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유럽 1950-2017
롤러코스터를 타다 양장
이데아 2020.12.28.
베스트
역사 top100 7주
가격
55,000
10 49,500
YES포인트?
2,7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3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이 상품의 특별 구성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카드뉴스8
카드뉴스9
카드뉴스10
카드뉴스11
카드뉴스12
카드뉴스13
카드뉴스14
카드뉴스15
카드뉴스16
카드뉴스17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9
감사의 말 · 16
서문: 유럽의 두 불안 시대 · 19

1. 긴장된 분열

냉전의 열기 · 34 | 폭탄과 함께살기: 공포인가, 체념인가? · 72

2. 서유럽의 형성

민주주의의 공고화 · 106 | 제국의 후퇴 · 154

3. 죔쇠

죔쇠를 헐겁게 하기: 소련 · 192 | 유고슬라비아의 ‘이단’ · 220 | 죔쇠를 단단히 죄기: 소련 블록 · 233 | 구질서의 유지 · 234 | 구질서가 위협받다 · 248

4. 좋은 시절

‘경제 기적’ · 284 | 복지국가 · 302 | 소비사회 · 305 | 통합을 향한 디딤돌 · 315

5. 파국 이후의 문화

과거의 그림자 · 349 | 과거의 이용과 남용 · 379 | 과거와의 절연 · 394 | 과거 가치와의 단절 · 416

6. 도전

저항과 폭력 · 440 | 다른 1968년 · 480 | 종잡을 수 없는 동유럽 상황 · 494 | 서유럽의 사회민주주의 전진 · 507

7. 선회

곤경에 빠진 경제 · 523 | 불황의 정치학 · 551 | 민주주의가 승리하다 · 582 | 냉전이 돌아오다 · 606

8. 동쪽에서 부는 변화의 바람

페레스트로이카 · 622 | 변화의 동력 · 640 | 여느 때와 다름없이:서유럽이 몰두하는 문제들 · 659

9. 인민의 힘

위성국들이 궤도에서 벗어나다 · 692 | 독일 통일로 가는 예상치 못한 빠른 경로 · 713 | 소련의 긴 죽음의 고통 · 734 | 새로운 시대 · 758

10. 새로운 시작

인종 전쟁 · 772 | 헛된 희망 · 797 | 통합의 희망 · 816 | 맥 빠지는 서유럽에서의 협치 · 828

11. 전 지구적 노출

‘테러와의 전쟁’ · 851 | 지구화, 그 야누스의 얼굴 · 876 | 지구화의 정치적 도전들 · 889 | 유럽연합의 도전 · 901 | ‘푸틴 요인’ · 913

12. 위기의 시대

대폭락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 923 | 긴축 정치 · 939 | 이민자 위기 · 964 | 테러리즘의 위협 · 976 | 푸틴의 공세 · 986 | 브렉시트 · 997

후기: 새로운 불안의 시대 · 1010
옮긴이의 글 · 1052
참고문헌 · 1060
삽화 및 지도 목록 · 1086
찾아보기 · 1088

저자 소개2

이언 커쇼

관심작가 알림신청
 

Sir Ian Kershaw

20세기 독일사회사 연구에 정통한 영국 출신의 저명한 역사학자다. 그는 학계에서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 독일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옥스퍼드 머튼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맨체스터대학과 노팅엄대학을 거쳐 1989년부터 2008년까지 셰필드대학의 현대사 교수로 재직했다. 본래 서양 중세사 연구자였던 커쇼는 1970년대에 들어와 ‘영감을 준 스승’ 마르틴 브로샤트의 ‘바이에른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일상사’(日常史, Alltagsgeschichte)에 주목하며, 평범한 시민들이 히틀러를 어떻게 바라보았고, 왜 나치즘을 지지하게 되었는지 본격적으로 연구한
20세기 독일사회사 연구에 정통한 영국 출신의 저명한 역사학자다. 그는 학계에서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 독일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옥스퍼드 머튼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맨체스터대학과 노팅엄대학을 거쳐 1989년부터 2008년까지 셰필드대학의 현대사 교수로 재직했다.

본래 서양 중세사 연구자였던 커쇼는 1970년대에 들어와 ‘영감을 준 스승’ 마르틴 브로샤트의 ‘바이에른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일상사’(日常史, Alltagsgeschichte)에 주목하며, 평범한 시민들이 히틀러를 어떻게 바라보았고, 왜 나치즘을 지지하게 되었는지 본격적으로 연구한다. 커쇼는 “아우슈비츠로 가는 길을 닦은 것은 증오였지만 그 길을 포장한 것은 무관심이었다”는 주목할 만한 주장을 했는데, 역사에 대한 그의 인식과 통찰을 보여준다.

