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인체 영양학 교과서 : 내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의학적으로 알고 싶을 때 찾아보는 인체 영양학 도감』
들어가며 이 책의 활용법 제1장 영양이란 무엇인가 인체와 영양 / 영양 부족이란 / 영양 과잉이란 / 식사 섭취 기준 / 유전자와 영양 / 유전자와 생활습관병 제2장 영양소의 소화·흡수 소화기의 구조와 작용 / 작은창자, 큰창자 / 간, 쓸개 / 이자 / 단백질의 소화·흡수 / 당질의 소화·흡수 / 지질의 소화·흡수 / 비타민의 소화·흡수 / 미네랄의 소화·흡수 / 음식물의 소화 흡수율 제3장 단백질·당질·지질의 작용 영양소와 에너지 / 에너지 대사의 원리 / 단백질의 구조와 작용 / 단백질의 대사 / 당질의 구조와 작용 / 당질의 대사 / 당신생이란 / 식이섬유의 작용 / 지질의 구조와 작용 / 지방산의 종류 / 지질의 대사 / 콜레스테롤의 대사 제4장 물과 전해질의 작용 물의 작용 / 수분 출납 / 소변의 생성과 배출 / 전해질의 종류와 작용 / 체액의 삼투압 조절 / 체액의 산 염기 평형 제5장 비타민·파이토케미컬의 작용 비타민 A / 비타민 D / 비타민 E / 비타민 K / 비타민 B1 / 비타민 B2 / 니아신 / 비타민 B6 / 비타민 B12 / 엽산 판토텐산 / 비타민 C / 비오틴 / 파이토케미컬 제6장 미네랄의 작용 나트륨(Na) / 염소(Cl) / 칼륨(K) / 칼슘(Ca) / 마그네슘(Mg) / 인(P) / 철(Fe) / 아연(Zn) / 구리(Cu) / 망간(Mn) / 요오드(I) / 셀레늄(Se) / 크롬(Cr) / 몰리브덴(Mo) 제7장 병과 영양 영양 장애란 / 대사 증후군(메타볼릭 신드롬) / 당뇨병과 영양 / 이상지질혈증과 영양 / 통풍과 영양 / 동맥경화성 질환과 영양 / 간 질환과 영양 / 콩팥 질환과 영양 / 면역과 영양 제8장 임신·성장·가령과 영양 임신과 영양 / 수유와 영양 / 영유아와 영양 / 성장과 영양 / 가령 (加齡) 과 영양 부록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찾아보기 『인체 생리학 교과서 : 내 몸이 왜 아픈지 해부학적으로 알고 싶을 때 찾아보는 생리 의학 도감』 들어가며 제1장 생리학이란 생리학은 어떤 분야? -생리학이란 -생리학의 분류 -생리학과 노벨상 제2장 세포 생리학 인체의 구성 -인체의 구조 세포는 인체의 최소 단위 -세포의 구조 -세포막의 작용 -세포막의 전기 현상 유전자는 생명의 설계도 -유전 정보란 -단백질이 만들어지기까지 인체에 필요한 물질 -영양소란 -3대 영양소의 기능 -비타민과 무기질의 기능 제3장 소화의 원리 소화 기관의 작용 -소화와 호흡이란 -입안·식도에서의 소화 -위에서의 소화 -샘창자에서의 소화 -이자의 작용 -작은창자에서의 소화와 흡수 -큰창자의 작용 -간의 작용 대사의 원리 -탄수화물의 대사 -단백질의 대사 -지질의 대사 -알코올의 대사 -비만과 저체중 제4장 배설의 원리 콩팥의 기능 -콩팥의 기능과 구조 소변의 배설 원리 -배뇨의 과정 -네프론의 기능 -토리에서의 여과 -세뇨관에서의 재흡수 제5장 호흡의 원리 호흡의 의미 -호흡이란 호흡 운동 -호흡 운동의 원리 -호흡 운동의 조절 가스 교환 -허파 꽈리에서의 가스 교환 가스의 운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제6장 혈액과 순환의 원리 혈액의 조성 -혈액의 성분 혈액의 기능 -적혈구의 작용 -백혈구와 철의 작용 -백혈구의 작용 -혈소판의 작용 -ABO식 혈액형 혈액의 순환 -순환의 원리 심장의 기능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펌프 작용 -심장의 전기적 흥분 혈관의 기능 -혈관의 기능 -심장 동맥의 기능 제7장 호르몬 분비의 원리 내분비계의 기능 -호르몬의 작용 -호르몬의 종류 -호르몬 작용의 원리 -호르몬 분비의 조절 각 호르몬의 작용 -갑상선 호르몬 -곁콩팥 겉질 호르몬 -곁콩팥 속질 호르몬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 생식 내분비계의 기능 -성호르몬의 작용 여성의 생식 기능 -배란과 수정 -월경과 임신 여성호르몬의 작용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 남성의 생식 기능 -정자와 사정 남성호르몬의 작용 -안드로젠 제8장 신경의 원리 신경 계통의 구성 -신경 계통의 분류 신경의 구조 -뉴런과 시냅스 신경의 기능 -자율 신경 계통의 작용 -교감 신경 계통의 작용 -부교감 신경 계통의 작용 감각의 원리 -감각의 종류 -시각의 원리 -청각의 원리 -평형 감각의 원리 -후각의 원리 -미각의 원리 -통각의 원리 -가려움의 원리 제9장 근육과 골격의 원리 근육의 종류 -근육의 특징 근육의 구성 -골격근의 구조 근육의 기능 -근수축의 원리 -신경에서 근육으로의 전달 뼈의 구성 -온몸의 골격 골격의 기능 -뼈의 작용 제10장 뇌의 원리 뇌의 구조 -뇌의 종류 뇌의 작용 -대뇌의 작용 -사이뇌의 작용 -뇌줄기와 소뇌의 작용 -우뇌와 좌뇌 -기억의 원리 척수의 기능 -척수의 작용 뇌의 신경 -뇌신경의 작용 COLUMN 머지않아 iPS 세포로 난치병이 해결된다? 