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베스트셀러 오늘의책
지구의 속삭임
양장
베스트
천문학 57위 자연과학 top20 5주
가격
30,000
10 27,000
YES포인트?
1,5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관련 동영상

목차

서문 11
1장 후대를 위하여 - 칼 세이건 13
2장 보이저 레코드판의 탄생 배경 - 프랭크 도널드 드레이크 67
3장 지구의 사진들 - 존 롬버그 99
4장 보이저호의 인사말 - 린다 살츠먼 세이건 173
5장 지구의 소리들 - 앤 드루얀 203
6장 보이저호의 음악들 - 티머시 페리스 219
7장 보이저호의 외행성계 탐사 - 칼 세이건 283
에필로그 - 칼 세이건 305
감사의 말 313
부록 323
옮긴이의 말 351
찾아보기 357
사진 및 그림 저작권 363

저자 소개3

앤 드루얀

관심작가 알림신청
 

Ann Druyan

앤 드루얀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보이저 성간 메시지 프로젝트의 기획자였고, 2005년 러시아 ICBM으로 발사된 솔라 세일을 활용한 최초의 심우주 탐사 우주선의 프로그램 기획자였다. 작고한 남편 칼 세이건과 함께 1980년대에 「코스모스」 텔레비전 시리즈를 만들어서 에미 상과 피보디 상을 받았고, 공저로 6권의 책을 써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올렸다. 드루얀은 또 워너브러더스 제작, 조디 포스터 주연, 밥 저메키스 감독의 영화 「콘택트」를 공동 제작했다. 폭스 채널과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이 제작한 「코스모스: 스페이스 타임 오디세이(Cosmos: A Sp
앤 드루얀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보이저 성간 메시지 프로젝트의 기획자였고, 2005년 러시아 ICBM으로 발사된 솔라 세일을 활용한 최초의 심우주 탐사 우주선의 프로그램 기획자였다. 작고한 남편 칼 세이건과 함께 1980년대에 「코스모스」 텔레비전 시리즈를 만들어서 에미 상과 피보디 상을 받았고, 공저로 6권의 책을 써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올렸다. 드루얀은 또 워너브러더스 제작, 조디 포스터 주연, 밥 저메키스 감독의 영화 「콘택트」를 공동 제작했다.

폭스 채널과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이 제작한 「코스모스: 스페이스 타임 오디세이(Cosmos: A Space Time Odyssey)」의 대표 제작자, 감독, 공동 저술가로 2014년 피보디 상, 미국 제작자 조합상, 에미 상을 받았다. 에미 상 13개 부문에 오른 「코스모스: 스페이스 타임 오디세이」는 전 세계 181개국에서 상영되었다. 드루얀은 2020년 전 세계 동시 방영된 「코스모스: 가능한 세계들(Cosmos: Possible Worlds)」을 제작, 감독했으며, 이 다큐멘터리의 동명 원작을 책으로 펴냈다. 소행성 세이건(2709)과 드루얀(4970)은 결혼 반지 같은 궤도로 영원히 함께 태양을 돌고 있다.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는 20, 21, 24, 25장을 함께 썼다.

