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이 다음번 새로운 시작의 후보로 명왕성 탐사계획을 꺼내 들었다가 공격을 받은 뒤였다. 화성이 더 중요하고 지구에서 가기도 쉽기 때문에 명왕성은 나중으로 미뤄도 된다고 누군가가 주장하자 헌텐은 자리에서 일어나 회의실 안을 한번 둘러본 뒤 명왕성에 탐사선을 보내야 하는 모든 과학적 이유들을 요약해서 발언하기 시작했다. 그러고는 크게 소리치는 듯한 목소리로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젠장! 탐사선이 명왕성에 도착할 때쯤 나는 세상에 없을 겁니다. (중략) 그래도 이건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 맞습니다. 과학이 중요해요. 그러니 그냥 합시다.”
--- p.115, 「제3장_황야에서 보낸 10년」 중에서
한동안 제안서 팀원들이 나(앨런 스턴)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내가 너무 많은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너무 많은 검토, 너무 많은 수정, 너무 많은 야간근무와 주말근무. 나는 그저 제안서만 제출하려고 이 일을 하는 것이 아니었다. 우승이 아니면 그냥 집으로 돌아가는 수밖에 없었다. 2등에게는돌아오는 것이 전혀 없었으므로 해내지 않으면 무너질 뿐이었다.
--- p.183, 「제4장_죽어도 죽지 않는」 중에서
“NASA의 뉴호라이즌스 호가 솟아올라 명왕성과 그 너머까지 10년간의 여행을 시작했습니다!” 거대한 아틀라스는 미친 듯이 가속하며 올라가고 있었다. 로켓 아래쪽의 불꽃이 로켓 몸체 길이의 두 배는 될 만큼 길어졌다. 게다가 믿을 수 없을 만큼 밝게 타오르고 있어서 몇 킬로미터나 떨어진 곳에서 봐도 눈이 아플 정도였다. 그래도 사람들은 눈을 돌릴 수 없었다. 마치 최면에 걸린 것 같았다. 로켓이 인류 역사상 가장 먼 곳을 향해 탐사여행을 떠나고 있었다. 과학소설 같지만 아니었다!
--- p.322, 「제9장_초음속으로」 중에서
IAU(국제천문연맹)의 표결결과에 언론은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들은 무엇보다 명왕성이 ‘강등’되었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지만, ‘강등’은 지위가 내려가서 중요성이 줄어들었다는 뜻이므로 중립적인 용어가 아니다. (중략) 많은 행성학자들은 주류 언론매체들이 명왕성 재분류를 기정사실처럼 보도하며, IAU의 권위를 아무 의문 없이 받아들이는 것에 기분이 상했다. IAU는 행성학자가 아니라 주로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단체이니, 행성처럼 흔히 사용되는 단어를 정의할 권위가 있다고는 볼 수 없었다. 천문학자의 표결이 이뤄진 뒤 2주도 안 되어서 수백 명의 행성학자(프라하에서 표결에 참여한 천문학자의 수보다 많았다)이 IAU의 정의에는 결함이 너무 많기 때문에 자신들은 사용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청원서에 서명했다. 언론은 이 청원서를 대부분 무시해버렸다.
--- p.346, 「제10장_목성, 그리고 그 너머의 우주」 중에서
처음 시작했을 때 우리 팀이 실제로 이 일을 해낼 것이라고 믿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나(앨런 스턴)는 팀원들이 명왕성에서 날아올 여러 사진들과 데이터에 빠져 몹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으며, 우리 모두 완전히 새로운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배우게 될 것이라고 앨리스에게 말했다. 또한 지금부터 명왕성에 도달할 때까지 하루하루를 음미하라는 말도 했다. 우리들 중 누구도 십중팔구 다시는 이런 일을 경험하지 못할 테니까.
--- p.434, 「제13장_변방에 접근하다」 중에서
“저기 밝은 지역이 하트 모양 같지 않아요?” 그녀가 이 말을 하자마자 그 생각이 사람들의 머리에 박혀버렸기 때문에 정말로 그 지역이 하트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다음 날 NASA가 〈명왕성에 하트가 있다」 중에서 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놓자 순식간에 엄청난 화제가 되었다. 사람들에게서 더욱더 관심을 이끌어내는 데 이것만큼 완벽한 소재는 없었다. 소셜미디어에서도 명왕성의 하트라는 말의 검색어 순위가 치솟았다. 결국 명왕성의 상징이 된 이 하트는 태양계 가장자리에서 이렇다 할 관심을 받지 못하던 이 작은 행성을 애정의 대상으로 만들어놓았다. 겨우 며칠 만에 수많은 웹툰, 티셔츠, 원피스, 냉장고 자석, 주문제작 장신구, 어린이용 봉제완구 등에 이 ‘하트’가 등장할 정도였다. 나중에 켄틸로는 이렇게 표현했다. “2015년 여름에 세계는 명왕성의 ‘하트’에 마음을 품었다.
--- p.470, 「제15장_드디어 공연 시작」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