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08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184쪽 | 238g | 120*190*20mm |
ISBN13 | 9791192512037 |
ISBN10 | 1192512030 |
발행일 | 2022년 08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184쪽 | 238g | 120*190*20mm |
ISBN13 | 9791192512037 |
ISBN10 | 1192512030 |
여는 말 담아두고 싶은 것들 ─ 봉수모양 유리병 핫한 하루 ─ 꽃과 나비 당신들의 필수품 ─ 주먹도끼 뉘 집 자식들인가 ─ 전 김홍도 필 평안감사향연도 둥근 달 속 달콤하고 아름다운 것들 ─ 백자 달항아리 오늘이 제일 좋은 날 ─ 채용신 필 숙부인 전주이씨 초상 손가락이 긴 남자 ─ 철조여래좌상 다정한 음식의 세계 ─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대접 참을 수 없는 순간 ─ 산수무늬 벽돌 스키니진이 떠나간 자리에 ─ 신윤복 필 여속도첩 중 저잣길 거울 속의 너는 아마도 ─ ‘황비창천’ 글자가 있는 거울 달의 뒤편 ─ 홍길동전 골짜기에 방울 소리가 들려오면은 ─ 청동 방울 울기 위해 낙원으로 ─ 배를 타고 복사꽃 마을을 찾아서 맑은 술 한 잔 ─ 청자 신선모양 주자 고르고 반듯했던 정리 왕 ─ 정리자 활자 잊지 못할 기억 ─ 휴대용 묵호와 붓 즐거운 착각 ─ 단원 풍속도첩 중 춤추는 아이 빗금 대신 무얼 새길까 ─ 빗살무늬 토기 먼 시간 먼 그곳 ─ 청동 투구 조선판 여행 굿즈 ─ 백자 청화 철채 산모양 연적 으리으리한 것에 대하여 ─ 집모양 토기 우리들의 불안한 항해 ─ 경주 향리 김지원의 딸 묘지명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 점뼈 꿈의 여행 ─ 해산첩 어른의 도시락 ─ 백자 동채 삼층 합 이름을 알지만 이름도 모르는 사이인 것처럼 ─ 사도세자 묘지 자주 만나지 않더라도 ─ 김수항, 김창협 간찰첩 모두가 하나씩 가졌더라면 ─ 은제 소꿉 도구 은밀한 것에도 드러난 마음의 방향 ─ 청자 배모양 변기 어머 이건 절대 놓치면 안 돼 ─ 시가 새겨진 청자 완 고양이라 불린 화가 ─ 참새와 고양이 지도의 의미 ─ 대동여지도를 찍어낸 목판 일회용 말고 단 하나 ─ 분청사기 박지 철채 모란무늬 자라병 그 남자들 그 여자들의 하늘 ─ 대한인민국회 깃발 옛사람들처럼 그렇게 ─ 족두리전 수세패 뜨겁게 만드는 것들 ─ 철제 은입사 화로 기도하는 사람들의 광배 ─ 연가칠년을 새긴 부처 책장 안에 단내가 ─ 삼층 책장 포근한 정성 ─ 어미개와 강아지 겨울에 우린 ─ 보신각 종 모든 삶은 아름답다 ─ 반가사유상 이 책에 등장한 소장품 참고문헌 |
박물관 하면 왠지 엄숙한 느낌이 먼저 든다. 뛰어서도 안 되고, 큰 소리를 내는 것도 안 되고.. 아, 그건 도서관인가? 아무튼.. 숫자도 적어서 도서관은 한 달에도 몇 번씩 이곳저곳을 다니는 나도, 박물관이나 미술관 같은 곳은 일 년에 한 번 갈까 말까다. 그리고 막상 가더라도 뭘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제대로 된 감상 방법”을 모른다는 생각에 살짝 위축되는 감도 있다.
그런데 이 책의 작가는 그런 “제대로 된 감상법” 같은 걸 몰라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다고 말하는 듯하다. 책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 다양한 전시물들에 대한 작가의 개인적인 감상이다. 그래서 염려했던 것보다 훨씬 쉽게 읽힌다.
흔히 이런 종류의 책을 쓸 때는 자신도 모르게 뭔가 있어 보이는 척을 하기 쉽다. 아무래도 문화재이고, 유물이니까, 관련 지식도 좀 늘어놔야 하고, 문화사적 의미도 풀어야 하고. 그런데 작가는 그런 것 없다. 고려시대 만든 청동거울을 보면서 카페에 앉아 거울을 보며 짜증을 내는 여중생들을 떠올리고, 신윤복의 그림 속 여인의 모습을 보면서는 스키니진에 대한 개인적 혐오(?)와 이를 완화시켜주는 오버핏의 치마에서 잠시 안도하다가 곧 바짝 올라간 ‘크롭 저고리’를 보며 당대의 패셔니스타에 관한 상상에 빠진다. 재미있다.
물론 박물관의 유물을 설명하는 책이니, 소개된 유물에 대한 정보도 있다. 각 항목이 끝나는 페이지에 아주 간략하게. 그리고 여기에도 평범치 않은 작가의 개성이 담긴 요약이 종종 보인다.
전반적인 느낌이 참 즐겁게 생활하는 작가인 것 같다. 이런 작가의 글은 독자도 즐겁게 만든다. 아울러 오랜만에 미술관이나 박물관에도 한 번 가볼까 하는 생각까지 하게 만들었으니 나름 유익한 책이기도 했다.
국국립중앙박물관을 거닐면서 작품들을 보면서 생각나는 것들을 정리해 낸 책
으로 꼭 순서대로 읽을필요없이
그날 그날 펼쳐서 손에 잡히는데로 읽기 좋은 책입니다
이책을 보다가 야근하고 쉬는날 눈뜨자마자 필받아서 날좋은날 정처없이
박물관을 갔다가 피곤해져서
박물관 중간의 카페서 꽤 오래쉬었던 기억이 나네요
날좋은날 남산을 보며 쉬는 느낌도 좋았습니다
안에서 이것저것 다보다가
밖에 나가니
박물관 내부의 수많은 돌탑들도
보기좋더군요.
날씨 좋을때 이책을 들고 나만의 사유와 생각을 하는 느낌이 좋은 책 같습니다.
'YES24 리뷰어클럽 체험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에세이처럼 술술 읽히는 책이다. 문화재 하나하나 세세하게 모습을 설명해주며 스토리를 부여한다. 박물관에 가면 설명 한번 읽고 이런게 있구나..하고 지나가곤 했는데, 저자처럼 이런 상상을 할 수 있구나 싶다. 김홍도의 춤추는 아이를 보면서 랜덤 뮤직을 틀어보았더니 , 다 잘 어울렸다니...요즘 아이와 김홍도 위인전을 읽고 그림을 감상하곤 하는데, 아이와 함께 해보아야겠다. 박물관에서 문화재를 보는 새로운 방법을 알려주는것 같다. 이런 스토리텔링을 연구해서 아이와 박물관에 갔을때 시도해보는것도 좋을것 같다. 상상력이 부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