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조선시대 제주와 제주문화
가격
28,000
28,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AKS 인문총서

책소개

목차

제1부 지식문화와 인간

조선시대 제주학풍의 형성과 전개_김학수
Ⅰ. 머리말
Ⅱ. 15~16세기 주자학적 지식문화의 갈래
Ⅲ. 17세기 주자학풍의 강화
Ⅳ. 17세기 이후 기호·영남학풍의 이원적 수용과 전개
Ⅴ. 맺음말

제주목사 이형상의 풍속 교화와 폐정 개혁_이남옥
Ⅰ. 머리말
Ⅱ. 이형상의 누습 인식과 풍습 교화
Ⅲ. 이형상의 폐정 인식과 개혁 정책
Ⅳ. 맺음말

제주 도학자 변경붕의 철학사상_이창일
Ⅰ. 머리말
Ⅱ. 기호학파의 표준 입장
Ⅲ. 실존적 문제의 성리학적 해석
Ⅳ. 미완의 유서와 박물학적 관심
Ⅴ. 맺음말

제주 인쇄문화의 전개와 가치_김소희
Ⅰ. 머리말
Ⅱ. 조선 전기 제주 간행물의 특징
Ⅲ. 조선 후기 제주 간행물의 특징
Ⅳ. 제주 인쇄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제2부 지리환경과 공간

제주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_정치영
Ⅰ. 머리말
Ⅱ. 제주의 자연환경
Ⅲ. 제주의 인문환경
Ⅳ. 맺음말

지도와 기록화로 본 조선 후기 제주 문화와 공간_정은주
Ⅰ. 머리말
Ⅱ. 제주지도의 변천
Ⅲ. 제주 공마 목장의 운영
Ⅳ. 제주 지방관의 순력과 명승유람
Ⅴ. 맺음말

신광수의 「탐라록」과 조선 후기 지식인의 제주 인식_박용만
Ⅰ. 머리말
Ⅱ. 지방관과 유배 지식인의 서로 다른 제주 인식
Ⅲ. 「탐라록서」에 나타난 당대 문인들의 인식
Ⅳ. 「탐라록」 수록 한시에 흐르는 시적 정서
Ⅴ. 맺음말

제3부 경제활동과 보건환경

제주 토지 소유와 매매의 한 양상_정수환
Ⅰ. 머리말
Ⅱ. 진주강씨의 사회적 위상과 토지 확보
Ⅲ. 명문을 통해 본 제주 토지 매매의 특징
Ⅳ. 맺음말

국가 의례와 제주 흑우 공급_이욱
Ⅰ. 머리말
Ⅱ. 희생제와 흑우 소용
Ⅲ. 흑우 진공 수효의 증가
Ⅳ. 흑우 목양과 수송
Ⅴ. 우역의 성행과 대응
Ⅵ. 흑우의 제향 공급
Ⅶ. 맺음말

제주 의료환경의 주변적 성격_김호
Ⅰ. 머리말
Ⅱ. 제주 약재 공급과 약국 운영
Ⅲ. 제주목사의 의료환경 조성
Ⅳ. 주변성에서 오는 제주의 열악한 보건환경
Ⅴ. 맺음말

제4부 생활문화의 다채성

제주 신화에 담긴 생활문화와 그 의미_강문종
Ⅰ. 머리말
Ⅱ. 신들의 옷과 집
Ⅲ. 신들의 음식
Ⅳ. 신들의 가정 불화
Ⅴ. 신들에게 중요한 나이 15세
Ⅵ. 신들의 사랑과 불륜
Ⅶ. 맺음말

갓 문화를 통해 본 제주 복식의 다름과 습합_이민주
Ⅰ. 머리말
Ⅱ. 제주 풍속과 복식
Ⅲ. 제주의 모자
Ⅳ. 갓 문화로의 습합
Ⅴ. 맺음말

조선 향약의 현대적 실천, 가시리의 마을만들기_한도현
Ⅰ. 제주도 마을의 원리로서 향약
Ⅱ. 제주 가시리의 향약과 마을만들기
Ⅲ. 커머닝의 실천과 현실 유토피아의 건설

