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장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절 행정의 본질 01 행정의 개념 3 02 공공재로서의 행정 5 03 행정기능 & 행정과정 10 제2절 행정과 환경 01 행정의 정치 11 02 행정과 경영 14 03 시민사회와 제3섹터·NGO 16 04 사회적 자본 19 제3절 행정의 변천 01 현대행정의 특징 23 02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정부관 26 03 후기산업사회(포스트모더니티)의 행정 27 제4절 행정의 존재이유 - 시장실패 01 시장실패 28 02 정부규제 30 03 행정지도 39 제5절 행정의 한계 - 정부실패와 대응 01 정부실패 40 02 공공재의 적정 공급규모 45 03 감축관리론 - 작은 정부론 47 04 공공부문의 민간화 48 제6절 행정의 지향과 가치 01 행정이념의 변천과 관계 54 02 행정의 본질적 가치 56 03 행정의 수단적 가치 62 종합 행정이념 68 제7절 행정학의 특징과 체계 01 행정학의 성격과 접근법 72 02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74 제8절 행정학의 주요 이론 01 과학적 관리론 78 02 인간관계론 80 03 행태론적 접근 82 04 생태론적 접근 85 05 체제론적 접근 86 06 비교행정론 88 07 발전행정론 89 08 신행정론 90 09 현상학 94 10 비판행정학과 담론이론 96 11 공공선택이론 97 12 신제도론 105 13 신공공관리론 113 14 거버넌스론 118 15 신공공서비스론 129 16 탈신공공관리론 134 17 넛지이론과 공공가치관리론 136 종합 행정이론 140 2장 정책론 제1절 정책과 정책과학의 본질 01 정책과학의 특성과 본질 155 02 정책의 본질과 유형 157 제2절 정책의제와 정책목표 01 정책의제의 설정 169 02 정책의제 설정에 관한 이론모형 178 03 정책네트워크(정책망)모형 187 04 정책목표 193 제3절 정책분석과 미래예측 01 정책대안의 탐색과 평가 195 02 정책분석의 유형과 차원 196 03 체제분석 197 04 관리과학 203 05 직관적(판단적) 예측 204 06 불확실성과 미래예측 210 제4절 정책결정 01 정책결정의 본질과 과정 214 02 정책결정요인이론 216 03 개인차원의 의사결정모형 218 04 집단차원의 의사결정모형 226 종합 정책결정모형 235 제5절 정책집행 01 정책집행의 본질 241 02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와 이론 242 03 정책집행이론 245 04 정책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259 제6절 기획 01 기획의 본질 262 02 기획의 발달과 유형 263 제7절 정책평과와 환류 01 정책평가의 본질과 목적 264 02 정책평가의 유형과 방법 266 03 정부업무평가 270 04 인과관계·변수 및 타당성 275 05 정책평가의 방법 : 실험 284 06 정책변동과 환류 292 3장 조직론 제1절 조직의 본질과 기초이론 01 조직의 유형 299 02 조직이론의 변천과 유형 311 제2절 조직행동론 01 인간관과 동기이론 314 종합 동기이론 324 02 조직문화 333 03 의사전달 336 04 갈등 338 05 권력 345 06 리더십 346 제3절 조직구조론 01 조직의 구조변수 358 02 조직의 원리 367 03 관료제 371 04 애드호크라시(adhocracy) 377 05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388 06 계선과 막료 389 07 위원회(합의제 행정기관) 391 08 정부조직체계 393 09 책임운영기관 398 10 공기업 404 제4절 조직환경론 01 거시조직이론 409 02 혼돈이론 418 제5절 조직관리론 01 행정PR 및 정보공개 420 02 목표관리(MBO) 423 03 조직발전(OD) 426 04 전략적 관리 & 위기관리 429 05 리엔지니어링 431 06 총체적 품질관리(TQM) 432 07 시민헌장 - 행정서비스헌장 436 08 성과관리 - 성과중심의 행정 437 09 균형성과관리(BSC) 439 종합 성과관리 444 4장 인사행정론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01 인사행정의 특징과 흐름 449 02 엽관주의 450 03 실적주의 453 04 직업공무원제도 457 05 대표관료제 461 종합 인사행정제도의 변천 466 06 중앙인사행정기관 470 07 적극적 인사행정 & 인적자원관리 747 제2절 공직의 분류 01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478 02 개방형과 폐쇄형 인사 484 03 계급제 489 04 직위분류제 491 05 고위공무원단 제도 499 제3절 공무원의 임용 01 임용 503 02 시험 506 제4절 공무원의 능력발전 01 교육훈련 511 02 근무성적평정 513 03 승진·배치전환·경력개발 523 04 역량중심의 인사 527 제5절 공무원의 복지와 사기 01 공무원의 사기 530 02 공무원의 보수 531 03 