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제1부 제1장 죽음의 전령 제2장 의학 학위 vs 강아지 제3장 생명을 구하려는 끈질긴 관성 제4장 오케스트라와 한 명의 청중 제5장 절박한 단서 찾기 제6장 인간을 재측정하기 제7장 총상, 포크를 삼킨 사람, 그리고 진실 제8장 〈응급실에서는 모든 일이 급한 거 아닌가요?〉 제9장 우리의 원칙조차 휘청거린다 제10장 확실히 특이한 장(章) 제2부 제11장 암이었던 기침 제12장 마침내, 소개하다 제13장 관료주의의 부조리 제14장 사망 원인? 제15장 아는 것은 힘이고 무지는 축복이다 제16장 죽은 환자의 허락을 구하는 방법에 관하여 제17장 〈응급실에서 본 것 중에 가장 이상한 게 뭐예요?〉 제18장 로토 복권 에필로그 감사의 말 주 |
Farzon A. Nahvi
이문영의 다른 상품
뉴욕시 응급실 의사가 전하는 삶에 관한 기쁨과 슬픔
응급실에서 일하면서 우리는 강렬하고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수없이 마주하게 된다. 나는 스스로 세상 물정 모르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환자를 만난 후에 자주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이게 도대체 뭐지?]라고 중얼거리는 자신을 발견했다. 이는 내가 본 것을 믿을 수 없다거나 단순한 동정심, 슬픔 때문이 아니라 훨씬 더 복잡한 감정의 표현이었다. 내 반응은 내가 겪은 너무나 많은 경험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응급실에서 우리가 수시로 목격하는 경험들은 너무나 심오하고, 감동적이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놀라워서 나는 그런 일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 결국 나는 세상의 현실과 마주했을 때 세상에 대한 나의 이해가 부족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지만 나는 이러한 경험들이 매우 의미 있다는 것을 알았고, 그냥 흘려보낼 수 없었다. 이 이야기들이 내 잠재의식에 스며들어, 어느 날 센트럴 파크 북서쪽 연못가 벤치에 우리 강아지와 함께 앉아 있다가 불현듯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가장 가까운 건물로 달려가 경비원에게 종이를 빌려 달라고 부탁했고, 최근에 내가 돌봤던 젊은 여성을 주제로 7쪽가량의 글을 썼다. 이 7쪽이 『나는 어떤 죽음에도 익숙해지지 않는다』의 기초가 되었다. 내 경험을 서술하고 페이지 수가 늘어나면서 응급실에서의 내 경험과 그에 대한 내 반응이 특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응급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우리는 멈춰 서서 적어도 경외심과 경이로움으로 반응할 만한 중요한 사건들을 늘 목격한다. 하지만 너무나 자주 우리는 이러한 순간들의 진가를 알아보지 못하고 잠시 주목했다가 바로 지나쳐 버린다. 충분히 숙고하고 분석할 시간을 갖지 않고 말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으려는 나의 시도다. 『나는 어떤 죽음에도 익숙해지지 않는다』는 응급실에서의 일상 업무라는 렌즈를 통해, 잠시 멈춰서 냉정하게 주위를 둘러보고 우리 삶을 매우 강렬하고, 묘하며, 묘하게 아름다운 것으로 바라보려는 시도다. ㅡ 파존 A. 나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