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셀러
현대국어음운론
국어교육을 위한 제3판
이문규
한국문화사 2025.02.25.
베스트
어문학 계열 10위 어문학 계열 top20 7주
가격
22,000
22,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두 번째 개정판 서문
개정판 서문
서문
참고 사항

제1장
음운론의 뜻과 하는 일


1. 음운론의 뜻
2. 음운론이 하는 일

제2장
말소리의 모습


1. 음성학
2. 말소리가 나는 과정
3. 자음
4. 모음
5. 초분절음
6. 음성 전사

제3장
음운과 음운체계


1. 음소의 뜻과 음소 분석
2. 음운의 대립 관계
3. 현대국어의 음운체계

제4장
음절


1. 음절의 뜻
2. 음절의 구성과 유형
3. 음절의 구조

제5장
음운변동의 뜻과 탐구 방법


1. 음운변동의 뜻
2. 음운변동의 종류
3. 음운변동 탐구의 단계와 방법
4. 음운변동의 공시성 문제

제6장
국어 음운변동의 탐구


1. 대치
2. 탈락
3. 첨가
4. 축약
5. 운소의 변동
6. 기타

제7장
음운 교육론


1. 음운 교육의 목표
2. 음운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
3. 음운 교육과 국어 교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1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음운론을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지금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음운교육론, 국어사, 국어문법교육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2018), 『문법교육론』(공저, 2010), 『(개정판) 국어교육을 위한 현대국어 음운론』(2015), 『형태소 성조형 중심의 국어 성조론』(2017/2018)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국어교육의 이념과 어휘 교육의 방향』 (2003), 『음운규칙의 공시성과 통시성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음운론을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지금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음운교육론, 국어사, 국어문법교육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2018), 『문법교육론』(공저, 2010), 『(개정판) 국어교육을 위한 현대국어 음운론』(2015), 『형태소 성조형 중심의 국어 성조론』(2017/2018)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국어교육의 이념과 어휘 교육의 방향』 (2003), 『음운규칙의 공시성과 통시성』(2009), 『국어 방언 성조의 성격과 성조 체계 기술의 기본 단위』(2011), 『국어 성조론의 성과와 전망』(2021), 『중세 문헌어 성조의 방언 운율사적 정체성』(2022) 등이 있다.

이문규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5년 02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298쪽 | 175*250*15mm
ISBN13
9791169192941

출판사 리뷰

두 번째 개정판 서문

두 번째 개정판을 낸다. 첫 개정판을 낼 때 마음에만 두고 손대지 못한 부분을 덜어내거나 고치고 새로운 내용을 보탰다. 이번 개정의 주된 방향은 국어과 문법 교육의 현장에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으로 잡았다. 이를 위해, 음운 이론에 대한 부분을 과감히 줄이는 대신 예비 국어 교사와 국어 교사가 우리말 음운을 탐구하고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사항들을 더하고자 했다. 특히, 음운체계와 변동 현상을 설명하면서, 발음기관을 통해 발음의 과정과 방법을 직접 확인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이나 음운 단원 수업을 재구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더 많이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대국어의 음운 현상을 음운의 역사와 관련지어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나, 초판부터 중시했던, 어문규범을 음운변동과 연계하여 이해하도록 하는 내용도 보강하였다.

음운 교육은 일차적으로 말소리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분야이다. 그러나 국어과 음운 교육은 거기서 나아가, 학습자가 말소리와 관련된 다양한 언어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면서, 자신과 주변의 언어생활을 돌아보도록 이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음운 교육의 내용은 언어학적 음운 지식을 바탕으로 하되,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 재구성되는 것이라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 책이 사범대학에서 공부하는 예비 국어 교사와 이미 교단에 서 있는 국어 교사들이 음운 지식을 국어교육의 차원에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말소리와 관련된 가치 있고 흥미로운 교육 내용을 재구성해 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지난 개정판의 원고를 읽고 많은 도움말을 준 박소은 선생과 은동현 선생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2025년 2월 25일
이문규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2,000
1 2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