앤 드루얀의 다른 상품

칼 에드워드 세이건

관심작가 알림신청
 

Carl Edward Sagan

1934년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우크라이나 이민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인문학 학사, 물리학 석사,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탠퍼드 대학교 의과 대학에서 유전학 조교수, 하버드 대학교 천문학 조교수를 지냈다. 그 후 코넬 대학교의 행성 연구소 소장, 데이비드 던컨 천문학 및 우주 과학 교수,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의 특별 초빙 연구원, 세계 최대 우주 동호 단체인 행성 협회의 공동 설립자 겸 회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자문 위원으로 매리너, 보이저, 바이킹, 갈릴레오 호 등의 무인 우주 탐사 계획에 참여했고
1934년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우크라이나 이민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인문학 학사, 물리학 석사,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탠퍼드 대학교 의과 대학에서 유전학 조교수, 하버드 대학교 천문학 조교수를 지냈다. 그 후 코넬 대학교의 행성 연구소 소장, 데이비드 던컨 천문학 및 우주 과학 교수,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의 특별 초빙 연구원, 세계 최대 우주 동호 단체인 행성 협회의 공동 설립자 겸 회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자문 위원으로 매리너, 보이저, 바이킹, 갈릴레오 호 등의 무인 우주 탐사 계획에 참여했고 과학의 대중화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저술과 방송을 통해 세계적인 지성으로 주목받았다. 행성 탐사의 난제들을 해결한 공로와 핵전쟁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 핵무기 감축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NASA 공공 복지 훈장, NASA 아폴로 공로상, 미국 우주 항공 협회의 존 에프 케네디 우주 항공상, 탐험가 협회 75주년 기념상, 소련 우주 항공 연맹의 콘스탄틴 치올콥스키 훈장, 미국 천문학회의 마수르스키 상 그리고 1994년에는 미국 국립 과학원의 최고상인 공공 복지 훈장 등을 받았다.

그 외에도 과학, 문학, 교육, 환경 보호에 대한 공로로 미국 각지의 대학으로부터 명예 학위를 스물두 차례 받았다. 그의 저서 『코스모스(Cosmos)』(1980년)는 전 세계 출판계에서 최고의 베스트셀러로 평가받았고, 30여 권의 저서 중 『에덴의 용(The Dragons of Eden)』(1978년)은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외계 생물과의 교신을 다룬 소설 『콘택트(Contact)』(1985년)는 1997년에 영화로 상영되어 전 세계에 감동을 선사했다. 이 외에도 『우주의 지적 생명(Intelligent Life in the Universe)』(공저, 1966년), 『UFO, 과학적 논쟁(UFO’s: A Scientific Debate)』(공저, 1972년), 『코스믹 커넥션(The Cosmic Connection)』(1973년), 『화성과 인간의 마음(Mars and the Mind of Man)』(공저, 1973년), 『브로카의 뇌(Broca’s Brain)』(1974년), 『다른 세계들(Other Worlds)』(공저, 1975년), 『지구의 속삭임(Murmurs of Earth)』(공저, 1978년), 『혜성(Comet)』(공저, 1985년), 『아무도 생각하지 않은 길(A Path Where No Man Thought)』(공저, 1990년),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1994년),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The Demon Haunted World)』(공저, 1995년), 『에필로그(Billions & Billions)』(1997년, 사후 출간), 『과학적 경험의 다양성(The Varieties of Scientific Experience)』(2006년, 사후 출간) 등을 썼다. 평생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일구었던 그는 1996년 12월 20일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으로 시작된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칼 에드워드 세이건 인터뷰

칼 에드워드 세이건의 다른 상품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 환경 정책을 공부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 편집팀장을 지냈고, 지금은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제2회 롯데출판문화상 번역 부문상 수상,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로 제55회 한국출판문화상 번역 부문을 수상했다. 옮긴 책으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경험 수집가의 여행』 『비커밍』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면역에 관하여』 『틀리지 않는 법』 『지상 최대의 쇼』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등이 있다.