대표 저서로는 탁월한 전기로 평가받는 『히틀러Ⅰ·Ⅱ』, 20세기 유럽사를 조망한 『지옥여행: 1914-1949년의 유럽』과 『롤러코스터: 1950-2017년의 유럽』, ‘개성과 권력’을 주제로 20세기 유럽의 정치지도자 12명을 분석한 『역사를 바꾼 권력자들』(한길사, 2023)이 있다. 2000년에 최고의 역사 저작에 수여하는 ‘울프슨상’을, 2012년에 ‘라히프치히 북 어워드’를 수상했다. 1994년에 독일연방공화국공로훈장, 2002년에 역사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영국 여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다. 이 책은 30여 개국 언어로 번역·출판되었다.

이언 커쇼의 다른 상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러시아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스탈린 시대의 소련사이며, 최근에는 냉전기 소련 사회의 연구에도 힘을 쏟고 있다. 스탈린 시대의 노동 수용소와 흐루쇼프 시대의 소련 사회, 소련과 냉전 등 소련사의 다양한 주제에 관해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함께 쓴 책으로 『세계화 시대의 서양 현대사』, 『러시아의 민족 정책과 역사학』, 『세계의 과거사 청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유럽 1950-2017』, 『러시아사 강의 1·2』, 『레닌』, 『코뮤니스트』, 『얄타에서 베를린까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러시아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스탈린 시대의 소련사이며, 최근에는 냉전기 소련 사회의 연구에도 힘을 쏟고 있다. 스탈린 시대의 노동 수용소와 흐루쇼프 시대의 소련 사회, 소련과 냉전 등 소련사의 다양한 주제에 관해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함께 쓴 책으로 『세계화 시대의 서양 현대사』, 『러시아의 민족 정책과 역사학』, 『세계의 과거사 청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유럽 1950-2017』, 『러시아사 강의 1·2』, 『레닌』, 『코뮤니스트』, 『얄타에서 베를린까지』, 『실패한 제국 1·2』 등이 있다.

김남섭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12월 28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1128쪽 | 1688g | 152*225*60mm
ISBN13
9791189143213

출판사 리뷰

냉전, 저항, 폭력

먼저, 저자는 20세기 후반 이후 유럽이 맞닥뜨린 가장 큰 곤경으로 ‘냉전’이라고 부르는 동유럽과 서유럽 사이의 전면적인 긴장을 든다. 1989년부터 동유럽의 공산당 정권들이 붕괴하고, 1991년 소련이 몰락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해소된 이 동서 갈등은 20세기 후반의 유럽 역사를 대부분 규정하고 있다. 냉전 시대 동안 중부 유럽과 동유럽에서는 소련에 종속된 공산당 정권들이 통치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1953년의 동독과 1956년의 헝가리, 1968년의 체코슬로바키아, 1981년의 폴란드에서처럼 종종 대규모 폭력으로 자국민들의 저항을 억눌러야 했다. 또 동서 간의 긴장은 1961년 베를린장벽 건설 직후에 벌어졌던 찰리 검문소의 탱크 대치 사건처럼 전쟁으로 치달을지도 모르는 일촉즉발의 위기를 불러일으켰다. 1년 뒤 1969년에는 저 멀리 쿠바에서의 미사일 위기가 유럽의 안보를 위협하기도 했다.

서유럽 국가들의 국내 정치도 불확실성과 불안정하기는 매한가지였다. 예컨대 프랑스의 샤를 드골 이전 프랑스의 정부는 불안정하기 짝이 없어서 몇 주 동안 정부 없는 마비 상태를 종종 경험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1945년부터 1970년까지 정부의 평균 존속 기간이 채 1년이 되지 않았다. 1960년대 후반에는 특히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68운동’으로 알려진 청년들의 대대적인 저항이 분출했다. 이 저항은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에서 개혁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저항과 함께, 1960년대 말 동안 유럽 전역을 뿌리부터 뒤흔들기에 충분했다.

탈식민화와 위기

한편, 20세기 후반 이후 유럽의 일부 강대국들은 탈식민화도 겪게 된다. 영국은 비교적 평온하게 자신의 오랜 제국을 해체하는 데 성공했지만, 프랑스와 포르투갈은 인도차이나와 알제리, 앙골라와 모잠비크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현지인들과 값비싼 전쟁을 치러야 했다. 더불어 이 시기 동안 자국내에서 격렬한 폭력 사태도 겪었다. 이탈리아에서는 붉은 여단이, 서독에서는 바더마인호프 그룹이 도시 게릴라 무장투쟁에 호소하면서 극좌 테러 활동에 돌입했고, 특히 이탈리아의 경우 급진 우익 그룹들의 테러 공격도 광범하게 진행되었다. 그리고 북아일랜드의 민족주의자들과 바스크 지방의 분리주의자들도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폭력에 기댔다.