공무원 연금 537 04 신분보장 543 05 공무원단체 - 공무원노조 553 제6절 공직 윤리와 부패 01 정치적 중립 559 02 공직윤리 561 03 공직부패 577 04 내부고발자 보호제도 581 5장 재무행정론 제1절 예산의 개념과 본질 01 예산과 재정 585 02 예산 관련 법률 587 03 계획과 예산, 중앙예산기관 596 04 예산의 기능 598 05 예산의 원칙 600 06 예산의 분류 608 제2절 예산의 종류 01 세입·세출의 성질에 따른 구분 612 02 정부기금 615 03 통합재정 620 04 조세지출예산 623 05 남녀평등예산(성인지예산) 626 06 본예산·수정예산·추경예산 628 07 준예산·잠정예산·가예산 630 종합 예산 종류 632 제3절 예산결정이론 01 예산이론의 전개와 유형 637 02 예산의 합리주의와 점증주의 638 03 자원의 희소성과 공공지출관리의 규율 645 제4절 예산제도론 01 품목별 예산(LIBS) 647 02 성과주의 예산(PBS) 649 03 계획예산(PPBS) 653 04 영기준예산(ZBB) 656 05 자본예산(CBS) 661 06 신성과주의예산(NPB) 665 종합 예산제도 671 제5절 예산과정 01 예산주기 679 02 예산편성 682 03 예산심의 686 04 예산집행 689 05 구매행정(조달행정) 704 06 결산 705 07 정부회계 708 08 회계검사 717 종합 예산과정 719 6장 환류행정론 제1절 행정책임 01 행정책임 725 02 행정통제 729 03 옴부즈만제도 736 04 민원 행정 740 05 행정참여 742 06 참여예산제도 744 제2절 행정개혁 01 행정개혁의 본질 749 02 선진국의 행정개혁과 교훈 752 03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753 제3절 정보화와 행정 01 지식정보화사회와 행정 756 02 행정정보체계 760 03 전자정부 764 04 지식행정관리 781 7장 지방자치론 제1절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01 지방행정의 개념과 특징 785 02 지방자치의 본질과 가치 786 03 자치권 791 04 지방자치의 변천과 역사 795 05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798 제2절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와의 관계 01 정부간 관계 805 02 중앙통제 812 03 특별지방행정기관(일선기관) 818 04 정부 간 갈등과 분쟁 821 05 광역행정 824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01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830 02 자치단체의 계층구조 835 03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838 04 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839 종합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 852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사무 01 지방자치단체의 기능 배분 855 02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860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01 지방재정의 본질과 체계 868 02 지방재정력의 평가 870 03 지방세 874 04 세외수입 881 05 지방공기업 884 06 국고보조금 888 07 지방교부세 890 08 지방채 896 종합 지방재정 898 제6절 지방자치와 주민 01 주민참여 902 02 주민소송 907 03 주민투표 908 04 주민소환 912 종합 주민참여 913 부록 지방자치법 개정내용 비교정리 922 주민발안법 제정내용 비교정리 923 주민투표법 개정내용 비교정리 923 |
김중규의 다른 상품
2026 김중규 ALL바른 기출문제 선행정학의 특징이자 강점은
첫째, 9·7급 등 모든 공무원 행정학을 위한 통합 기출집입니다. 여러 시험을 병행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편의를 위해 9급, 7급, 국회, 경찰, 군무원, 공사·공단 등 다양한 행정학 시험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각종 기출문제의 경계를 뛰어넘어 정제·분석·수록하여 2026 기본서 체제에 맞추어 전2권으로 통합·출간되었습니다. 둘째, 최근 기출문제와 개정법령을 완벽 반영하였습니다. 모든 기출문제에 대하여 출제 당시와 달라진 제도 개편, 최근 법령개정(「정부조직법」, 「주민투표법」, 「공공기관운영법」, 「공무원노조법」, 「국가회계법」, 「지방자치법」 등)사항 등을 반영하여 시의 적절히 현실에 맞게 수정하였습니다. 특히 「지방자치법」의 경우에는 재시생들을 위하여 종전 내용과 달라진 내용을 비교·정리하여 부록으로 수록하였습니다. 공무원 시험 뿐 아니라 최근 공기업이나 군무원시험에서 출제된 문제도 중요한 문제는 일부 수록하고 최근에 치러진 2025 국회8급, 국가9급, 지방9급 문제까지도 모두 분석·수록하였습니다. 