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들어가며
저자 소개 베타 리더 추천사 PART 0. ‘IT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 위해 PART 1. ‘IT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까지 1.1 ‘기획’이란 무엇일까? 무계획 여행가의 고충 기존 여행의 문제점 바꾼 여행 전략 2019년도 마지막 여행 1.2 필자가 처음 해 본 기획 1.3 ‘서비스 기획’이란? 소속 형태 분야 1.4 ‘IT 서비스 기획자’는 어떤 일을 할까?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업무 프로세스 1.5 막연하게 시작한 ‘기획’ 자금력이 없는 스타트업 UX디자이너 원하는 UX 디자인을 실현해 볼래, 창업 교육 업계 중소기업에서 시작한 서비스 기획 IT 서비스에 전폭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회사로 이직, PM 다른 기획자들은 어떻게 기획자가 됐을까? 1.6 어떤 회사에 입사해야 하지? IT 회사에서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PART 2. ‘시작이 반이다’ 리서치 2.1 리서치 종류 데스크 리서치 필드 리서치 리서치 시기 2.2 산업군 분석 PEST 3C(Customer, Competitor, Company) 5-Force 모델: 포터의 산업구조 분석 SWOT 2.3 논문 분석 2.4 기사 스크랩 2.5 서비스 평가 도구 사용 서비스 평가 지표 사용하기 직접 서비스 평가 지표 만들기 2.6 자사 서비스 흐름 분석 운영 중인 서비스가 있는 경우 운영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 2.7 스토어 리뷰 2.8 구글 Play 콘솔 사용량 분석 2.9 App Store Connect 사용량 분석 2.10 구글 Analytics 사용량 분석 웹 서비스 사용자 분석 도구 구글 Analytics 도구 설명 2.11 타사 서비스 리서치 Case1. 유사 분야 분석 Case2. 개인 작업을 아카이빙할 수 있는 앱 리서치 Case3. 유사 기능 서비스 리서치 2.12 유사 사례를 통한 인사이트 도출 2.13 유저 인터뷰 설문조사 1:1 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 2.14 전문가 인터뷰 2.15 부가 자료: 프로젝트의 시작 PART 3. 문제 정의 3.1 문제 정의 ‘As is’ Case1. 서비스 A 문제 정의 3.2 문제 해결 ‘To be’ Case1. 서비스 A의 As is, To be 3.3 전문가, 이해관계자와 긴밀한 관계를 통해 To be 구체화 3.4 프로젝트 헌장 3.5 킥오프 미팅 PART 4. 상위 기획 · 4.1 상위 기획 구성 요소 4.2 강아지 유치원 인터뷰 4.3 요구 사항 수집 & 사전분석 관리자 보호자 선생님 원아 4.4 페르소나 페르소나 선정방법 4.5 유저 시나리오 유저 시나리오 구성 요소 유저 시나리오 제작 및 요구 사항 도출 유저 시나리오 작성 시 고려할 사항 4.6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 4.7 메뉴 트리(Menu Tree) 사용자 사이트 관리자 사이트 4.8 서비스 흐름(Flow Chart) 서비스 흐름도 구성 요소 서비스 흐름도 작성 팁 서비스 흐름 핵심 01 - 회원가입 서비스 흐름 핵심 02 - 방문 예약 신청 시 사용자 프로세스 서비스 흐름 핵심 03 - 커뮤니티 관리 서비스 흐름 핵심 04 - 원아 관리 4.9 와이어프레임 방문 예약 프로세스 와이어프레임 - Mobile 원아 정보 관리 와이어프레임 - PC 4.10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 도구 소개 프로토타이핑 도구 장단점 4.11 스펙 설정(기능 요구 사항 명세서) 요구 사항 정의서 화면 ID 정의 화면 기능 설명 서비스 스펙 4.12 일정 산정 4.13 리뷰 PART 5. 개발 5.1 개발 조직 형태에 따른 업무 변화 인하우스에 개발 인력이 있다면 인하우스에 개발 인력이 없다면 참고: 프로젝트 시작 전부터 챙기면 좋을 것들 5.2 화면 설계서 작성 준비 서비스 단위 분할 페이지별 혹은 조건별 분할 화면 설계서 내 목차 5.3 공통 규칙 설계서 - 사용자 페이지 5.4 서비스 단위 설계서 - 사용자 페이지 5.5 공통 규칙 설계서 - 어드민(관리자) 페이지 5.6 서비스 단위 설계서 - 어드민(관리자) 페이지 5.7 정책서 서비스 운영 정책 SMS 발송 정책 5.8 검토(내부 회의) 5.9 변수 및 예외 사항 찾기 5.10 디자인 시기의 기획자 역할 5.11 개발 시기의 기획자 역할 5.12 개발 시기 다른 직군의 자세 5.13 부가 자료: 메신저 PART 6. 테스트(QA) 6.1 시나리오 테스트 6.2 기능 테스트 6.3 기기/크로스 브라우저 테스트 6.4 유저 테스트(UT) 6.5 보안 검수(개인정보/보안 취약점 검토 관련) 개인정보 검수 보안 취약점 검토 6.6 수정 또 수정 6.7 최종 테스트 완료 후 배포 준비 6.8 부가 자료: 칸반 형태 도구를 통한 이슈 관리 PART 7. 론칭 7.1 론칭일 7.2 운영 계획 수립 내부에 운영 인력이 있다면 외주 계약을 통해 운영을 진행한다면 7.3 내부 운영 문서 공유 및 교육 관리자 사이트 매뉴얼 관리자 사이트 FAQ 관리자 사이트 교육 사이트 론칭 시연회 7.4 홍보/마케팅 서포트 PART 8. 운영 8.1 CS 및 오류 사항 대응 사용자 입장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재현하기 사용자에게 대안 제시하기 8.2 성과 측정 성과 지표 설정하기 성과 측정하기 8.3 서버 사용량 분석 8.4 고도화 서비스 사용자 의견 취합 고도화 아이디어 리서치 PART 9. 기획자의 포트폴리오 만들기 9.1 목적에 맞는 포트폴리오 설계 9.2 온라인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사이트 구축 특화된 분야 관리 - 브런치 9.3 PDF 포트폴리오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에 맞는 프로젝트 선정하기 포트폴리오 만들기 포트폴리오 검증하기 PART 10. 기획자의 공부법 10.1 인풋 포럼 참석하고 공유하기 페이스북 그룹 기획 관련 책 읽기 기획자 스터디 가입 UX 스터디 개발 10.2 아웃풋 글쓰기 뉴스레터 발행하기 사이드 프로젝트 진행 에필로그 |
기획을 하고 싶다고?
기회는 지금이야!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익숙한 단어, ‘기획’. 익숙한 단어인 만큼 배우는 것도 쉬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모두가 일상에서 나름의 기획을 하며 살고 있는, “일상이 기획인 시대”지만 정작 기획을 제대로 배우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내가 기획하는 서비스마다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터넷에 퍼져있는 수많은 기획 방법들을 알면, 우리는 진짜로 “유능한 기획자”가 될 수 있을까요? 여러분들의 기획이 어려운 이유를 정확히 진단하여 해결 비법을 담았습니다. 기획자를 꿈꾸는 분들의 꿈을 이루어 드리기 위해, 기획자 선배의 비법을 친절하게 담았습니다. 이 책과 함께 기획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