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북쪽에서 부는 폭풍
제35장 도시선(都市船)의 출현 ─ 9 제36장 이방인들 ─ 18 제37장 황자의 저항 ─ 44 제38장 황후의 요청 ─ 51 제39장 망원자의 죽음 ─ 65 제40장 라 올루의 타락 ─ 74 제41장 편지의 해석 ─ 87 제42장 루이섬 침공 ─ 111 제43장 승리의 맛 ─ 135 제44장 루안 지아의 여행 ─ 157 제45장 중간에 일어난 일 ─ 195 제46장 우큐의 왕자와 공주 ─ 198 제47장 마피데레의 탐험대 ─ 216 제48장 류쿠와 아곤 ─ 226 제49장 도시선의 꿈 ─ 253 제50장 귀향 ─ 290 제51장 함정 ─ 304 제52장 원수의 결정 ─ 332 제53장 발견한 내용 ─ 355 태풍들의 충돌 제57장 떼 ─ 461 제58장 민들레의 꿈 ─ 490 제59장 자틴만 전투(1부) ─ 509 제60장 자틴만 전투(2부) ─ 538 제61장 멀리서 온 전령 ─ 583 제62장 연꽃 씨의 고별 ─ 622 |
Ken Liu
켄 리우의 다른 상품
황성연의 다른 상품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를 뛰어넘는 놀라운 동양 고전의 재해석
켄 리우는 「민들레 왕조 연대기」를 통해, 번역자의 창의성과 지역문화에 맞춰 자유롭게 각색하는 식의, 과거 동아시아 번역가들의 '호걸역(豪傑譯)'을 역으로 서구권에 시도한다. 켄 리우의 설명에 따르면 19세기, 아직 서양 문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독자들에게 번역자들은 "완전히 새로운 문화를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분투하면서 삭제하고, 각색하고, 개작하고, 수정하고, 시험 삼아 써 보는 등의 갖가지 방식을 거리낌 없이 사용했다."고 한다. 그는 과거 서구권 문학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본이나 중국에서 호걸역이 빈번했음을 상기하며, 반대로 동양 문학의 고전이 서양에서 널리 알려지지 않는 점은 바로 이 호걸역의 부족에서 기인하였다고 판단한 것이다. 때문에 켄 리우는 동양의 고전을 호걸역을 통해 서양에 선보이고자 했고, 그의 첫 호걸역 작품으로 중국 문학 최고의 고전 『초한지』가 선택되었다. 과감한 소설적 상상력으로 새롭게 그려 낸 『초한지』 이후의 세계관 전작에서 다라 제도를 통일한 유방, 즉 쿠니 가루는 이제 황가의 혈통을 이어야 한다는 과제를 맞이한다. 척 부인을 상징하는 리사나와 여후를 상징하는 지아 황후가 각기 아들을 두고 물밑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쿠니 가루는 두 아들의 결함을 직시하고 제3의 선택지, 즉 여성을 후계자로 내세운다는 도박을 감행한다. 여자가 황제가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각국의 여성 인재를 발굴하는 ‘황금 잉어 계획’을 실시하는 와중, ‘폭풍의 벽’ 건너편에서 진시황, 즉 마피데레 황제가 찾고자 했던 ‘불멸의 땅’에서 이방인들이 찾아와 불을 내뿜는 야수를 부리며 무시무시한 공격력으로 다라 제도를 멸망의 위험으로 몰아넣는다. 켄 리우는 전작에 이어 역사가 여성들을 부당하게 그려내는 방식에 직접적으로 문제를 제기한다. “키코미가 남자였다면 잘못된 사랑을 위해 백성들을 배신했다고 그렇게나 확신했겠느냐”는 질문을 직접적으로 던지기도 하고, “역사 속의 여자들은 어떤 남자를 사랑했는지에 따라 정의된다”고 평한다. 또 지안 황후는 누가 황제에 오르더라도 안정적인 치세를 이룩하기 위한 제도를 만들기 위해 궁정의 음모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공신 세력을 축출하는데, 이를 두고 스스로 ‘역사에서 지워지지 않기 위해 오해를 무릅써야 하지만 왜 다라의 연대기에서 내 이름을 더럽혀야 하는 것인지’ 한탄하기도 한다. 실제 역사 속 인물들의 일생과 최후 역시 많이 달라졌다. 장안에서 유방의 스승과 책사 노릇을 하던 장량은 새로운 것을 알기 위해서라면 목숨을 잃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가, 루안 지아로 다시 태어나 ‘세계는 알 수 있는 것’이라는 명언을 남기고, 부족한 정치적 역량과 처세술로 스스로를 궁지에 몰아넣었던 한신은 당찬 여성 ‘긴 마조티’로 태어나 북방의 침입으로부터 다라를 보호하고 마치 이순신 장군처럼 ‘죽은 채로도 군의 승리를 지휘하는’ 최후를 맞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