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쓰고 듣는 말이지만 생각해 보면 헷갈리는 말들이 있습니다. 가치와 값어치, 헤엄과 수영, 걱정과 근심 같은 말들이 그렇지요. “가치는 한자어이고 값어치는 우리말일 뿐 같은 말”이라고 하기에는 왠지 껄끄럽습니다. 모르긴 몰라도 다른 구석이 있는 것 같거든요. ‘가치 없는 물건’을 ‘값어치 없는 물건’이라고는 할 수 있지만 ‘가치판단’이나 ‘희소가치’를 ‘값어치판단’, ‘희소값어치’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두 단어가 엄연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다를까요? 이럴 때 보통은 사전을 찾습니다.
- 가치: 사물이 지니고 있는 쓸모 - 값어치: 일정한 값에 해당하는 분량이나 가치
차이가 명확히 느껴지시나요? 아마 아닐 겁니다. 두 단어의 차이는 ‘어감’으로 느껴지고, 어감이 다른 이유는 ‘속뜻’ 때문인데 사전의 뜻풀이에 속뜻까지 담겨 있는 경우는 드무니까요. 『우리말 어감사전』은 평생을 사전 만드는 일에 바친 사전 편찬의 장인이 국어사전에 다 담지 못한 우리말의 미묘한 차이를 조사해서 기록한 책입니다. 확실히 검증된 객관적인 의미만을 간결하게 수록하는 사전에서는 드러내기 어려웠던 편찬자의 고민과 생각을 알뜰하게 담아냈지요. ‘걱정’과 ‘근심’은 속뜻이 다르기에 쓰임과 말맛, 뉘앙스와 어감이 모두 다른데, 걱정은 “안심이 되지 않아 속을 태움”으로 근심은 “해결되지 않은 일 때문에 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함”으로 모호하게 정의해 온 것이 저자는 내내 안타까웠습니다. 그래서 뜻과 쓰임에 공통점이 있는 낱말을 찾아 모으고, 속뜻을 궁리하고 변별해서 더 명확한 뜻풀이를 붙였습니다. 언어는 말로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명시적 지식’이라기보다 무의식에 내면화된 ‘암묵적 지식’이기에 우리는 이미 비슷한 단어를 구분해 쓰면서도 그 말들이 왜 다르며 무엇이 다른지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상황에서 명쾌한 답을 주는 지침서가 될 것입니다.
읽히는 사전이 필요하다! ‘이렇게 써야 맞다’고 가르치는 규범서가 아니라 ‘이래서 다르게 써 온 겁니다’라고 일깨우는 안내서
저자 안상순 선생은 1985년부터 30년 넘게 국어사전을 만드셨습니다. 가능한 많은 어휘를 채집하고자 노력했고 방치된 말을 찾아 뜻풀이를 붙였지요. 새로운 말을 만들어 쓰는 언중과 사전을 이용하는 독자에게도 꾸준히 귀를 기울였습니다. 현행 국어사전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들리면 누구보다 실상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같이 비판하거나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를 해명하기보다 당장 손에 쥐고 있는 사전을 보완하고 더 좋게 만드는 데 매진했습니다. 사전의 진가는 항목 하나하나에 편찬자의 고민과 숨결이 얼마나 담겨 있느냐에서 확인할 수 있다면서요. 선생은 “사전은 언어 현실을 생생하게 비추는 거울”이어야 하기에 규범서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도 강조하셨습니다. 그래서 ‘가치와 값어치는 이런 점에서 다르기 때문에 이렇게 구별해서 써야 한다’ 하고 바로잡기보다는 ‘우리는 이미 무의식중에 가치와 값어치를 구별해 쓰면서도 그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해서 같은 단어라고 착각하곤 한다. 그런데 두 단어는 바로 이 지점에서 다르다’는 식으로 설명합니다. 즉 이 책은 지켜야 할 언어 규범을 가르치는 책이 아니라 머릿속에 있는 오래된 언어 지식을 일깨우고 불러오는 책입니다. 『사전 보는 법』의 저자인 웹 사전 기획자 정철은 검색이 사전을 대체하며 30년 전부터 대부분의 사전이 개정 작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렇기에 이런 편찬자의 오랜 고민을 사전에 반영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 되었지요. 