김명남의 다른 상품

저 자 소 개
기술 감독 : 프랭크 도널드 드레이크(Frank Donald Drake, 1930년~)
인간 문명과 교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를 산출하는 ‘드레이크 방정식’으로 유명한 천문학자다. 코넬 대학교 교수 및 NAIC 센터장, 국제 천문 연맹 생물 천문학 위원회 의장, NASA 항공 우주 기술부의 SETI 자문 위원회 회장, SETI 협회 이사회 초대 회장, 태평양 천문 학회 회장, 외계 행성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캠퍼스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부 명예 교수, 캘리포니아 주 마운틴 뷰에 있는 SETI 연구소의 명예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디자인 감독 : 존 롬버그(Jon Lomberg, 1948년~)
천문학, 특히 성간 통신과 은하 연구에 관심이 많은 예술가로 보이저 레코드판의 커버 디자인을 담당했다. 우리 은하를 그린 「은하수의 초상(Portrait of the Milky Way)」은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국립 항공 우주 박물관에 항공 우주 분야 영구 소장품으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은하수를 본뜬 세계 최초의 정원 ‘은하 정원(Galaxy Garden)’을 제작하기도 했다. 텔레비전 시리즈 「코스모스」의 수석 예술가로 프라임타임 에미상을 받았고, 칼 세이건과 공동 제작한 「핵겨울(Nuclear Winter)」로 버몬트 국제 영화제 다큐멘터리 비디오 부문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인사말 구성 작가 : 린다 살츠먼 세이건(Linda Salzman Sagan, 1940년~)
예술가, 영화 제작자, 사진 연구자이다. 파이오니어호의 금속판과 보이저호의 골든 레코드 제작에 참여했다. 칼 세이건의 두 번째 부인(1968년결혼, 1981년 이혼)이기도 하다. 센트럴 캐스팅 시어터 사의 연극 감독, 다큐멘터리인 「두 공 게임(Two Ball Games)」의 부감독으로 활동했고,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인 「노를 내려놓고(Knots Landing)」와 「보통 병원(General Hospital)」의 대본을 썼다.

프로듀서 : 티머시 페리스(Timothy Ferris, 1944년~)
과학 저술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특히 『우주의 모든 것(The Whole Shebang)』과 『은하 시대의 도래(Coming of Age in the Milky Way)』 두 권은 《뉴욕 타임스》에서 ‘20세기에 출판된 중요한 책들’로 선정되었다. 《워싱턴 포스트》는 그를 “그의 세대의 최고의 과학 저술가”라고 평했다. 뛰어난 학자들을 지원하는 구겐하임 펠로십에 선정된 바 있으며, 미국 물리학 협회의 과학 저술상, 미국 과학 진흥회상을 받았다.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6년 09월 02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384쪽 | 1172g | 213*248*28mm
ISBN13
9788983718082

출판사 리뷰

보이저 우주선이 태양권계면을 넘은 지 한참 지난 뒤에도, 그 까마득한 미래에도, 지구의 인사를 담은 두 장의 레코드판은 언제까지나 꿋꿋하게 우주를 항해할 것이다. ― 칼 세이건

인류의 꿈과 도전을 담아 미래로 띄운 지구의 편지

『지구의 속삭임』은 보이저 레코드판 제작 프로젝트를 이끈 6명의 관리자들이 제작 과정에서 겪은 일들과 느낀 점들을 에세이 형식으로 엮었다. 우주로 지구의 메시지를 보낸다는 발상은 재미있었지만, 실제 세계에서 구현하기는 쉽지 않았다. 실무자들과 조력자들은 영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기계를 빌리러 하루 종일 차로 가야 하는 거리를 수없이 오가고, 자료를 구하러 갔다가 쫓겨나거나 미친 사람 취급을 당하고, 고심해서 겨우 고른 남녀 나체 사진을 NASA에서 외설물이라며 빼 버리고, 인사말을 녹음하기로 약속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아 미처 싣지 못하는 사태를 겪어야만 했다. 그러나 그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대뜸 밤 11시에 전화를 걸어 조언을 얻고, 인도 전통 음악 「자트 카한 호」를 구하려고 인도인이 운영하는 가게의 탁자 밑을 뒤지고, 시장 사진을 찍기 위해 동네 슈퍼마켓에 몰려가 포즈를 취하고, 인간 입의 기능을 보여 주려고 좋아하지도 않는 참치 샌드위치를 먹거나 물을 들이켰다. 독자들은 보이저 골든 레코드에 얽힌 이 모든 이야기들을 『지구의 속삭임』에서 만날 수 있다.

