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Prologue .......008 Chapter 01.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가 성인이 된 자녀의 삶에 미치는 영향 ................16 Chapter 02.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란 어떤 사람들인가 ................46 Chapter 03.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기분 ................84 Chapter 04.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의 4가지 유형 ................116 Chapter 05.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의 양육 방식에 대한 아이들의 대처법 ................142 Chapter 06. 내부 발산자로 살아간다는 것 ................174 Chapter 07. 좌절과 각성 ................208 Chapter 08.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에게 괴롭힘 당하지 않는 방법 ................238 Chapter 09. 역할과 환상에서 벗어나 살아가는 기분 .................266 Chapter 10. 정서적으로 성숙한 사람을 식별하는 방법 ................296 Epilogue .................328 감사의 말 ................331 참고문헌 ................335 |
Lindsay C. Gibson
박선령의 다른 상품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가 있는 가정에서 자라는 건 외로운 경험이다. 이런 부모는 겉으로는 완벽하게 정상적으로 보인다. 평범하게 행동하면서 자녀의 신체적 건강을 돌보고 식사와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자녀와 확실한 정서적 유대를 맺지 않으므로 자녀가 진정으로 안도감을 느껴야 하는 자리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버린다.
다른 사람이 자기를 봐주지 않아서 생기는 외로움은 몸에 입은 상처만큼이나 근본적인 고통을 안겨주지만,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정서적 외로움은 막연하고 개인적인 경험이라서 보여주거나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여러분은 그걸 ‘공허함’ 또는 ‘세상에 혼자 있는 기분’이라고 할지도 모른다. 어떤 사람은 이 감정을 실존적 고독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거기에 실존하는 건 아무것도 없다. 이런 감정을 느낀다면, 그건 가족에게서 비롯된 것이다.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가 성인이 된 자녀의 삶에 미치는 영향」중에서 정서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부모는 자기 아이의 감정과 본능을 인정하는 방법을 모른다. 이런 인정을 받지 못한 아이들은 다른 사람이 확신하는 듯한 사실에 굴복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어른이 되면 본인이 별로 원치 않는 관계를 묵인할 정도로 자신의 본능을 부정하게 될 수도 있다. 설상가상으로 그 관계를 원만하게 이끌어가는 책임이 본인에게 있다고 믿는다. 자기가 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토록 열심히 노력하는 이유를 합리화하기도 한다. 배우자와 잘 지내려고 날마다 발버둥치는 게 정상적인 일인 것처럼 말이다. 어떤 관계에서든 의사소통과 유대감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지만, 그게 보람도 없이 계속 이어지기만 해서는 안 된다.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가 성인이 된 자녀의 삶에 미치는 영향」중에서 여러분이 어릴 때, 부모나 양육자가 여러분의 진짜 자아에 제대로 반응해주지 않는다면, 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 위해 뭘 해야 하는지 궁리할 것이다. 그리고 그냥 있는 모습 그대로 살아가기보다는 가족 내에서 안전한 장소를 제공해줄 역할 자아 또는 가짜 자아를 발전시킨다(Bowen, 1978). 이 역할 자아가 점점 진정한 자아가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걸 대신하게 된다. 이런 역할 자아는 ‘내가 아주 헌신적으로 행동하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칭찬하고 사랑해줄 것이다’ 같은 믿음을 바탕으로 할 수도 있다. 아니면 ‘어떤 방법을 써서든 저들이 내게 주목하게 만들 거야’ 같은 부정적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부모의 양육 방식에 대한 아이들의 대처법」중에서 내부 발산자들은 감정에 아주 민감하기 때문에, 관계에 있어서 감정적 친밀감의 질에 매우 민감하다. 그들의 전체적인 성격이 감정적 자발성과 친밀감을 갈망하므로 그보다 못한 것에는 만족할 수 없다. 따라서 미숙하고 감정을 두려워하는 부모 밑에서 자랄 경우, 고통스러울 정도로 외로움을 느낀다. [ ]내부 발산형인 아이의 부모가 자기중심적인 경우, 그 아이는 자기 욕구를 숨기고 부모에게 도움이 되어야만 사랑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안타깝게도 부모가 자녀를 믿는 것과 사랑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에, 결국 이 전략의 감정적 공허함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세상 어떤 아이도 자기중심적인 부모의 사랑을 이끌어낼 수 있을 만큼 착하게 굴 수는 없다. ---「내부 발산자로 살아간다는 것」중에서 |
지금 나를 외롭게 한 모든 것에 똑똑하게 이별을 고하는 방법
부모의 성숙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그들과의 관계가 가진 한계를 인정하는 것은 결코 비윤리적인 일이 아니다. 나를 괴롭혀왔던 감정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일 뿐이다. 이 과정을 거쳐야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사랑이나 연대감을 이야기할 때 나는 왜 그렇게 외로웠는지, 특정 가족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왜 그토록 좌절감을 주었는지 같은, 오랫동안 힘겹게 품고 있던 의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 부모의 정서적 미숙함을 이해하면, 그들의 무관심은 우리 때문이 아니라 그들 자신의 문제라는 걸 인정하고 그들 때문에 느끼는 좌절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들이 달라질 수 없는 이유를 알고 부모, 혹은 내게 감정적인 상처를 주는 대상에게 반응하는 방식을 통제할 수 있다. 상대방의 반응에 상처를 받는 대신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준의 관계를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긍정적이고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알고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
아이는 부모를 선택할 수 없고, 안타깝게도 정서적으로 미숙한 부모 때문에 삶이 뒤틀리는 경험을 하며 자라는 사람들이 많다. 깁슨 박사는 우리가 이런 유해한 관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벗어날 수 있도록, 진정한 자립의 길을 제시해주었다. - 토머스 F. 캐시 (올드 도미니언 대학 심리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