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이전

작가파일

이한우
LEE,HAN-WOO 李翰雨
국내작가 인문/사회 저자
출생
1961년 출생
출생지
부산
직업
기자
데뷔작
태종 : 조선의 길을 열다
작가이미지
이한우
국내작가 인문/사회 저자
1961년 부산 송도해수욕장 근처에서 태어나 여름만 되면 팬티만 입고 송도해수욕장을 오가던 개구장이였다. 중학교 때는 가방에 책 대신 야구 글러브를 넣고 다닐 정도로 야구에만 미쳐 있었고, 고등학교 때는 영화 [친구]에 나오는 교사 못지않은 선생님들한테 자주 맞아 졸업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1981년 고려대학교에 입학해 데모하다 얻어맞는 여학생을 보고 충격을 받아 학생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겁이 많아서인지 결국 혁명가의 꿈을 접고 공부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1985년 대학원에 들어가 철학을 공부했다. 마르크스에 대한 미련이 컸지만 대학원 과정 때 우연히 접하게 된 하이데거에 매료되어 석사학위 논문으로 [마르틴 하이데거에 있어서 해석학의 문제]를 썼다.

집안 사정이 어려워 1985년부터 번역을 시작해 첫 작품으로 《헤겔 이후의 역사철학》을 냈다. 그 후 지금까지 평균 1년에 한 권 정도 번역 작업을 해왔다. 심지어 1988년부터 1990년까지 번역병으로 근무할 때에는 네 권을 번역해 계급마다 한 권씩 번역한 셈이 됐다. 번역은 나의 운명을 바꿔놓기까지 했다. 1990년 제대 후 아르바이트를 하기 위해 찾아간 곳이 [중앙일보]의 《뉴스위크》였다. 그때 정식기자로 일하지 않겠냐는 제의를 받고 ‘번역하는 기자’로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기자가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는데 삶은 점점 그쪽으로 몰고갔다. 1991년 《월간중앙》에 김용옥의 《대화》를 비판한 것이 계기가 돼 [문화일보] 학술 담당기자로 자리를 옮겼다. ‘번역하는 기자’에서 ‘기사 쓰는 기자’로 탈바꿈한 것이다. [문화일보] 기자 생활 만 3년째 되던 1994년 12월에 [조선일보]의 제의를 받았다. [조선일보] 학술 출판 담당기자로 일하면서 한국 지식인 사회의 명암을 볼 수 있을 만큼 봤다. 2001년부터 1년 동안 독일 뮌헨에서 연수 생활을 하면서 촌티도 많이 벗었다. [조선일보] 국제부에서 일했고, 지금은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4 『조선일보』 기자
2002~2003 『조선일보』 논설위원
『조선일보』 문화부 기자
고려대 영문과 학사
고려대 철학과 석사
한국어대 철학과 박사
현 '사람들' 팀장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왜 송익필이라는 인물을 읽어야 하는가. 현대 한국 사회의 분열주의적 경향의 뿌리는 조선 시대, 그것도 선조 시대, 그중에서도 송익필이라고 하는 한 인물을 통해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분열주의의 뿌리를 정확히 파악할 때 진정한 통합주의로 가는 길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조선의 숨은 왕 사람이 있는 역사를 강조하고 싶다. 역사에 사람을 채워주는 일은 곧 역사와 삶을 만나게 하는 작업이다. 조선사 진검승부 역사는 당대 세력들의 투쟁 기록이면서 동시에 과거에 대한 당대 세력들의 기록 투쟁이기도 하다. 그러나 권력투쟁이나 역사투쟁 모두 승리 못지않게 정당성(혹은 정통성) 확보가 필수적임을 망각해서도 안 된다. 정당성이 뒷받침되지 않는 승리는 무상(無常)하기 때문이다. 역사 왜곡과 재평가를 구별하는 척도도 정당성이다. 조선일보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작가의 전체작품

작가의 추천

  • 모두가 열심히 공부에 달려들지만 실은 바른 공부법을 몰라 시간을 허비하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다. 그런데 공부법이라는 게 머리만의 문제는 아님을 깨닫지 못하면 귀중한 시간을 허튼 데 쓰는 것을 막을 길이 없다. 저자는 말 그대로 명문대 출신이 아니지만, 또 본인 말대로 좋은 머리도 아니지만 ‘성실’ 하나로 고대 법대 편입, 고시 공부, 국비유학 시험 등을 성공적으로 치러냈다. 그리고 그는 무엇보다 그 과정 자체를 즐겼다. 특히 이 책은 수험공부하는 사람에게는 말할 것도 없고 고도의 학문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도 반드시 일독을 권하고 싶을 만큼 두루 통관하는 공부법을 말하고 있다. 스스로 공부에 일가견이 있다는 사람들 또한 이 책을 읽으며 스스로의 행로를 짚어봐야 한다는 말이다.

작가 인터뷰

  • 한국 현대 지성사를 한눈에 조망하다
    2022.04.15.

작품 밑줄긋기

p.74
아직 읽는 중 다 읽고 남기겠음

작가에게 한마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