1장 후대를 위하여 ― 칼 세이건(총 책임자)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코스모스(Cosmos)』의 저자인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최고 관리자를 맡아 프로젝트를 이끌면서 겪은 이야기다. NASA에서 준 기간은 6주에 불과했고, 자금과 인력은 넉넉지 않았으며, 정부 관료들은 답답하게 굴었지만, 어린 시절 뉴욕 만국 박람회에서의 타임캡슐을 회상하며 남다른 애정과 열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그의 이야기가 큰 감명을 준다.

2장 보이저 레코드판의 탄생 배경 ― 프랭크 도널드 드레이크(기술 감독)
SETI 창립 멤버 중 한 사람인 천문학자 프랭크 도널드 드레이크가 우주로 LP 레코드판을 보내게 된 사연을 들려준다. 그가 직접 참여한 파이오니어호 금속판이나 아레시보 전파 메시지 이야기도 함께 다뤄진다. 기술 감독으로서 보이저 메시지의 저장 매체 선정, 저장 용량 확보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그의 기지가 돋보인다.

3장 지구의 사진들 ― 존 롬버그(디자인 감독)
유명한 우주 그림 작가 존 롬버그가 보이저호에 실린 지구와 인간 문명의 사진 118장을 소개한다. 태양계 행성들, 인간의 생체 정보, 지구 생태계, 인간의 문화와 인공물 등을 보여 주는 사진들이 설명되어 있다. 외계인에게 인간 몸을 보여 줄 목적으로 채택했으나 NASA에 의해 거부된 남녀 누드 사진도 수록되었다. 118장 중 컬러로 실린 20장은 실제 컬러 화보로 감상할 수 있다.

4장 보이저호의 인사말 ― 린다 살츠먼 세이건(인사말 구성 작가)
칼 세이건의 둘째 부인이었던 컨텐츠 제작자 린다 살츠먼 세이건이 레코드판에 실린 55가지 인사말을 소개한다. 영어, 중국어 같이 널리 쓰이는 현대 언어뿐만 아니라 히타이트 어, 수메르 어 같은 중요한 고대 언어도 포함되었다. 한국어 인사말이 눈에 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들, 보이저호에 실린 인사말들과 각 언어의 화자, 뜻, 사용 인구 등이 표와 지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5장 지구의 소리들 ― 앤 드루얀(창작 감독)
칼 세이건의 마지막 부인으로 현재 칼 세이건 재단 이사장이자 코스모스 스튜디오 대표인 앤 드루얀이 보이저 레코드판 라벨의 문구이기도 한 ‘지구의 소리들(Sound of Earth)’ 19개를 소개한다. 우리 태양계의 초기 역사를 상징하는 어지러운 소용돌이 소리와 천둥 번개 소리를 비롯해 비바람 소리, 동물과 인간의 소리, 문명의 기계 소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6장 보이저호의 음악들 ― 티머시 페리스(프로듀서)
세계적인 과학 저술가 티머시 페리스가 레코드판에 기록된 90분 분량의 지구의 히트곡 27개를 소개한다. 그 안에는 모차르트나 바흐, 베토벤 등이 작곡한 서양 고전 음악부터 조지아 합창곡이나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노래, 중국 고금과 일본 샤쿠하치의 연주, 자바의 가믈란 등 여러 문화권의 다양한 음악들이 포함되어 있다.

보이저 레코드판의 수명은 10억 년으로 추산된다.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해 오늘날의 첨단 문명을 건설하기까지 고작 2만 년이 흘렀다는 사실을 떠올려 보면, 언제 누구에게 골든 레코드가 전달될지는 상상하기 어렵다. 그래서 골든 레코드는 최대한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제스처로 인식되어야 한다. 좀 쑥스럽지만 대량 학살 무기나 기아, 전쟁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빠진 것은 이 때문이다. 골든 레코드가 우리의 좋은 점만 보여 주는 불완전한 자화상이라고 비판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덕분에 인간은 존재의 유한성을 극복하고 시공을 초월해 미래와 소통할 수 있는 ‘영생’을 얻었다. 수십억 년이 지나 지구와 현생 인류가 사라진다 하더라도 우리의 목소리는 보이저호에 실려 영원히 코스모스에 울려 퍼질 것이다.

