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평행법에 의한 시편 제4권(90-106편) 해석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평행법의 원리
제1장 텍스트 언어학(Text Linguistics)
제2장 히브리 시의 특징: 평행법

제2부 한 텍스트로서 시편 제4권(90-106편)
제1장 시편 89편 다윗 언약의 회복을 위한 기도
제2장 시편 90편 인생의 덧없음과 슬픔과 고통에 대한 탄식과 기도
제3장 시편 91편 주는 우리의 보호자
제4장 시편 92편 높이 계신 여호와를 찬양
제5장 시편 93편 여호와의 영원한 다스림을 찬양
제6장 시편 94편 하나님의 공의를 구함
제7장 시편 95편 왕 되신 여호와와 그의 행사를 찬양
제8장 시편 96편 여호와 우주적 통치의 찬양을 권함
제9장 시편 97편 여호와의 의로운 통치를 기뻐함
제10장 시편 98편 여호와의 구원과 의로운 심판을 바라보며 찬양
제11장 시편 99편 여호와의 거룩하심과 의로운 심판을 찬양
제12장 시편 100편 여호와의 왕 되심과 그의 선하심을 찬양하고 감사함
제13장 시편 101편 사랑과 공의로 통치하리라는 왕의 서약
제14장 시편 102편 고난 가운데 기도와 확신
제15장 시편 103편 여호와의 사랑과 자비를 찬양
제16장 시편 104편 여호와의 창조 질서와 풍요를 찬양
제17장 시편 105편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나타난 여호와의 행사
제18장 시편 106편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백성의 범죄와 하나님의 은총

참고 문헌

저자 소개1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B. 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미국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Th. M., 구약학) 미국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 D., 구약학)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역임 관동대학교 기독교학과 겸임 교수 역임 현, GMS K국 현지 교회 지도 목사 현, K국 국립사범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현, 중앙아시아 개혁신학교 운영위원장 저서 『나를 버리고 예수를 얻다』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7) 『산상수훈 강해: 나를 따르라』 (서울: CLC, 2018)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B. 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미국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Th. M., 구약학)
미국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 D., 구약학)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역임
관동대학교 기독교학과 겸임 교수 역임
현, GMS K국 현지 교회 지도 목사
현, K국 국립사범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현, 중앙아시아 개혁신학교 운영위원장

저서
『나를 버리고 예수를 얻다』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7)
『산상수훈 강해: 나를 따르라』 (서울: CLC, 2018)
“The Garden of Eden in Ezekiel 28” (박사 학위 논문)

최석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7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232쪽 | 153*224*20mm
ISBN13
9788934122920

책 속으로

우리는 히브리 시에서 리듬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동의할 수는 있다. 하지만 우리가 마소라 텍스트(Masoretic Text)의 엑센트 표시에 의존하는 한, 아무리 마소라가 신뢰할 만하더라도, 히브리 성경에 리듬으로 접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므로 필자는 히브리 시에서 음율이나 리듬의 특징을 아델 베를린(Adele Berlin)과 같이 평행법 내 행이나 절에서 음성적 유사성을 살펴보는 것이 훨씬 현실적이라고 본다.
--- p.25

시편 89과 90편 모두 공동체 애통을 노래한다. 89편에서 주로 다윗 언약 파기를 애통해했다면 시편 90편에서 보편적 인생의 덧없음과 고통에 대해서 탄식했다. 시편 89편에서 하나님께서 진실한 사랑으로 다윗에게 맹세하신 언약이 파기되었다. 나라도 멸망했고 왕조는 사라져 버렸다. 그래서 시편 제4권에서 모세 언약과 아브라함 언약에 더욱 의존한다. 4권의 첫 번째 시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의 기도를 통하여 그들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이 계속될 것을 소망한다(13-17절). 모세는 과거에 이스라엘 백성을 위하여 하나님께 기도하여 하나님의 응답을 받은 자였다(출 32:11-14).
--- p.85

시편 99편은 거룩하신 여호와가 그 성소에서 하나님의 백성을 포함한 모든 백성을 의로 통치하시니 찬양하라는 말씀이다. 하지만 이 주제 이면에 포로 후기 이스라엘 백성의 구원에 대한 소망이 담겨 있다. 그들은 과거 그들의 역사에서 백성을 위한 위대한 중보자였던 모세와 아론과 사무엘을 그리워한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인하여 다시 한번 그들의 민족에게 은혜를 베풀기를 소망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편의 4권은 그 첫 번째 시편 90편이 모세의 시로 시작하고, 그 중간에 99편에서도 그를 언급하며, 마지막 106편에서도 그의 중보 기도를 언급한다(23절).
--- p.145

시인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처음 택하셨을 때, 다른 민족보다 적었음을 상기시킨다. 그들이 너무나 유약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언약을 지키기 위하여 주변의 왕들로부터 보호해 주셨다. 사실상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택하신 이유가 그들이 수가 많아서가 아니라 오직 그들을 사랑하셨기 때문이라고 했다(신 4:37; 7:7-8). 시인은 족장들을 하나님의 “기름 부음 받은 자들”과 “선지자들”이라고 한다(15절). 이것은 시인이 창세기의 아브라함의 기사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 p.206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