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ㆍ어서 오세요, 여기는 오생리입니다봄 겨울을 지나온 것은 향긋하다오래 간직하고 싶은 봄빛 향기_냉이 장아찌날마다 짙어지는 봄의 농도_쑥 와플뒤늦게 만난 깊고 진한 봄맛_머위꽃 된장시간을 먹고 자라난 향기_더덕구이접시 위에 내려앉은 봄 풍경_갓꽃 파스타사소하지 않은 수고로움_고사리 솥밥끝물도 맞춤한 자리는 있으니_두릅 김밥 톡톡 터지는 싱그러운 생명력_돌나물 비빔밥할머니, 이젠 제 차례예요_돌미나리전식탁 위에 피어난 봄의 절정_아까시꽃 튀김여름 짧은 밤에도 별빛은 밝게 빛나고여름을 상큼하게 맞이하는 법_완두콩국수 혼자서는 만들어낼 수 없는 맛_감자 샐러드장마철의 눅눅함을 달래주는 따끈함_수제비나의 완벽한 여름밤_보리차 밥과 오이지할아버지의 눅진한 사랑_다슬기 장조림 쏟아지는 별처럼 달콤한 위로_복숭아 병조림 할머니를 응원하는 한 그릇_토마토 스파게티호캉스보다 좋은 나의 여름 나기_호박잎쌈지루한 여름날에 빨간 악센트를_방울토마토 마리네이드올여름의 마지막 열무김치_열무김치 비빔밥가을 열매가 없어도 저마다의 속도로 물들어간다작지만 확실하고 고소한 행복_들깨꽃송이 튀김감칠맛 가득한 가을 한 그릇_고추 다지미 파스타적막한 산에 밤송이 떨어지는 소리만_밤잼불안해도 묵묵히 정성을 담아_사과 구이낱알 하나에 담긴 깊은 사랑_햅쌀밥과 숭늉젤리처럼 말랑하고 투명한 웃음_감말랭이순하고 향긋한 나날_가을 냉이 크림수프가끔은 실패해도 괜찮아_콩 커리호박을 쪼개는 좋은 날_늙은 호박 크럼블불안도 추위도 사르르 녹이는 맛_묵은지 된장 지짐 겨울 추울수록 포근하고 정겹다쓸쓸함을 덜어주는 투박한 위로_빵지금은 당연한 듯 함께지만_김장 김치와 수육눈 오는 날에 따끈하게_어묵탕 익숙함에 더하는 새로움 한 스푼_감태 버터언제라도, 부드러운 다독임_양배추롤여러 향을 품은 따스한 한 잔_뱅쇼서리와 겨울바람에 깊은 맛 든다_시래기 오일 파스타그립고도 정겨운 한 그릇_무굴밥초록 지붕 집의 앤처럼_비프스튜사계절이 모두 식탁에 오르는 날_오곡밥과 묵나물
|
저한솔
관심작가 알림신청한솔의 다른 상품
훈훈하고 싱그러운 책.계절이 바뀔 때마다, 마음이 고플 때마다 꺼내 읽게 될 책이다._김신회(에세이스트, 《가벼운 책임》 저자)책을 읽다 보면 냉장고에 가까운 계절을 채우고 싶어진다.나에게 수고스럽고 싶어진다._임진아(삽화가, 《오늘의 단어》 저자)계절이 느리게 키운 재료에작고 순한 마음을 얹어 나를 대접하다거리마다 포진한 음식점, 몇 번의 휴대전화 터치로 집 앞까지 배달되는 온갖 먹을거리, 기다림의 시간이 필요 없는 패스트푸드, 봉지만 뜯어 끓이면 되는 밀키트……. 끼니를 해결하는 방법은 날이 갈수록 다양하고 편리해지고 있다. 그런데 손쉽고 풍요로운 식탁 앞에서 허기가 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아마 요리란 음식에 사랑을 담는 과정이기 때문일 것이다. 소박하더라도 정성이 담긴 음식은 그래서 위장뿐 아니라 마음속까지 든든하게 채워준다. 자연 속에서 제철 재료를 만나고 요리하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그저 배를 채우고 한 끼 때우는 식사가 아니라 재료의 향과 맛이 살아 있는 음식을 만들어보고 싶어진다. 나를 위한 한 끼에 작은 정성을 들여야겠다는 마음이 든다. 스스로를 보살피고자 하는 의욕이 생긴다. 그리고 그건 오늘을 소중히 만끽하고 스스로를 귀히 대접하겠다는 다짐과 다르지 않다.책에 담긴 전원의 풍경은 영화 〈리틀 포레스트〉처럼 마음을 부드럽게 어루만지고, 마흔 개의 레시피는 ‘나를 위한 한 그릇’을 차려내는 데 좋은 디딤돌이 되어준다. 정성을 담아 차려낸 음식을 닮은 책을 읽다 보면 불안은 어느새 차분한 안심으로, 허기는 든든한 포만감으로 바뀐다.추억 머금은 계절 재료와지금 이 순간을 오롯이 담아낸 기록도시 생활의 허기를 달래기 위해 저자가 찾아간 곳은 충북에 있는 작은 시골 마을 오생리. 집을 병풍처럼 둘러싼 산, 옹기종기 채소를 심어놓은 텃밭, 갖가지 꽃이 피어나는 산책 코스는 산뜻한 자연 속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오생리 못지않게 경남 합천에 있는 외갓집도 자주 등장한다. 고사리가 나고 밤이 열리는 산, 언제나 넉넉하게 품어주시는 할머니 할아버지, 다 같이 모여 김장을 담그는 장면은 꼭 시골과 연결점이 없는 사람이라도 자연스레 향수를 느끼게 한다. 그건 외갓집이라는 장소가 내게 기꺼이 내주었던 누군가의 애정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저자가 차려내는 식탁이 감각적이면서도 푸근함을 잃지 않는 것도 어린 시절 살다시피 했다던 외갓집의 정서가 음식에 그대로 담겨 있기 때문일 것이다.함께 만들고 나누고 먹었던 추억은 음식에 감칠맛을 더하는 조미료 역할을 톡톡히 한다. 그리고 무심히 지나칠 수도 있는 이 순간을 꼭 붙들어 마음껏 즐길 때 추억은 더욱 풍성해진다. 조곤조곤 계절과 음식을 이야기할 뿐인데, 때를 맞은 재료를 골라 식탁을 차리는 보통날이 모이면 추억 가득한 행복이 찾아올 거라는 다정한 말이 들리는 듯하다. 따뜻한 햇볕이 느껴지는 사진, 향긋한 바람이 불어오는 듯한 글,간소한 레시피의 담백한 어울림계절감이 담뿍 담긴 사진도 조연이라 하기에는 아깝다. 사계절이 뚜렷이 드러나는 감성적인 사진은 앉은 자리에서 자연을 가까이 만날 수 있게 해주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계절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간략하게 수록된 레시피의 보조 역할도 한다. 삼 년여의 시간 동안 계절을 수집한 저자의 사진을 보다 보면 흐린 날도 얼마든지 화사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든다. 지쳤던 마음에 햇살 같은 위로가 조심스레 찾아온다. 그건 아마 계절을 짙게 느낀 그 순간을 따스하게 포착해 사진에 담아냈기 때문일 것이다. 답답하고 막막할 때 아무 페이지나 펼쳐 훑어보기만 해도 수수한 위안을 얻을 수 있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