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선택 사항인 거야, 누구한테 관심이 있든 없든. 당연한 게 아니라고.”‘어른’의 언어를 거치지 않은 ‘우리들’ 이야기각자의 상처로 웅크린 여섯 아이들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세상으로 한 발 나아가는 과정을 흡인력 있게 그린 이 작품은, 한때 누구나 겪었고 혹은 지금도 겪고 있을 방황의 시절에 대해 기성세대의 시각이 아닌 십 대의 시선과 언어로 이야기를 풀어낸 점이 눈에 띈다. 특히 십 대가 주인공인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력자 역할의 어른이 이 작품에는 등장하지 않는데, 아이들 각자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갈등하고 부딪히며 스스로 길을 찾아가는 여정이 뭉클하면서도 신선한 감동을 준다. 십 대를 내세운 많은 소설들이 실은 ‘어른’의 필터를 거쳐 나온 것임을 생각한다면, 94년생 작가가 쓴 이 작품의 새로움이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는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혹시나, 만약에. 우리가 기대기에는 무척 불안정한 단어지만 때로는 한 사람의 세계에 손을 내밀어주기도 한다.”관계에서 상처받고 고민하는 이들을 위한 뜻밖의 위로어린 시절 상처로 세상과 선을 긋고 살아가는 열여덟 살 반윤환, 타인에 의해 세상에서 고립된 왕따 지나루, 지나루를 좋아하면서도 차갑게 대하는 문제아 강은비, 과거의 후회를 안고 살아가는 모범생 강별, 진심을 잃어버린 엄친아 윤건 등 개성 강한 흥미로운 캐릭터들이 각자의 상처를 매개로 타인과 엮이며 세상으로 한 발 나아가는 이야기다. 자의든 타의든 매일 누군가와 관계하며 살아가야 하는 우리는 그 관계에서 알게 모르게 상처를 받고, 그 상처에 익숙해지는 것이 곧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이라고 말하지만, 작가는 묻는다. 정말 상처에 무뎌지는 것이 좋은 일일까? 혹시 그저 마음이 굳어가는 것은 아닐까? ‘작가의 말’에서 밝힌 것처럼, 작가는 누군가의 “굳어가는 마음을 녹여주길” 바라며 이 작품을 썼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밝은 내일이 기다리고 있다고, 모든 게 괜찮아질 거라고 쉽게 말하지 않음에도, 무심하게 전해지는 인물들의 진심이 독자에게 예상치 못한 따뜻함과 위로를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