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이전

작가파일

황석영
黃晳暎
국내작가 문학가
출생
1943년 01월 04일
출생지
만주 장춘
직업
소설가
데뷔작
입석부근(1962)
작가이미지
황석영
국내작가 문학가
1943년 만주 창춘(長春)에서 태어나 태어나 동국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고교 시절인 1962년 단편 「입석 부근」으로 [사상계] 신인문학상을 수상했고, 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탑」이 당선되어 문학활동을 본격화했다.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뒤 「객지」 「한씨연대기」 「삼포 가는 길」 『무기의 그늘』 『장길산』 등 문학사에 획을 긋는 걸작들을 발표하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부상했다. .

1976년 전남으로 이주해 해남과 광주에서 집필과 현장문화운동을 병행하던 중 1979년 계엄법 위반으로 검거되고 당국의 권고로 1981년 제주도로 이주했다. 1982년 다시 광주로 돌아와 5월항쟁의 진상을 알리기 위한 각종 활동을 펼쳤다. 1985년 군사독재의 감시를 피해 출판된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저자로 나선 뒤 유럽과 미국, 북한으로 이어지는 긴 망명생활을 시작했다. 1993년 귀국하여 방북사건으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고 1998년 석방되었다. 1989년 베트남전쟁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다룬 『무기의 그늘』로 만해문학상을, 2000년 사회주의의 몰락 이후 변혁을 꿈꾸며 투쟁했던 이들의 삶을 다룬 『오래된 정원』으로 단재상과 이산문학상을 수상했다. 2001년 ‘황해도 신천 대학살사건’을 모티프로 한 『손님』으로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2000년대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재개하여 장편 『오래된 정원』, 『손님』, 『심청』, 연꽃의 길』, 『바리데기』, 『개밥바라기별』, 『강남몽』, 『낯익은 세상』, 『여울물 소리』, 『해질 무렵』 역작들을 선보이며 소설형식에 대한 쉼없는 탐구정신, 식지 않는 창작열을 보여주고 있다. 프랑스, 미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 스웨덴 등 세계 각지에서 『오래된 정원』, 『객지』, 『손님』, 『무기의 그늘』, 『한씨연대기』, 『심청, 연꽃의 길』, 『바리데기』, 『낯익은 세상』, 『해질 무렵』 등이 번역 출간되었다. 『손님』, 『심청, 연꽃의 길』, 『오래된 정원』이 프랑스 페미나상 후보에 올랐으며, 『오래된 정원』이 프랑스와 스웨덴에서 ‘올해의 책’에 선정되었다. 『해질 무렵』으로 프랑스 에밀 기메 아시아 문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객지』, 『가객』, 『삼포 가는 길』, 『한씨연대기』, 『무기의 그늘』, 『장길산』, 『오래된 정원』, 『손님』, 『모랫말 아이들』, 『심청, 연꽃의 길』, 『바리데기』, 『개밥바라기별』, 『강남몽』, 『낯익은 세상』, 『여울물 소리』, 『해질 무렵』 등이 있다. 또한 지난 100년간 발표된 한국 소설문학 작품들 가운데 빼어난 단편 101편을 직접 가려 뽑고 해설을 붙인 『황석영의 한국 명단편 101』(전10권)과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의 행로를 되돌아본 자전 『수인』(전2권)을 펴냈다.
1970 「탑(塔)」이 조선일보에 당선되면서 문단에 복귀
1972 동국대학교 철학과 졸업
1985 자유실천문인협회 실행위원
1987 민중문화협회 대표실행위원
1988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민족문화연구소 소장
1989 민예총 대변인으로 평양 방문 이후 독일에 체류
1991 미국 뉴욕 체류
1993 귀국 후 방북사건으로 구속
1998 사면
1999 영화사 '미르' 대표
2000 민족예술인총연합회 부회장·민족문화작가회의 자문위원
2000 동국대학교 대학원 졸업
2004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 회장·영국 런던대학교 객원연구원
과거의 전통을 이으려는 노력이 필요해요. 우리의 진정한 근대문학이 이어진 건 6,70년대가 아닌가 생각해요. 동아시아의 근대문학을 보면, 한 30년 쓰면 자신의 방식이 표출되지 않을까 싶거든요. 동아시아에서 보는 세계, 자기의 문학을 자기 식대로 개척하는 작가로 남고 싶어요. 채널예스

수상경력

1989 만해문학상 제4회 『무기의 그늘』
2000 이산문학상 『오래된 정원』
2001 대산문학상 제9회 『손님』
2004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올해의 예술상

작가의 전체작품

작가의 추천

  • 《무중력증후군》을 읽다가 몇 번인가 큰 소리로 웃음을 터뜨렸다. 작가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군중의 소외감을 은유와 농담과 알레고리로 표현하며 소외의 무거움은 가볍게, 상처의 잔혹함은 경쾌하게 그려나간다.
  • 어린 소년의 눈을 빌려서 가족과 주위의 삶을 그렸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일종의 성장소설이다. 가족에 대한 따뜻하고 세밀한 묘사와 동생과 담임 선생을 향한 내면적인 감정의 표현 같은 것들이 설득력이 있다. 이 작품이 심사위원들의 눈에 띈 것은 응모작들 가운데서 가장 문장 수련이 되어 있고 앞으로도 계속 글을 쓸 수 있겠다는 성실성이 보였기 때문이다. 작가의 정진과 그가 겪어나갈 작가로서의 삶에 경의를 표하면서 다음 작품을 기다리려 한다.

작가 인터뷰

  • 황석영 “세상은 아주 조금씩, 아주 느리게 나아진다”
    2020.06.30.
  • 황석영 “결국은 사랑의 문제 아니에요?”
    2015.11.26.
  • “언제부터 소설이 거짓말의 대명사가 되었나” - 황석영
    2012.12.03.
  • 황석영과 이충호, 『삼국지』의 매력을 논하다 -『만화 삼국지』 완간!
    2007.07.19.
  • 나는 청년작가이다, 소설가 황석영
    2003.12.11.

작가의 동영상

  • 황석영 인터뷰
    2017.04.24.

작품 밑줄긋기

아**토 2025.03.24.
p.19
쳇, 나는 또 시골동네로 이사가는 줄 알았잖아.아들이 투덜거리자 엄마가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여기도 사람 사는 동네란다.사람은 무슨······ 썩은 내에 파리에 쓰레기 천지로구만.

작가에게 한마디

  • 오래된 정원 -두고두고 아낍니다. 사랑을 ,,그 마음을 잃으려 할 때마다. 스스로 묻고 싶은 것이 있을 때마다..오래된 정원을 생각합니다. 늘 사랑을 손바닥만한 창 하나 ,오로지 그 것 이라고..생각하면서..마음을 잃으면 사람이 아니지 않나..모질지 말자.그럽니다.고맙습니다 좋은 글들.

    언******벽 2015.05.03. 오후 9: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