하지만 믿고 볼 만한 사전은 여전히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고, 사전을 꾸준히 사서 볼 만한 책으로 꾸리려면 ‘검색의 도구’보다는 ‘읽을 거리’로서의 사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기계적인 뜻풀이를 보려고 펴는 사전이 아니라 수록된 단어들을 한 번쯤 생각해 보게 만드는 ‘관점 있는 사전’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런 시대에 ‘최후’의 사전 편찬자였던 선생의 책은 우리말 공부를 제대로 해 보려는 독자는 물론, 앞으로의 사전 활용 방식을 고민하고 지켜 나갈 이들에게도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구매[eBook] 우리말 어감사전: 말의 속뜻을 잘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YES마니아 : 플래티넘스타블로거 : 블루스타L*******l|2023.08.19|추천0|댓글0리뷰제목
안상순 작가님의 [eBook] 우리말 어감사전: 말의 속뜻을 잘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의 독후감입니다.
사실 단어의 어감은 사전을 봐서 확실하게 이해하기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비슷한 단어를 오용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어감사전은 서로 비슷한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짚어주며 자세한 설명을 해줍니다. 비록 평생 쓰던 모국어이지만 한국어를 조금 더 잘 알;
안상순 작가님의 [eBook] 우리말 어감사전: 말의 속뜻을 잘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의 독후감입니다.
사실 단어의 어감은 사전을 봐서 확실하게 이해하기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비슷한 단어를 오용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어감사전은 서로 비슷한 단어의 차이점을 명확히 짚어주며 자세한 설명을 해줍니다. 비록 평생 쓰던 모국어이지만 한국어를 조금 더 잘 알고 싶으신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구매우리말 어감사전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YES마니아 : 플래티넘스타블로거 : 골드스타S*********y|2023.05.29|추천0|댓글0리뷰제목
학창 시절 이후 책 자체를 거의 안 읽다 보니, 어떤 문장을 쓸 때 정확하게 들어가야 할 어휘를 선택함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뭐 이건 정말 꾸준히 많이 읽는 게 답인 것 같지만요.)
그렇다고 이 책이 그 문제를 단박에 해결해 주는 건 아니고요. 뭐랄까, 평소에 비슷해서 마구 혼재해 쓰게 되는 단어들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책인 것 같아;
구매[eBook] 우리말 어감사전: 말의 속뜻을 잘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YES마니아 : 골드스타블로거 : 블루스타f*********k|2023.04.11|추천0|댓글0리뷰제목
한 번 읽고 치울 책이 아니라 생각날 때마다 틈틈이 다시 복기하면서 되새겨줘야 하는 책입니다. 사실 글은 많이 읽고 종종 쓰는 편인데 어떤 단어를 접할 때 막연한 느낌으로 그 단어를 이해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나중에 사전을 찾아보면 제 마음대로 자의적 해석을 한 적도 있고, 느낌만으로 이해했던 뜻을 더 명료히 알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그런 애매하고 미묘한 순간들을 이;
한 번 읽고 치울 책이 아니라 생각날 때마다 틈틈이 다시 복기하면서 되새겨줘야 하는 책입니다. 사실 글은 많이 읽고 종종 쓰는 편인데 어떤 단어를 접할 때 막연한 느낌으로 그 단어를 이해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나중에 사전을 찾아보면 제 마음대로 자의적 해석을 한 적도 있고, 느낌만으로 이해했던 뜻을 더 명료히 알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그런 애매하고 미묘한 순간들을 이 책이 많이 줄여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감이라는게 무시하더라도 맥락은 이해할 수 있지만 더 정확하게 안다면 이해의 깊이가 달라지는지라 그런 면에서 이 책이 큰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