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들어가면서 8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 역사 18 역사의 배경 18 첫 번째 동기 22 두 번째 동기 24 작성 25 구성 28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 30 참된 위로(1~2) 31 제1주일(위로: 1~2) 제1부: 비참한 인간(3~11) 65 타락 후의 상태(3~11) 65 제2주일(비참함: 3~5), 제3주일(타락: 6~8), 제4주일(불순종: 9~11) 제2부: 인간 구원(12~85) 132 중보자(12~25) 134 제5주일(정의와 중보자: 12~15), 제6주일(두 본성: 16~19), 제7주일(믿음: 20~23), 제8주일(「사도신경」 서론: 24~25) 하나님(26~28) 229 제9주일(아버지: 26), 제10주일(섭리: 27~28) 하나님 아들(29~52) 263 제11주일(구속자: 29~30), 제12주일(기름 부음: 31~32), 제13주일(유일한 아들: 33~34), 제14주일(수태: 35~36), 제15주일(고난: 37~39), 제16주일(죽으심: 40~44), 제17주일(부활: 45), 제18주일(승천: 46~49), 제19주일(우편 앉음: 50~52) 성령 하나님(53) 451 제20주일(성령: 53) 교회(54~58) 463 제21주일(「사도신경」 결론: 54~56), 제22주일(선행: 62~64) 믿음의 혜택(59~64) 513 제23주일(이신칭의: 59~61), 제24주일(선행: 62~64) 성례(65~68) 553 제25주일(성례: 65~68) 세례(69~74) 571 제26주일(세례: 69~71), 제27주일(유아세례: 72~74) 성찬(75~82) 604 제28주일(의미: 75~77), 제29주일(화체설: 78~79), 제30주일(미사: 80~81) 열쇠(83~85) 665 제31주일(열쇠: 83~85) 제3부: 감사(86~129) 686 견인의 삶(86~91) 687 제32주일(회개: 86~87), 제33주일(거룩함: 88~91) 「십계명」(92~115) 727 제34주일(서론과 제1계명: 92~95), 제35주일(제2계명: 96~98), 제36주일과 제37주일(제3계명: 99~100, 102), 제38주일(제4계명: 103), 제39주일(제5계명: 104), 제40주일(제6계명: 1065~107), 제41주일(제7계명: 108~109), 제42주일(제8계명: 110~111), 제43주일(제9계명: 112), 제44주일(제10계명: 113~115) 「주기도문」(116~129) 815 제45주일(필요성: 116~119), 제46주일(머리말: 120~121), 제47주일(제1청원: 122), 제48주일(제2청원: 123), 제49주일(제3청원: 124), 제50주일(제4청원: 125), 제51주일(제5청원: 126), 제52주일(제6청원과 결론: 127~129) 색인 885 |
라은성의 다른 상품
이 책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의 주석 책이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1563)는 〈제네바 교리문답서〉(1545)와 함께 개혁신앙인을 위한 신앙 교육서이다. 1571년 개혁교회는 둘 중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 채택하고, 〈돌드레히트 법규〉를 대신했다. 〈벨지카 신앙고백서〉와 함께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와 〈돌드레히트 법규〉는 일치를 위한 세 형식으로 알려진 개혁신앙인을 위한 총서며 고백서이다. 라은성 교수는 10년 이상의 수고와 임상을 통해 이 주석 책을 완성했다. 주석 책이라는 이름이 걸맞게 편파적이고, 지엽적이고, 조직신학적 해석을 뛰어넘어 신앙 교리 전체를 총망라하는 개혁신앙을 일맥하게끔 정리한 점이 놀라운 점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교리문답서나 신앙고백서의 주석 책이 있곤 하지만 전체를 한 저자가 일관성 있게 주석하고 서로 연관하여 설명하는 것은 역사상 최초로 있는 일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 책을 통해 개혁신앙인이 성경 해석의 원리를 찾아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삶에 적용하고, 다른 신앙 교리도 함께 해석하여 삶에 폭넓게, 깊게, 오랫동안 사용되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