셋째, 1,600여 문제를 엄선·정제하였습니다. 최근 10여년간의 1,600여 문제를 엄선·정제하였습니다. 기출문제를 철저히 분석하여 시의성이 없어졌거나, 유사·중복되거나, 1회성 문제나 재출제가능성이 없는 문제들은 과감히 배제하고 재출제가능성이 높은 문제들로만 엄격히 정제하여 최종 1,600여 문제(7급용 100제 포함)를 선별하였습니다. 그렇다고 문제의 연결이나 흐름상 공백이 생긴 것은 전혀 아니며, 단 한 문제도 빠져 나가지 않도록 촘촘하게 그물을 쳤습니다. 따라서 양적으로는 분량이 약간 줄었지만 질적으로는 퀄리티가 오히려 높아진 것입니다. 넷째, 이론과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결시켰습니다. 이론과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핵심 이론과 정리표 등을 배치함으로써 이론단계에서 이해 못한 부분들을 기출단계에서라도 이해될 수 있도록 배려하였습니다. 다섯째, 100% 전 지문 해설을 달았습니다. 해설과 정리를 최대한 간결하고 명쾌하게 수록하되, 모든 문제에 대하여 틀린 지문은 물론, 옳은 지문에 대해서도 하나하나 해설을 제시하여 수험생 여러분들이 해당 지문이 왜 맞는지, 왜 틀렸는지, 어느 부분이 틀렸는지를 명확하게 해설을 달았습니다. 특히 대충 정답에만 꿰맞춘 듯한 성의 없는 해설로 일관된 시중의 다른 교재들과 달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정확하고 명쾌한 해설을 제시하려고 최대한 노력하였습니다. 여섯째, 논란 있는 문제들을 회피하지 않았습니다. 논란이 있는 문제들을 배제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정면승부하였으며, 잘못된 해설로 피해를 보는 수험생들을 배려하여 카스파(김중규행정학아카데미) 게시판에 올라온 질문 글들을 바탕으로 다른 교재의 잘못된 부분들까지도 바로잡아주는 개방적이고도 과감한 해설을 시도하였습니다. 행정학의 필수과목화에 대비한 고득점전략을 위해서 해설의 폭과 깊이를 한층 보강한 것입니다. 일곱째, 정답을 찾아가는 경로와 암기법을 팁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중요하거나 자주 틀리거나 빈번하게 질문을 하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단순한 정답 제시가 아니라, 문제를 푸는 과정과 경로를 알려주어 실수하지 않고 패턴별로 문제를 쉽고 빠르게 풀어갈 수 있도록 “중규쌤팁”란을 만들었습니다. 아울러 수업때 강조했던 암기법을 활용해야 하는 문제는 암기법善 까지도 표기해두었습니다. 여덟째, 합격생들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선행정학 교재로 공부해온 합격생들이 아쉬워 했던 부분들을 모두 반영하여 개선하였고, 합격생들이 문제를 풀어갔던 과정이나 아이디어를 수험생 눈높이에 맞추어 합격생 팁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아홉째, 기본서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정리나 이해가 필요한 부분은 정리표와 함께 첨삭 형식으로 보충설명을 곁들여 강의를 듣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기출집이 기본서의 역할까지도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열번째, 주의를 요하는 사항은 별도로 강조하였습니다. 고득점의 여부를 결정짓는 헷갈리거나 꼭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내용은 문제 하단에 눈에 잘 띄게 주의형식으로 처리하여 핵심을 간단·명료하게 요약·정리하였습니다. 열한번째, 최근 높아진 난도를 완벽 반영하였습니다. 9급 필수과목 전환과 7급 PAST 도입 이후 달라진 출제경향과 고난도 영역까지 완벽하게 반영하였으며, 특히 최근 빈출되고 있는 고난도 법령문제에 대한 충실한 해설을 제공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문제마다 난이도와 중요도를 구분하여 표시하였습니다. 모든 문제에 대한 중요도와 난이도를 표시하여 경중을 가려 공부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습니다. 난이도와 중요도는 다릅니다. 중요도는 앞으로 재출제가능성 등을 감안한 문제의 중요도로 꼭 알아두어야 할 정도이고, 난이도는 해당 문제를 푸는데 요구되는 실력이나 기술, 틀리는 빈도 등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험생 여러분들로 하여금 흔히 시험에 임박할수록 중요한 문제보다 자주 틀리는 문제(난도 높은 문제)에 치중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를 구분하여 제시한 것입니다. 난이도보다 중요도가 훨씬 의미 있고 중요합니다. 시험에 임박할수록 자주 틀리는 문제(중요하지 않은 문제)보다 중요한 문제 위주로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