음식의 역사와 문화는 물론, 음식의 역사와 문화가 지닌 세계사적 맥락을 살피는 연구를 하고 있다. 1962년 마산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을 공부했다. 1998년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민족학·사회학 대학원에서 문화인류학(민족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장서각 관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2008년 일본 가고시마대학교 심층문화학과, 2017~2018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아시아학과에서 방문교수로 지냈다.

《음식전쟁 문화전쟁》, 《차폰 잔폰 짬뽕》, 《음식 인문학》, 《식탁 위의 한국사》, 《장수한 영조의 식생활》, 《밥상을 차리다》, 《조선 지식인이 읽은 요리책》(공저),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조선의 미식가들》, 《백년식사》, 《음식을 공부합니다》, 《그림으로 맛보는 조선음식사》,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등 다수의 책을 썼다. 《중국 음식 문화사》를 우리말로 옮겼고, ‘식탁 위의 글로벌 히스토리’ 시리즈(전 10권)와 《옥스퍼드 음식의 역사》를 감수하고 한국어판 특집글을 썼다.

주영하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9년 08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340쪽 | 128*188*30mm
ISBN13
9791158664602

리뷰/한줄평1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16,000
1 1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