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의 인고 끝에 탄생했다!
치밀하고 지적인 설계로 무장한,
국내산 고밀도 추리 과학소설의 등장!
“글을 쓰는 동안 줄곧 「그리는 손」을 떠올렸다. 이야기와 나는 서로를 그리는 손이었다. 나는 이야기에 이끌려 자판을 두드렸고 이야기가 막히면 내가 활로를 모색했다.
그것은 누가 주체이고 누가 객체인지 알 수 없는 황홀한 춤이었다.” _작가의 말
김백상 작가는 유수의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했지만 취업에서는 한 발짝 거리를 둘 수밖에 없었다. 대학 시절 녹내장 판정을 받게 되면서, 독서는 엄두도 내지 못했고 아버지가 간경화로 쓰러지면서 오랜 시간 간병을 하며 지내야 했다. 여느 20대들과는 다른 시간을 겪어온 작가는 “어느 날 문득 글을 쓰고 싶다는 강렬한 충동과 맞닥”뜨렸다고 한다. 그 날 이후 작가는 밤에는 슈퍼마켓에서 일을 하고, 낮에는 글을 썼다. 그렇게 8년이라는 시간동안 한 편의 소설을 쓰고, 고치고를 반복했다. 이 작품, 『에셔의 손』은 바로 그 결과물이다.
“이야기와 나는 서로를 그리는 손”이었고, “그것은 누가 주체이고 누가 객체인지 알 수 없는 황홀한 춤”이었다는 작가의 말은 그래서 더욱, 진심으로 다가온다. 단지 이야기에 이끌렸다는 이유로, 8년의 시간동안 숱한 퇴고를 겪어낸 이 소설은 정밀한 구조와 견고한 문장으로 화답하고 있다.
[기억을 지우는 자 vs. 기억이 삭제된 사람들]
‘전자두뇌’가 일상화된 시대,
그들의 전쟁이 시작된다!
‘전뇌(전자두뇌)’가 대중화된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 소설은, ‘일곱 사도 사건’이라는 대규모 폭탄 테러 이후 ‘기억이 삭제된 사람들’이 하나둘 나타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기억을 지우는 자 ‘진’, 기억을 뒤쫓는 자 ‘현우’, 기억을 거부하는 자 ‘수연’, 기억에 고통 받는 자 ‘미연’, 기억 자체를 없애려는 자 ‘섭리’. 다섯 개의 시점으로 구성된 이야기는, 거의 모든 인물이 얽히고설킨 정교한 서사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쫓고 쫓기는 추리적 요소를 통해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일곱 사도 사건’의 진실이 밝혀진 뒤에도 작가는 각 인물들의 드라마에 소홀하지 않으며, 한 사람 한 사람의 세계를 이야기에 꾹꾹 눌러 담아냈다.
모든 게 마무리되었다고 생각한 순간 작가는 예상치 못한 새로운 인물을 출현시키며 이야기는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베일에 싸인 인물을 통해 우리는 소설 속 등장인물들을 응원하게 되는 우리 자신을 마주하게 된다. 부디, 그들 각자가 자신만의 고유한 기억을 찾게 되기를.
한국과학문학상, 우리 SF의 우아한 계보를 그리다!
2017년 열린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에서는 예심과 본심을 거쳐 장편 부문 대상 1편, 중단편 부문 대상 1편과 가작 5편을 선정했다. 이번 심사에서 중단편 부문 우수상은 선정작이 없었다. 심사는 최종 수상작이 선정될 때까지 이름, 성별, 직업 등 모든 정보를 비공개로 진행했으며, 심사위원으로 박상준(서울SF아카이브 대표), 김보영(소설가), 김창규(소설가), 배명훈(소설가),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 관장)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