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Ⅰ. 문제 1. 종파와 계층 2. 자본주의 ‘정신’ 3. 루터의 직업개념ㆍ탐구의 과제 Ⅱ.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의 직업윤리 1. 현세적 금욕주의의 종교적 토대 2. 금욕과 자본주의 정신 주 해설 : 앤서니 기든스 옮긴이의 말 |
저막스 베버
관심작가 알림신청Maximilian Weber,Maximilian Carl Emil Weber
막스 베버의 다른 상품
자본주의적 생활 방식은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에서 비로소 그 철저한 윤리적 토대를 발견했다. 즉, 현세적인 프로테스탄트의 금욕은 전력을 다해 재산 낭비적 향락에 반대해 왔고 소비, 특히 사치품의 소비를 봉쇄해 버렸다. 반면에 이 금욕은 재화 획득을 전통적인 윤리적 장애로부터 해방시키는 심리적 결과를 낳았다.
금욕주의에 의하면, 목적으로서의 부의 추구는 비난받아야 할 최악의 것이라고 보면서도, 직업 노동의 열매인 부의 획득은 신의 축복이라고 보았다. 또한, 부단하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세속적 직업 노동을 최고의 금욕을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거듭난 자와 그 신앙의 진실성에 대한 가장 확실하고 분명한 증표라고 본다. --- p113 |
근대 유럽에서 자본주의의 발생을 프로테스탄티즘, 특히 칼뱅주의 교리 하에서 금욕과 근로에 힘쓰는 종교적 생활 태도와 관련시켜 설명하고 있는 이 책은 근대 사회과학에서 가장 유명하고도 논쟁적인 저작 중의 하나이며, 특히 베버의 역사해석의 문제, 사회학적 인과관계의 문제 등이 분명하게 드러나 더욱 흥미롭다. 베버는 해박한 지식과 투철한 분석력을 바탕으로 근대 서구 자본주의 사회의 성립 과정을 그의 사회과학 방법론에 입각하여 일관되게 설명한다. 베버가 『종교사회학 논문집』 전체에 대하여 썼던 서문을 실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어판에 실린 앤서니 기든스의 해설을 함께 수록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