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읽었던 대니얼 J. 레비틴 『정리하는 뇌』와 접점이 있다. 사람의 기억에는 한계가 있다. 배운 걸 생각하면서 통찰력을 키우고 적재적소에 써먹을 수 있도록 정리하는 사고 시스템을 만들라는 소리다. “애초에 옮겨 적기의 최대 목적은 ‘잊어버리기’ 위해서다. 잊어버리는 것으로 뇌의 작업 용량을 확보해 눈앞의 지적 생산에 집중하기 위함이다. 필요한 때가 되면 외부의 지적 축적에서 정보를 다운로드해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밀한 검색 기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토드 로즈 『평균의 종말』과도 비슷한 말을 하고 있다. “혁신 그 자체를 체계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어디에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뭔가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애매한 영역에 대한 직감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 이는 예정조화적인 도구나 지식의 조성과 대비되는 ‘브리콜라주’(손에 닿는 재료를 짜 맞추어 창조적으로 활용한다는 뜻으로 문화 상품이나 현상을 재구축하는 전술의 일종) 능력이다. “독서를 그 사람의 독특한 지적 전투력에 얼마나 연결시킬 수 있는지는 바로 이 감각을 느끼는 감도에 크게 좌우된다.” 동질성이 높은 의견이나 책만 접하면 지적 축적이 독선에 빠지거나 편협해지므로 마음 편한 인풋만 받아들이는 건 경계해야 한다.
독서는 크게 ‘단기적으로 일에 필요한 지식, 자신의 전문 영역 심화, 교양 넓히기, 오락’이라는 네 가지 목적이 있다. 써두기만 하고 다시 들춰보지 않는 독서 노트 채우기에 급급해선 안 된다. 필요할 때 되돌아가서 참조할 수 있는 방법(독서노트, 밑줄 긋기, 태그 정리)을 책의 종류의 따라 선별한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정보는 가치가 없다. 타인과 다른 정보를 인풋 하는 것(차별화)이 독학 전략의 최대 포인트다. “평균적인 어른이 1분 동안 읽을 수 있는 글자 수는 대략 200~400단어이고, (전문서를 제외한) 평균 도서는 10~12만 자로 구성된다. 만일 독서 속도를 1분에 300단어로 가정한다면 보통 책은 한 권 읽는 데 대여섯 시간 정도가 든다.” 막무가내 비효율적 독서는 어리석다. ‘1년간 읽을 수 있는 최대치의 책 분량을 어디에 분배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슈는 장르보다는 ‘테마’에 따라 방향성을 추구하길 권한다. 테마와 장르가 크로스오버되면 더욱 좋다. 이건 나도 가지고 있는 습관인데, ‘시간’에 대해 알고 싶을 땐 그와 관련된 소스들, ‘인간 심리’에 대해 파고들고 싶을 땐 장르 가리지 않고 주요 도서와 영화들을 찾아본다. 이런 것들을 고를 때도 내 본성과 흥미를 주축으로 하기 때문에 행위 자체가 즐겁고 다른 이와 차별된 시각이 나온다. 기록, 대화에서도 두루뭉술 하지 않고 육하원칙을 확실하게 아웃풋에 넣는 것도 지적 전투력을 높인다. “어떤 분야의 책을 한 시기에 몰아서 읽으면 한 권 한 권의 내용이 상호 연관되어 보다 단단히 머릿속에 정착”되므로 ‘관련 분야 묶어서 읽기’도 효율적인 독서법이다. 메타포(metaphor) 독서와 메토미니(metonymy:환유) 독서 두 종류로 나뉘는데, “메타포적 독서에는 독서의 대상이 되는 영역이 가로로 중첩된다. 예를 들어 리더십론을 읽고 처음으로 남극점에 성공한 아문센에 흥미를 느끼게 되어 다음으로 아문센의 남극 탐험기를 본다면, 메타포적 독서라 할 수 있다.” 메토미니적 독서는 책 사이에 종적 계층 구조를 형성해 전체의 형상을 떠올리기 쉽다. “베네치아에 관한 책을 읽고 베네치아에 흥미가 생긴다면, 다음에는 곤돌라나 베네치아가 수송 요청을 받은 제4차 십자군에 대해 조사해보는 식이다.” 이렇게 누적된 독서량이 어느 단계를 넘어 책과 책의 관계성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독서 속도에는 가속도가 붙고 정리 및 구조화에도 체계가 잡힌다. 그러므로 책과 책 사이의 관계를 메타포와 메토미니의 구조로 파악하는 습관을 들이자! 우리가 획득해야 하는 것은 인포메이션(단순한 정보)이 아니라 인텔리전스(정보로부터 시사와 통찰)이다. 빅 데이터가 인간의 지식을 압도하고 있지만, “사람이 독학의 미디어로서 효율적인 이유는 사람이 가진 고도의 필터링 능력과 문맥 이해력 때문이다.” 독학에서 독서, 영화, 인터넷, 광고 등 유효한 리소스가 많지만, 식견이 있는 사람을 만나 그 사람으로부터 가르침과 지식, 견문을 얻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학습 방법이라고도 슈는 권한다. TED, 북 토크 붐도 그런 현상의 연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