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EPUB
가끔은 숲속에 숨고 싶을 때가 있다
eBook

가끔은 숲속에 숨고 싶을 때가 있다

[ EPUB ]
김영희 | | 2021년 11월 26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11월 26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54.94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6.7만자, 약 2.3만 단어, A4 약 42쪽?
ISBN13 9791158161415

이 상품의 태그

달러구트 꿈 백화점 : 잠들어야만 입장 가능합니다

달러구트 꿈 백화점 : 잠들어야만 입장 가능합니다

9,100 (0%)

'달러구트 꿈 백화점 : 잠들어야만 입장 가능합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긴긴밤

긴긴밤

8,100 (0%)

'긴긴밤' 상세페이지 이동

공정하다는 착각

공정하다는 착각

12,600 (0%)

'공정하다는 착각' 상세페이지 이동

밝은 밤

밝은 밤

10,200 (0%)

'밝은 밤' 상세페이지 이동

지리의 힘

지리의 힘

14,000 (0%)

'지리의 힘' 상세페이지 이동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17,000 (0%)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가재가 노래하는 곳

가재가 노래하는 곳

11,200 (0%)

'가재가 노래하는 곳' 상세페이지 이동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12,500 (0%)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상세페이지 이동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10,000 (0%)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상세페이지 이동

달러구트 꿈 백화점 2

달러구트 꿈 백화점 2

9,660 (0%)

'달러구트 꿈 백화점 2' 상세페이지 이동

공간의 미래

공간의 미래

11,200 (0%)

'공간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달까지 가자

달까지 가자

9,800 (0%)

'달까지 가자' 상세페이지 이동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11,760 (0%)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상세페이지 이동

춥고 더운 우리 집

춥고 더운 우리 집

12,000 (0%)

'춥고 더운 우리 집' 상세페이지 이동

행동경제학

행동경제학

18,000 (10%)

'행동경제학' 상세페이지 이동

밤의 여행자들 - 오늘의 젊은 작가 3

밤의 여행자들 - 오늘의 젊은 작가 3

9,800 (0%)

'밤의 여행자들 - 오늘의 젊은 작가 3'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사이엔 오해가 있다

우리 사이엔 오해가 있다

9,500 (0%)

'우리 사이엔 오해가 있다' 상세페이지 이동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

11,200 (0%)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것은 그 자리에

모든 것은 그 자리에

13,860 (0%)

'모든 것은 그 자리에' 상세페이지 이동

센서티브

센서티브

9,800 (0%)

'센서티브' 상세페이지 이동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들어가며 식물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일


1부 이 숲에 뭘 하러 왔더라?
나물을 뜯다가, 꽃비를 맞았다
바람결에 꽃가루 날려서
제대로 핀 꽃에서 향기가 난다
꽃을 선물하는 즐거움
열매가 열리는 나무는 따로 있다
모두 조금씩 다르게 생겼다
시부거리를 아세요?

2부 이상한 아이
나, 덩굴개별꽃
잎을 찬찬히 펼쳐보면
청개구리를 보면 브레이크를 밟아라
드릴 게 없으니 이거라도 드세요
엄마의 택배 상자
우리 집 사용 설명서
사랑스러운 사람들
이상한 아이

3부 조금 느려도 괜찮아
나의 이정표
나를 닮은 아이
시간이 멈춘 숲
그냥 자연스러운 것
늙지 말고 사소
손길 가는 서어나무
내가 신경쓸 일 아니야
호수에도 단풍이 든다

4부 오늘도, 파릇
오래된 빚을 갚았다
평온한 하루의 끝, 어떡하지?
너무 날카롭지 않고 너무 뭉툭하지도 않게
배추꽃이 피었다
이십 년 지기를 보내며
폭설 스케치
당신은 아세요?
완벽한 적당함
겨울일까, 봄일까


톺아보기 책에서 만난 식물들

저자 소개 (1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모르는 사이 바깥에서 일어나는 당연한 순환
숲에 들어가기까지 우리가 만나야 하는 것들

