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들어가는 말 탄소중립의 에너지게임 체인저, 수소1장 : 수소에너지와 기술 _백문석미래의 에너지 수소와 가치사슬 수소의 종류와 생산방식 수소 관련 기술 현황과 전망수소에너지의 과제 2장 : 수소경제와 우리의 미래 _김진수에너지 전환의 시대우리나라의 수소경제 활성화 전략 대한민국과 수소 2050 탄소중립 전략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수소경제가 그리는 미래 3장 : 해외 탄소중립 및 수소경제 동향 _이경북탄소중립과 수소경제해외 주요국의 탄소중립 정책 해외 주요국의 수소 정책 글로벌 석유기업들의 대응 전략수소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4장 : 천연가스와 블루수소 _민배현브리지에너지원으로서 천연가스의 역할과 전망블루수소의 역할과 전망전 세계 탄소배출 현황과 전망 CCUS 기술 현황과 전망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맞이하며5장 : 신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_이준석탄소중립의 실질적 주관자, 신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의 대표주자 태양광 및 풍력석유메이저들의 재생에너지 사업 진출부유식 해상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6장 : 수소의 저장과 운송 _이준석에너지 캐리어 수소의 저장 … 195수소의 운송방법과 기술해외의 수소 운송7장 : 수소의 활용과 수소 생태계 _김기현섹터 커플링의 리더, 수소에너지 수소에너지의 활용 국내 수소 생태계의 구축 및 활성화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및 제언 8장 : 해외 수소의 생산과 도입 _천영호수소 로드맵상의 도입 계획글로벌 수소 생산 상황 중장기 글로벌 수소 사용 예측수소의 생산단가중장기 글로벌 수소 생산가격 예상 수소의 저장 및 운송 비용일본의 수소 도입전략해외 수소 도입 시 고려사항 참고 문헌
|
수소는 전 세계가 맞닥뜨릴 미래의 에너지이자 탈탄소를 향한 커다란 도약이다1874년 프랑스의 세계적인 작가 쥘 베른(Jules Verne)은 그의 저서 신비의 섬(Mysterious Island)에서 ‘언젠가 수소는 열과 빛의 무궁무진한 공급원이 될 것이다’라는 예언을 했다. 2003년 미국의 부시 조지(Bush George) 대통령은 ‘오늘 태어난 아기의 첫 번째 차의 연료는 수소일 것이다’라고 했다. 그리고 2021년 현재, 기후변화와 관련한 탄소중립 목표가 전 세계적으로 수립되면서 수소가 각광받고 있다.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하여 세계가 주목하는 에너지 전환의 방안은 크게 두 가지이다. 화석에너지 위주의 에너지 사용을 태양광, 풍력 등의 청정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고, 전기화가 가능하지 않은 섹터는 수소를 이용하는 것이다. 앞으로 다가올 수소경제를 위해 EU, 미국, 일본, 한국 등을 비롯한 주요 선도국가들이 수소 생태계 관련 기술개발과 글로벌 수소 공급망 구축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1년 10월에는 수소 선도국가 비전을 통해 2030년에는 390만 톤, 2050년에는 2700만 톤의 청정수소를 사용계획을 발표하고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첫 번째 에너지’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이다. 이 외에도 현대차, SK그룹 등 국내 대기업과 관련 중소기업들이 2030년까지 43조를 투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하여 수소 관련 일자리도 5만여 개 이상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듯 수소는 친환경 에너지 혁명을 일으킬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이 책은 2050년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및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한 해결책으로 수소의 가능성을 재확인할 기회가 될 것이며, 수소경제 관련 기초지식 습득을 원하는 사람들과 수소 관련 사업을 추진하면서 최신 기술 동향과 정보가 필요한 사업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집필됐다.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됐으며, 수소에너지란 무엇인가, 왜 수소가 미래 에너지로서 주목받고 있는지 등 수소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해 수소경제에 관한 우리나라의 수소경제 활성화 전략과 2050 탄소중립 전략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앞으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기 무엇인지도 이야기한다. 아울러 국내외 수소경제 정책 동향과 글로벌 석유기업들의 대응 전략 및 천연가스와 블루수소, 신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등 수소의 종류와 각 특징에 따른 생산방법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수소의 생산, 저 장·운송 및 활용과 관련된 기술과 국내외 사업 동향도 더불어 소개하며, 끝으로 수소의 가치사슬(Value Chain) 전반에 걸친 단가와 해외 수소의 도입 현황에 대해서도 다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