1973년의 오일쇼크와 2008년의 금융위기가 오래 지속된 성장을 중단시키면서 경제를 파탄시키며 유럽인들을 고통에 빠뜨리기도 했다. 냉전이 종결된 후인 1990년대에는 발칸 지역에서 이념과 인종, 종교가 뒤얽히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유럽 내에서 전쟁이 벌어지며 때로 ‘인종 청소’의 양상을 띤 대량 학살로 이어지기도 했다. 한편 1990년대 이후 유럽 통합과 ‘지구화’가 진행되면서 동유럽이나 유럽 외 지역으로부터 수많은 이민자들이 서유럽 국가들로 밀려들어 왔다. 이는 ‘유럽인들만의 유럽’을 지키려는 포퓰리즘 운동으로, 점점 더 유력한 정치집단으로 성장하여 권력을 장악하는 데까지 성공했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와 캅카스에서 전쟁이 발생하고, 미국이 주도한 1990년의 걸프 전쟁과 2001년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2003년의 이라크 전쟁에 가담하긴 했지만, 평범한 유럽인들의 삶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번영과 불확실성

1950년부터 2017년까지 유럽이 위기만 경험한 것은 아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유럽이 처했던 상황과 비교해 볼 때 거의 ‘기적’에 가까운 성취를 이루기도 했다.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경제적으로 부유한 삶을 누리게 되었다. 이 시기 동안 대륙의 서쪽에서는 ‘황금시대’라고 불릴만한 고도성장이 있었고, 심지어 공산주의 치하의 동쪽에서도 그 정도는 아니었지만 ‘백은시대’라고 칭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 발전이 꾸준히 진행되었다. 유럽이 이렇게 번영을 구가할 수 있었던 것은 북대서양조약기구라는 군사동맹을 통해 미국이 유럽의 안보를 사실상 책임져온 현실 덕분이기도 했다.

한편, 유럽은 20세기 후반 이후 거의 모든 국가에서 민주주의가 확대됐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굳건해 보이던 그리스와 포르투갈, 스페인의 권위주의 체제는 오일쇼크 직후인 1974~1975년에 연달아 붕괴했고, 민주주의 국가로 변신했다. 동유럽의 공산주의 독재국가들도 1989년 소련 블록의 붕괴 이후 표면적으로나마 다원주의적 의회민주주의 체제를 채택했다. 비록 러시아와 터키, 벨라루스 등지에서 다시 권위주의 체제가 강화되고 있지만, 민주주의는 유럽의 대세가 되었다. 저자의 표현에 따르면 “오늘날의 유럽은 자신의 오랜 역사에서 어느 때보다도 평화롭고, 번창하며, 자유로워졌다.”

유럽의 번영이 미래에도 계속 진행될 수 있을까? 브렉시트, 외국인 혐오 정당들의 지속적인 대두, 국제 테러리즘의 위협, 난민과 유럽 사회의 분열 등은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다. 최근 급속한 기후변화와 팬데믹과 같은 지금껏 직면해왔던 것과는 다른 도전들이 유럽에 놓여있다. 저자의 답은 이렇다. “다가올 몇십 년 동안 무슨 일이 벌어질지를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일하게 확실한 사실은 불확실성이다. 불안은 근대적 삶의 특징으로 여전히 남아 있을 것이다. 자신의 역사를 특징지었던 유럽의 파란만장과 우여곡절은 확실히 계속될 것이다.”

추천평

“위대한 성취를 이뤄낸 책…이 피비린내 나는 지역에 대해 이보다 더 탁월한 안내서는 없을 것이다 … 악을 향한 인간의 능력에 대한 냉혹한 교훈.” - [뉴 스테이츠맨 (New Statesman)]
“소름 돋는 대서사…읽지 않을 수 없다.” - [뉴욕타임스 (New York Times)]
“권위 있는 책” - [이코노미스트 (Economist)]
“우리는 위대한 역사가의 영향 아래 있다.” - [스펙테이터 (Spectator)]
“10년 후에도 여전히 읽힐 책을 저술한 극소수 역사학자 중 한 명의…업적이다.” - [메일 온 선데이 (Mail on Sunday)]

리뷰/한줄평11

리뷰

8.8 리뷰 총점

한줄평

9.7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선택한 상품
49,500
1 49,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