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저녁 잎사귀처럼 알게 될 때
초판한정 '작약'스티커 증정
이운진
소월책방 2024.04.30.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카드뉴스8

책소개

목차

시인의 말

제 1부

포도잼 | 상강(霜降) | 열 걸음 | 야상곡(夜想曲) | 가을 편지 | 푸른 성운에서 보내는 안부 |초록의 온기 | 마음 여행자 | 작약 | 저녁 잎사귀처럼 알게 될 때 | 비를 데리고 너에게 가서 | 꽃차 | 화분이 있는 방 | 어둠이라는 이 단어 | 소쇄원에서 쓰는 묵서

제 2부

처서 무렵 | 앵강만 | 까치집 | 유고 시집을 받고 | 밀물과 썰물 사이에서 | 너의 반항이 옳다 | 가을 햇빛 속에는 | 미학적인 식사 | 나의 불의에 대하여 | 숯내가 나는 꽃밭 | 눈 속의 폐역(廢驛)에서 | 반성 | 내력(來歷) | 나무와의 일박(一泊) | 사실, 나는 | 하염없는 날

제 3부

사랑의 우화 | 이팝나무의 저녁 | 달 여인숙 | 눈 안에 있는 사람 | 만년설(萬年雪) | 억새꽃 사이에서 | 6월의 어느 날 저녁에 | 검은 자서전 | 4월 | 사랑이 흐른 뒤 | 돌무지 | 석모도, 석양 | 온통 모순 | 우리처럼 | 달콤한 어둠

제 4부

묶인 새 | 엄마의 집 | 물속의 여자 | 그 후 | 맹렬한 여름 | 꿈속의 봄날 | 나를 쓰다 | 2년 8개월 30일 밤 | 그럴 수 있다면 | 늦은 바람 속에는 | 완경(完經) | 옛 골목 | 늙은 호박 하나 | 가장 조용한 봄

발문(跋文) : 김겸 ― 피지 마, 부르지 마, 알지 마

저자 소개1

1971년 경남 거창에서 출생했다. 1995년 시인이 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톨스토이역에 내리는 단 한 사람이 되어』 『타로 카드를 그리는 밤』 『모든 기억은 종이처럼 얇아졌다』를 비롯해 청소년시집 『셀카와 자화상』을 펴냈다. 산문집으로는 『여기, 카미유 클로델』 『시인을 만나다』 『고흐씨, 시 읽어 줄까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워질 너에게』가 있다. 제 5회 디카시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이운진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4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135쪽 | 128*205*20mm
ISBN13
9791198044730

책 속으로

바람, 은행 잎, 숨결과 어둠
이런 식으로 가을이 지나가요
창백한 한 사람을 위해 가을이 짧아져요
그게 가을이 한 일이에요
삶의 가장 어여쁜 시간
그런 건 거짓말이지만
--- 「가을 편지」중에서

고요히 서 있는 담장에
별을 닮은 꽃을 그리고 강물을 그리고
우리에게 어긋난 것은 길이 아니며
상처 깊도록 어긋난 것이 시간은 더욱 아니라고 적어둔다면

먼 훗날
네게 기도가 필요해지는 날에야 읽을 수 있을 것

초승달의 곡선 같은
열 걸음이 끝나면
날 부르지 마, 날 알지 마
--- 「열 걸음」중에서

북쪽으로 난 너의 창이 막지 못할 폭우
내게 필요한 만큼의 울음으로

비를 데리고 너에게 가서
비처럼 한바탕 쏟아지고 싶다

만약 비속에 멍울이 있다면 그건 나이고
만약 비속에 아늑함이 있다면 그것도 나라는 걸
알 때까지
--- 「비를 데리고 너에게 가서」중에서

외로운 이들은 자신의 마음속에서조차
어두운 구석에 서 있는 이 세상에서

내 가짜들이 필요 없는 이 어둠
칼과 눈물이 똑같은 그런 어둠

나를 품는 다정한 어둠속에서
조용히, 완전히
다시 한 번 다른 방식으로
너의 것이 되고 내가 되고 싶어
--- 「어둠이라는 이 단어」중에서

떼어 낼 꽃잎이 없어진 날, 나를 사랑한다가 마지막 꽃잎이길 바라던 때처럼 지극하게 빈 꽃대를 어루만진다. 피지 않아도 된다는 말은 더 캄캄한 데를 찾지 않아도 된다는 말 같다. 붉음에도 불구하고 검었던 마음이 안녕을 간직한다는 말 같다.

--- 「완경(完經)」중에서

추천평

죽지도 자라나지도 않는 뱅갈고무나무의 고집처럼 나도 그에게 “너의 슬픔이 옳았다/ 너의 반항이 옳았다”(「너의 반항이 옳다」)라고 눈물 어린 말을 전해 주고 싶다. 이제 “피지 않아도 된다는 말은 더 캄캄한 데를 찾지 않아도 된다는 말”(「완경(完經)」)이니 애써 피우려 하지 말고 그리하여 짙은 어둠을 경험하지 말고, 언제나 홀로 남겨지는 자의 몫을 감당하지 말고, “한 번쯤은 내가 먼저 떠나보고 싶”(「마음 여행자」)은 마음의 여행자가 되길. 시라는 상상력의 날개로. - 김겸 (시인)

리뷰/한줄평1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