건강식품이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허리둘레가 85cm면 대사 증후군? 콩팥과 관련된 질병에는 무엇이 있을까? 담배를 끊으면 살이 찐다? 위험 인자가 쌓이면 동맥 경화가 진행된다? 우울증으로 착각하기 쉬운 갑상샘 질환 ‘잠이 안 오는 것’은 몸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는 증거? 젊어서 한 다이어트가 골다공증의 원인이 된다? LABORATORY 노벨상은 언제부터 수여하기 시작했을까? 사람의 유전자는 99.9%가 공통이다?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풀을 만든다 3대 영양소와 비타민·미네랄의 관계 파일로리균에 주의하자 알코올 적정량은 얼마일까? BMI란 무엇일까? 혈액 검사 결과 크레아틴 수치가 높다면? 수면 무호흡 증후군(SAS)이란? 산화와 항산화 철이 부족하면 적혈구가 감소해 빈혈이 생긴다 호르몬과 일중 변동 스트레스를 맨 처음 거론한 셀리에 박사 당뇨병과 HbA1c 저용량 필(OC)이란? 탈모증과 남성 호르몬의 관계 자율 신경 기능 이상이란? 통증을 억제하는 메커니즘 성인에게도 생기는 아토피성 피부염 운동선수가 많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가 있다? 넙다리뼈 머리 골절이란? 안절부절 다리 증후군이란? 찾아보기 『인체 면역학 교과서 : 내 몸의 면역력을 높이고 싶을 때 찾아보는 인체 면역 의학 도감』 들어가며 제1장 면역학의 기초 지식 -면역학의 역사 면역학의 탄생 | 면역학의 발전 과정 -면역의 기본 면역이란 무엇인가 | 자연 면역과 적응 면역 | 백혈구의 종류와 기능 제2장 면역 체계의 원리 -면역 체계의 기본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 -항원과 면역 항원이란 무엇인가 | 항원의 이모저모 -면역과 림프 조직 면역 체계를 육성하는 림프 조직 중추 림프 조직 말초 림프 조직 -B세포와 체액성 면역 B세포의 작용 | B세포의 탄생과 성장 | B세포와 자가 면역 관용 -항체의 구조와 기능 항체의 기본 구조 | 항체의 종류와 기능 -자기 식별과 MHC MHC는 자기 표지 | MHC와 항원 제시 -T세포와 세포성 면역 T세포의 작용 | T세포의 탄생과 성장 | 두 개의 보조 T세포 | 세포 독성 T세포 | 조절 T세포 | 세 번째 보조 Th17 -여러 가지 면역세포 NK세포의 작용 | NKT세포의 작용 | 큰 포식세포의 작용 | 가지세포의 작용 -도움체 계통과 면역 도움체의 원리와 작용 -점막 면역 창자 면역과 기도 면역 -면역과 유전자 면역세포가 가진 다양성의 원리 -면역세포와 분류 사람의 자기 표지 HLA | 면역세포의 CD 분류 제3장 면역 체계의 보조 인자 -사이토카인의 작용 사이토카인 네트워크 | 사이토카인이란 | 자연 면역과 사이토카인 | 적응 면역과 사이토카인 | 케모카인의 작용 | 사이토카인 수용체 -세포 접착 분자 세포 접착 분자의 작용 제4장 감염증과 알레르기 -감염증과 면역 감염증이란 무엇인가 | 세균이 일으키는 감염증 |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염증 | 면역이 붕괴되는 AIDS | 백신의 원리 | 백신의 종류와 기능 -알레르기와 면역 알레르기란 무엇인가 | 알레르기의 종류와 특징 |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과 치료 꽃가루 알레르기(I형 알레르기) | 기관지 천식(I형 알레르기) | 아토피성 피부염(I형 알레르기) | 음식물 알레르기(I형 알레르기) |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Ⅱ형 알레르기) | 혈청병과 토리콩팥염(Ⅲ형 알레르기) | 접촉성 피부염(Ⅳ형 알레르기) | 그레이브스병(Ⅴ형 알레르기) |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제5장 자가 면역 질환 -자가 면역 질환의 원리 자기를 공격하는 원리 -주요 자가 면역 질환 전신 홍반 루프스 | 류머티즘성 관절염 | 하시모토병(갑상샘 관련) | 중증 근무력증(근육·신경 관련) | 굿파스처 증후군(콩팥 관련) | 궤양성 대장염 제6장 이식 면역·암과 면역 -이식 면역 이식과 면역 | 이식 면역의 작동 원리 | 장기 이식의 적합성 -여러 가지 장기 이식 콩팥 이식 | 심장 이식 | 골수 이식 -암과 면역 암과 면역의 관계 | 암 치료1(분자 표적제) | 암 치료2(면역세포 요법) | 암 치료3(암 백신 요법) 부록 용어 정리 찾아보기 참고 문헌 COLUMN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로 면역을 체험 T세포와 MHC 분자의 관계 감기의 발열은 사이토카인에 의한 방어 반응 벌독과 아나필락시스 교원병은 왜 여성에게 많을까? 