저자 소개13

金鶴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를 마쳤고, 「17세기 영남학파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강학의 형성과 공간적 확장』(태학사, 2023), 『백곡 정곤수』(태학사, 2023), 『청련 이후백』(공저, 태학사, 2023), 『낙중 지역 강안학을 열다, 성주 한강 정구 종가』(예문서원, 2011), 『아계 이산해의 학문과 사상』(공저, 지식산업사, 2010), 『여헌 장현광 연구』(공저, 태학사, 2009)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증시행정」, 「‘한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를 마쳤고, 「17세기 영남학파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강학의 형성과 공간적 확장』(태학사, 2023), 『백곡 정곤수』(태학사, 2023), 『청련 이후백』(공저, 태학사, 2023), 『낙중 지역 강안학을 열다, 성주 한강 정구 종가』(예문서원, 2011), 『아계 이산해의 학문과 사상』(공저, 지식산업사, 2010), 『여헌 장현광 연구』(공저, 태학사, 2009)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증시행정」, 「‘한강(정구)신도비명’의 개정논의와 그 의미」 등이 있다.

김학수의 다른 상품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양학과, 김천대학교 교양학과 등을 거쳐 현재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사상사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정치, 문화, 인물, 문헌 등에 대해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도산서원』(공저), 『노강서원 · 화양서원』(공저,), 「하곡 정제두의 관력과 산림직 역임의 의미」 등이 있다.

이남옥의 다른 상품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서울불교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동아시아 자연학과 인간학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수치』, 『까르마에토스 성격유형학』, 『민중과 대동』, 『주역점쾌』, 『주역, 인간의 법칙』, 『한국의 동물상징』, 『성리학의 우주론과 인간학』, 『소강절의 철학』, 『사상의학, 몸의 철학 마음의 건강』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융 학파의 꿈 해석 매뉴얼』, 『융의 적극적 명상』, 『심경발휘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서울불교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동아시아 자연학과 인간학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수치』, 『까르마에토스 성격유형학』, 『민중과 대동』, 『주역점쾌』, 『주역, 인간의 법칙』, 『한국의 동물상징』, 『성리학의 우주론과 인간학』, 『소강절의 철학』, 『사상의학, 몸의 철학 마음의 건강』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융 학파의 꿈 해석 매뉴얼』, 『융의 적극적 명상』, 『심경발휘』, 『심학지결』, 『심리학의 도』, 『자연의 해석과 정신』 등이 있다.

이창일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고문헌관리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을 수료하고, ‘중국본 史記·漢書의 조선 유입과 編刊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대학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과 중국의 서적교류 및 지방의 인쇄문화사이다. 논저로는 「조선후기 금속활자본 교정사례연구-壬辰字 校正刷本을 중심으로」, 「17~18세기 完營 출판의 간행양상과 특징-자치통감, 주자대전,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17세기 史纂 출판의 문화사적 의미-중국본의 유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고문헌관리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을 수료하고, ‘중국본 史記·漢書의 조선 유입과 編刊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대학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과 중국의 서적교류 및 지방의 인쇄문화사이다. 논저로는 「조선후기 금속활자본 교정사례연구-壬辰字 校正刷本을 중심으로」, 「17~18세기 完營 출판의 간행양상과 특징-자치통감, 주자대전,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17세기 史纂 출판의 문화사적 의미-중국본의 유입과 변용을 중심으로」, 「청계 양대박 문집의 異本 연구」, 「호계서원의 지식문화 인프라-서적의 생산과 보급」 등이 있다.

김소희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일본 교토대학교 초빙학자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지리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거를 대상으로 하는 지리학”인 역사지리학을 전공한 저자는 과거의 경관이나 지리적 상황을 복원하고, 각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여 사람들이 만들어 낸 지역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지리산지 농업과 촌락 연구』, 『사대부, 산수 유람을 떠나다』,『근대 일본인의 서울·평양·부산 관광』(2023), 『지리지를 이용한 조선시대 지역지리의 복원』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일본 교토대학교 초빙학자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지리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거를 대상으로 하는 지리학”인 역사지리학을 전공한 저자는 과거의 경관이나 지리적 상황을 복원하고, 각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여 사람들이 만들어 낸 지역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지리산지 농업과 촌락 연구』, 『사대부, 산수 유람을 떠나다』,『근대 일본인의 서울·평양·부산 관광』(2023), 『지리지를 이용한 조선시대 지역지리의 복원』(2021)가 있고, 공저로는 『한국 중소도시 경관사』, 『여행기의 인문학2』, 『조선의 명승』, 『한국역사지리』, 『지명의 지리학』, 『지리산 역사문화 사전』 등이 있다.