저자가 제시하는 ‘자연 바라보기’는 도달이나 성취가 아니다. 그것과는 거리가 먼 사색과 탐사에 가깝다. 물론 산을 오를 때에 정상에 오르겠다는 목표나 그곳에 올라 ‘야호’를 외친 뒤 너머에서 들려오는 메아리를 듣겠다는 목표가 있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저자는 그보다 다른 것들에 주목한다. 바로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애정”이다. 산과 숲에서 우리가 원하는 장면을 보기 위해서는 “지난해 줄기가 땅바닥에 자빠진 모습도 보아야 하고, 주변 밤나무에서 떨어져 겨울 동안 너덜너덜해진 밤송이도 만나야” 하며 “조팝나무와 쥐똥나무도 헤치고 지나야 하고 두꺼운 낙엽을 밟아서 미끄러지기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모를 작은 꽃들을 만나기 위해서는 그 주변도 함께 눈에 담아야” 하므로, 저자는 자연에서 만난 어쩌면 스쳐지나가는 풍경이 될지도 모르는 곳에 하나하나 다정하고 따뜻한 시선을 보낸다. 세심한 관찰력이 장점인 저자는, 어릴 적에 예쁜 꽃 한 송이를 눈여겨보았다가 식물에 대해 좀더 공부하게 된 후 그 꽃을 기억해내고 ‘쇠뿔현호색’이라는 신종으로 학계에 발표할 수 있게 된다. 탐사가로서 숲을 다니는 입장이지만 숲에 핀 꽃인 ‘덩굴개별꽃’이라는 꽃의 시점에서 인간의 방문을 관찰해보기도 하고, 부모님이 농촌에서 보내주신 꽉 찬 택배 상자 속에서 배춧잎을 하나 발견하고는 곁에 두고 관심을 기울이며 꽃을 피워내기도 한다.
한 번 가본 숲길 산길은 절대 잊어버리지 않는 그이지만, 도회지의 길에서는 무지 상태가 되어버리고 만다. 남들은 건물이나 간판을 보고 잘만 찾아가는 도시에서 자주 헤매고 길을 잃는다. 그곳에서 길을 찾을 수 있는 그만의 비법은 도시의 틈에 자리한 자연, 즉 가로수들이다. “지금 보이는 가로수가 무슨 나무야”라는 질문에 “회화나무”라고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고, “회화나무 가로수가 끝나고 버드나무가 시작되는 곳이 있을 거야. 세번째 버드나무 아래서 내가 기다리고 있을게”라는 안내에 의지해 길을 찾을 수 있다. 길가의 나무가 그에게는 이정표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우리에겐 당연한 것이 저자에겐 당연하지 않은 대신, 저자에게 당연한 이름들이 우리에겐 종종 낯설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상생으로 독자는 책 속에서 숲의 풍경을 읽고 비로소 소통하게 된다.

“내가 비목나무를 모를 때 이 숲에 비목나무는 단 한 그루도 없었다”
가까이 들여다보며 이름들을 알아가는 일

책 속에는 식물에 대한 전문 지식보다는 직접 체험한 일상과 그에 대한 감상이 곳곳에 녹아 있다. 산그늘이 지고 멀리서 들려오는 소리를 들으며 “청개구리 소리 같다”고 말하는 어머니와 남의 집 마당에 심어진 초피나무를 보고 열매도 안 열리는 수그루만 심으면 어떡하느냐는 아버지가 있다. “시부거리가 어디냐”는 질문에 그 이름이 붙은 유래를 알려주는 버스기사도 있다. 누군가는 직접 지나온 시절 그리고 다른 누군가는 글을 통해 접하는 장면 그 사이에 이 책은 존재하고 있다.
이렇듯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저자의 모습은, 따스한 그림과 어우러져 감성을 더해준다. 그림의 부드러운 스케치와 색채는 ‘물기를 머금은 숲속’이라든가 ‘새벽이슬 머금은 잔디’처럼 우리에게 관념적으로 존재하는 자연을 선명히 보여준다. 그림을 보며 함께 글을 읽으면 눈앞에 푸른빛이 차오를 것이다.
자연스레 궁금해져오는 것도 있겠다. 이 나무는, 꽃은 어떻게 생겼을까 하는 생김새에 관한 질문이다. 독자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책의 맨 뒤에 ‘톺아보기’를 통해 저자가 탐사하며 직접 찍은 사진들을 수록하였다. 하나하나의 이름과 함께 사진이 첨부되어 있으니, 만나고 싶은 이름이 있다면 눈여겨보았다가 언젠가 숲에 들어가게 되면 만나보길 바란다. 전에 숲에 들어왔을 때는 모든 것이 나무이고, 나무 아닌 것은 풀이고, 꽃이 피어 있으면 그저 꽃이었던 것들이 하나하나 제 이름을 찾아가고 시선 닿은 곳마다 새로운 의미가 되어오는 순간. 무성한 것들의 이름을 알아가는 일, 그 이름들에 마음을 나누어주는 일.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시작할 자연 탐사의 첫 걸음이 아닐까.
책을 읽어가다보면 유독 마음에 움트는 새싹 같은 이름이 하나쯤은 있을 것이다. 이후에 당신이 언젠가 ‘가끔은 숲속에 숨고 싶을 때’에 숲을 찾게 된다면 그곳에 숨어 있는 당신만의 식물을 찾아서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저자가 풀어내는 이 에세이 속에서 하나쯤 찾아낸 이름으로 당신의 계절이 좀더 푸르러진다면 좋겠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