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들어가면서 6
1. 개혁신앙(1주간) 14 1.1. 신념과 신앙 15 1.2. 바른 신앙(2주간) 35 1.3. 개혁신앙과 교리 45 2. 왜 기독교인이 되어야 하나? (3주간) 51 2.1. 최고의 목적 54 2.2. 최고의 위로(4주간) 65 2.3. 학습자 69 2.4. 삶이다! 71 2.5. 교리와 조직신학 73 3. 동시에 알아야 할 두 지식(5주간) 77 3.1. 균형 79 3.2. 이단성 81 3.3. 진리에 대한 서언 82 3.4. 자연을 통해 84 4. 오직 성경으로(6주간) 87 4.1. 부족한 계시 88 4.2. 기록된 말씀 90 4.3. 정경과 성경 91 4.4. 외경 93 4.5. 마틴 루터 93 4.6. 성경 제일로? 94 4.7. 성경의 저자 97 4.8. 성경 읽기 98 4.9. 직통 계시 103 4.10. 핵심적 내용 104 5. 삼위일체 하나님(7주간) 105 5.1. 어떤 분 107 5.2. 이해가 아닌 설명 108 5.3. 한 분 하나님? 109 5.4. 삼위 하나님 114 5.5. 한 본질(8주간) 119 5.6. 본체와 본질 120 5.7. 속성 121 5.8. 부성애 125 6. 성자 하나님(9주간) 130 6.1. 그분의 이야기 131 6.2. 요한복음 3장 16절 131 6.3. 하나님 132 6.4. 오직 한 분 중보자 136 6.5. 참 하나님, 참 인간 140 6.6. 두 지위(10주간) 146 6.7. 3중직 155 7. 성령 하나님(11주간) 159 7.1. 필리오케 159 7.2. 신성 162 7.3. 중생의 저자 165 7.4. 거짓 영 166 7.5. 9가지 측면 167 8. 하나님의 사역(12주간) 169 8.1. 비밀적 170 8.2. 영원한 작정 171 8.3. 어리석은 주장 173 8.4. 창조 174 8.5. 섭리 178 9. 인간(13주간) 192 9.1. 네 가지 상태 193 9.2. 자유의지(14주간) 204 9.3. 부르심 208 10. 믿음(15주간) 214 10.1. 선물 215 10.2. 선포 216 10.3. 도구 218 10.4. 정의 220 10.5. 무상적 은혜 224 11. 칭의(16주간) 227 11.1. 정의 229 11.2. 개념 231 11.3. 죄들의 용서 237 11.4. 화해 240 11.5. 선행 242 11.6. 보상 245 12. 회개(17주간) 247 12.1. 죄들의 용서 249 12.2. 정의 251 12.3. 회개의 방법 256 12.4. 성령 훼방 죄 257 12.5. 거짓된 회개 257 13. 신자의 삶(18주간) 261 13.1. 중생의 목적 262 13.2. 거룩함 263 13.3. 자기부인 264 13.4. 십자가 지라! 266 13.5. 미래의 삶 268 13.6. 「십계명」 270 14. 자유(20주간) 290 14.1. 기독교인의 자유 290 14.2. 성경적 자유 291 14.3. 방종 295 14.4. 양심의 자유 296 15. 기도(21주간) 298 15.1. 양자 됨 299 15.2. 기도 300 15.3. 올바른 기도 303 15.4. 예수님의 이름으로 307 15.5. 응답받는 기도 308 15.6. 다니엘의 기도 310 15.7. 「주기도문」(22주간) 311 16. 교회(23주간) 327 16.1. 목적 329 16.2. 정의 334 16.3. 교회 정치 344 16.4. 사역자 347 16.5. 교파와 교단 350 16.6. 교회 권한 351 16.7. 성례(24주간) 357 16.8. 세례 361 16.9. 성찬 366 17. 색인 373 |
라은성의 다른 상품
신학과 신앙은 다르다. 전자는 개인적이지만 후자는 총체적이다. 전자는 철학적이지만 후자는 실천적이다. 지식 없는 신앙은 언제든 방황과 방종이 뒤따른다. 교회가 고백했던 신앙고백서를 간과하는 현대 한국교회는 성도를 위한 진정한 가르침이 뭔지 모른 채로 열심히 방황한다. 먹기는 먹는데 배만 불룩해질 뿐이다. 성경을 배우는데 살만 찐다.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은 비만이지 건강하다고 말할 수 없다. 신앙생활에서 성경공부가 뼈라면 교리공부는 근육이다.
장로정치를 하는 장로교회의 신앙은 개혁신앙이지 장로교신앙이 아니다. 장로교는 정치적 용어이지 신앙적 용어가 아니다. 장로교인은 교리를 근거한 신앙을 추구한다. 그 교리는 6가지를 포함한다. 웨스트민스터 기준서인 신앙고백서, 소교리문답서 및 대교리문답서이다. 또 일치를 위한 세 형식인 돌드레히트신조, 벨지카 신앙고백서 및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 등이다. 이와 같은 교리는 신앙생활을 위한 것이지 두뇌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평생 한국교회의 개혁신앙인이 연구하고 공부해야 하는 것은 교리이다.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과정을 밟는 것이 아니라 외울 때까지 삶에 적용할 때까지 배우고 또 배워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