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지은이의 말
서론 - 인간이란 무엇인가? 1. 초월철학의 정신 2.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의 체계 1장 인식과 존재: 아는 나와 알려진 세계는 어떤 관계인가? 1. 문제제기 1)내(인식주관)가 어떻게 세계(인식객관)를 인식할 수 있는가? 2)죽돤적 표상과 객관적 대상, 인식과 존재는 어떤 관계인가? 3)객관적 대상세계에 대한 보편타당한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의 길 1)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인식근거로서의 주체의 강조 2)인간 인식의 구조: 선험적 종합판단은 어떻게 가능한가? 3)초월적 관념론의 존재론적 함의 2장 유한과 무한: 세계는 유한한가, 무한한가? 1. 문제제기 1)현상세계는 유한한가, 무한한가? 2)상대적 현상 너머의 절대는 무엇인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의 길 1)수학적 이율배반 2)심성론적 이율배반: 자연필연성과 자유의 관계 3)초월적 주체의 자유 3장 욕망과 자유: 도덕의 근거는 무엇인가? 1. 문제제기 1)인간의 본성: 도덕성과 타산성은 서로 다른 것인가? 2)보편적 도덕법칙은 어떻게 가능한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의 길 1)도덕의 근원: 선의지 2)도덕적 판단은 어떻게 가능한가? 3)자유와 의무: 인간 본성의 이원성 4장 덕과 행복: 덕복일치의 최고선은 실현가능한가? 1. 문제제기 1)도덕과 행복이 과연 일치할 수 있는가? 2)덕복일치의 가능조건은 무엇인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의 길 1)도덕의 지향점: 덕복일치의 최고선 2)덕복일치는 어떻게 실현가능한가? 3)요청설에 있어 도덕과 종교의 관계 5장 아름다움과 숭고함: 미적 판단은 무엇에 근거하는가? 1. 문제제기 1)미적 판단은 어떤 심성능력의 활동인가? 2)미적 판단은 주관적인가, 객관적인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이 길 1)보편적인 미적 판단은 어떻게 가능한가? 2)아름다움의 판단과 숭고함의 판단 3)인간 심성의 선험적 보편성 6장 기계와 유기체: 자연은 어떤 존재인가? 1. 문제제기 1)자연은 물질적 기계인가, 합목적적 작품인가? 2)작연물은 합목적적 수단인가, 자기 목적적 존재인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의 길 1)기계론과 목적론의 조화: 구성적 원리와 반성적 원리 2)내적 합목적성으로서의 자연목적: 유기체론 3)자연의 목적과 문화 7장 도덕과 법: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의 법은 어떤 관계인가? 1. 문제제기 1)도덕과 법은 어떤 관계인가? 2)개인과 사회는 어떤 관계인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의 길 1)인간성: 비사회적 사회성 2)법에 의거한 사회형성의 길 3)입헌공화국과 국제연맹 8장 인간과 역사: 인류의 역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문제제기 1)인류 사회에 시작과 끝이 있는가? 2)역사에서 개인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2. 칸트 이전 대답의 유형들 3. 칸트적 대답의 길 1)자연에서 자유로의 이행 2)자유의 실현과 이성의 계발: 시민사회 건설 3)인류의 진화 결론 - 칸트와 독일관념론 1. 칸트의 초월철학 1)초월철학의 의미 2)칸트 철학에서 남는 문제 2. 피히테의 절대자아의 철학 3. 쉘링의 동일철학 4. 헤겔의 절대정신의 철학 |
한자경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