이제 이식 장기는 3D 프린터로! LABORATORY 왜 천연두 백신에 우두 바이러스를 쓸까? 임신 면역-모체는 왜 태아를 공격하지 않을까? 페니실린과 약물 알레르기 자가 항체를 유도하는 항원 림프샘의 부종 B세포가 다양성을 넓히는 또 하나의 원리 T세포의 음성 선택을 담당하는 유전자 암 치료에 대한 기대 감염과 육아종 에이즈와 빨간 리본 『인체 구조 교과서 : 아픈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알고 싶을 때 찾아보는 인체 도감』 머리말 인체 구조와 기능을 알면 건강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Chapter 1 복부 위 음식물을 소화하고 강력한 위산으로 살균한다 간 인체의 화학 공장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췌장 소화액인 췌액과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한다 소장 음식물을 완전히 소화하고 영양을 흡수한다 대장 수분을 흡수해 대변을 만드는 곳 신장 소변으로 노폐물을 배설한다 비장 소화기도 비뇨기도 아닌 장기 부신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샘 배꼽과 탯줄 태아와 모체 사이의 연결 고리 복근 배벽이 되는 근육 Inside Body 헤르니아는 몸의 다양한 부위에 발생한다 Chapter 2 골반부 골반 화분 모양으로 위아래가 개방되어 있다 직장과 항문 소화관의 마지막 부분 요도 소변을 배출하는 통로 남성의 생식기 정자를 생성해서 운반한다 여성의 생식기 난자를 생성하고 수정란과 태아를 키운다 Inside Body 사람에게도 있는 꼬리뼈, 미골 Chapter 3 흉부 심장 우리 몸을 돌아다니는 혈액을 순환시키고 펌프 작용을 한다 동맥과 정맥 혈액이 통과하는 관 림프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조직액 폐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한다 후두와 기관, 기관지 기도를 구성하는 신체 기관 식도 목을 지나 흉강 안으로 내려간다 흉곽 폐와 심장이 들어 있다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호흡할 때 움직이는 부위가 다르다 횡격막 체강 안에 있는 골격근 Inside Body 태아의 심장 내부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Chapter 4 머리와 얼굴과 목 뇌 수집한 정보를 해석하고 명령한다 눈 사물의 형태와 밝기, 색을 느낀다 귀 소리를 듣고 평형을 유지한다 코 공기의 출입구이자 후각기 입 음식물이 들어가는 문 턱 음식물을 깨물고 으깨는 이가 나 있다 목 소화관과 기도에 관여한다 목뼈 머리를 받치는 부위 Inside Body 머리가 뼈로 완전히 덮이지 않은 채 태어난다? Chapter 5 팔과 다리 팔 물건을 잡고 쥐고 던진다 다리 걷고 뛰는 데 필요한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Chapter 6 우리 몸의 개요와 기관계 세포, 기관, 계통 기능과 형태로 분류한 우리 몸의 구성 단위 골격계 몸을 지지하는 200여 개의 뼈 근계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들 순환기계 혈액과 림프를 전신에 순환시킨다 호흡기계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소화기계 영양분을 흡수하고 찌꺼기를 배출한다 비뇨기계 소변을 만들고 배출해 노폐물을 제거한다 생식기계 정자와 난자의 형성과 수정, 발육에 관여한다 내분비계 호르몬을 분비해 몸의 여러 기능을 제어한다 신경계 몸 안팎의 자극을 전달하고 적절한 명령을 내린다 감각기계 자극을 받아 중추신경에 전달한다 |
다케우치 슈지의 다른 상품
스즈키 류지의 다른 상품
장은정의 다른 상품
오시연의 다른 상품
전재우의 다른 상품
김홍배의 다른 상품
이시카와 다카시의 다른 상품
김재일의 다른 상품
가와시마 유키코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