정치영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朝鮮時代 明淸 使行 關聯 繪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를 연구하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에도시대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의 영향 , 중국 역대 직공도의 한인도상(韓人圖像)과 그 인식 , 19세기 대청사행(對淸使行)과 연행도 , 중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조선적 변용 , 계미(1763) 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와 공저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朝鮮時代 明淸 使行 關聯 繪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를 연구하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에도시대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의 영향 , 중국 역대 직공도의 한인도상(韓人圖像)과 그 인식 , 19세기 대청사행(對淸使行)과 연행도 , 중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조선적 변용 , 계미(1763) 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와 공저로 전근대 서울에 온 외국인들 , 표암 강세황, 조선 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등이 있다.

정은주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 『역주 원중랑집』1~10(공역, 소명출판, 2004), 『아계 이산해의 학문과 사상』(공저, 지식산업사, 2010),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공저, 돌베개, 2011), 「이용휴의 시문학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등이 있다.

박용만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17세기 동전유통의 정책과 실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고문서와 일기자료를 활용하여 조선시대 일상을 추적하면서 마을을 주제로 조선시대에서 현대까지 농촌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한국 농촌개발과 국제개발』, 「17세기 전반 조극선의 매매기록과 용전경험」, 「18세기 경주 갓뒤마을 동계의 말림갓을 위한 호혜와 협동」,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 등이 있다.

정수환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철학박사)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저서 『숙종 대 왕실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민속원, 2017. 『조선시대의 재난과 국가의례』, 창비, 2009 『종교문화의 안과 밖』(공저), 모시는사람들, 2021. 『인물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공저), 한국국학진흥원, 2020.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와 의물』(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이욱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인교대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교수(HK)로 재직 중이다. 조선의 통치시스템과 위기 극복의 역사를 연구 중이다. 조선 의료사 연구와 더불어 조선사회의 범죄와 그에 따른 처벌 등에 관심을 갖고 통치의 제도화, 정치의 윤리 등을 고민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연암 박지원의 형정론〉, 〈조선후기 흠휼의 두 가지 모색〉, 〈시골 양반 역병 분투기〉, 〈16~17세기 조선의 지방 의국 운영〉,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조선의 명의들》, 《조선왕실의 의료문화》,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 《100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인교대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교수(HK)로 재직 중이다. 조선의 통치시스템과 위기 극복의 역사를 연구 중이다. 조선 의료사 연구와 더불어 조선사회의 범죄와 그에 따른 처벌 등에 관심을 갖고 통치의 제도화, 정치의 윤리 등을 고민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연암 박지원의 형정론〉, 〈조선후기 흠휼의 두 가지 모색〉, 〈시골 양반 역병 분투기〉, 〈16~17세기 조선의 지방 의국 운영〉,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조선의 명의들》, 《조선왕실의 의료문화》,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 《100년 전 살인사건》, 《다산학 공부》(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신주무원록》, 《다산의 사서학》(공역) 등이 있다.

김호의 다른 상품

고전소설 전공.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소 중견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책례의식 및 복식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왕실복식은 물론 연구영역을 확장하여 일반 사대부가의 차림새와 멋내기 연구로 조선 사람들의 맵시에 주목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조선왕실의 미용과 치장』,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치마저고리의 욕망』,『조선사람들의 차림새, 멋내기로 통하다』(2023),『조선시대 제주와 제주문화』(공저, 2023) 「조선 후기의 패션 리더―기생」 등이 있다

이민주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 서울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에포컬 모멘텀』 『기층 리더쉽과 시민공동체』 『이주 노동자들의 권익과 시민공동체』 『식민지주의기억과 역사화해』 『새마을운동 모범사례』,『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2013), 『지역결사체와 시민공동체』(공저, 2007)등이 있다.

한도현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12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468쪽 | 152*225*23mm
ISBN13
9791158667566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8,000
1 2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