보이저호는 우리의 메아리와 이미지를 싣고서 우주를 여행하고 있으며, 머나먼 그 여정만큼 오랫동안 우리를 계속 살아 있게 할 것이다. ― 앤 드루얀

보이저 우주 탐사선이 전하는 성찰과 희망의 메시지

보이저호 항해 일지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 발사
1977년 9월 5일 보이저 1호 발사
1979년 3월 5일 보이저 1호 목성 근접 비행
1979년 7월 9일 보이저 2호 목성 근접 비행
1980년 11월 12일 보이저 1호 토성 관측 후 태양계 밖 탐사 시작
1981년 8월 25일 보이저 2호 토성 관측
1986년 1월 24일 보이저 2호 천왕성 최초 조우
1987년 보이저 2호 초신성 1987A 관측
1988년 보이저 2호 해왕성 첫 컬러 사진 촬영
1989년 8월 25일 보이저 2호 해왕성 관측 후 태양계 밖 탐사 시작
1990년 1월 1일 보이저 성간 탐사 사업 시작
1990년 2월 14일 보이저호 마지막 태양계 사진 촬영
1998년 2월 17일 보이저 1호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물로 기록
2004년 12월 15일 보이저 1호 말단 충격파 영역 통과
2007년 9월 5일 보이저 2호 말단 충격파 영역 통과
2012년 8월 25일 보이저 1호 성간 우주 진입

2012년 8월 25일, 보이저 1호가 태양계 밖 성간 우주 공간에 진입했다. 사실 보이저호가 다른 외계 문명을 만날 확률은 극히 낮다. 지난 반세기 동안 수많은 우주 탐사 사업이 있었지만 우리는 아직 태양계를 벗어나 본 적도, 다른 우주 생명체를 발견한 적도 없다. 게다가 성간 우주를 여행하는 진보된 외계 문명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들이 이 넓은 코스모스의 바다에서 부유하는 보이저호를 만날 가능성은 미미하다. 설사 우연히 보이저호를 발견해 수거했다 치더라도, 골든 레코드가 완전히 해독되거나 더 나아가 우리의 생각과 의도가 온전히 전달될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적어도 지구인들에게 골든 레코드는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골든 레코드는 근시안적 이기주의와 지역 배타주의에 매몰되기 쉬운 인류 문명이 자신의 취약성과 비합리성을 극복하고 은하 공동체의 일원으로 스스로를 인식하게 되었다는 공식적인 선언이다. 또 종교적 광신과 극단적 민족주의, 유치한 국가주의, 오만한 인간 중심주의로부터의 해방이자 우주적 고독을 미래에 대한 기대로 전환하려는 능동적인 몸짓이다. 안타깝게도 보이저호가 발사되었던 40년 전의 냉전 시대나 지금이나 인간 존재는 여전히 위태롭다. 우리는 새로운 가치관과 사고를 갖고 지속 가능한 지구 문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제 보이저 골든 레코드에 귀를 기울여 보자. 재잘거리는 생명의 소리와 아름다운 음악의 선율을 따라 미래의 인류와 지구에 대해 생각해 보자. 우리는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는 어디로 갈 것인가?

인용구

보이저 우주선이 태양권계면을 넘은 지 한참 지난 뒤에도, 그 까마득한 미래에도, 지구의 인사를 담은 두 장의 레코드판은 언제까지나 꿋꿋하게 우주를 항해할 것이다. ― 칼 세이건

보이저 레코드판은, 그것이 실려 있는 천상의 전차와 마찬가지로, 외계 문명과의 접촉이라는 우리의 거대한 지적, 기술적 목표로 한 걸음 더 다가간 결과이다. ― 프랭크 도널드 드레이크

보이저호는 우리의 메아리와 이미지를 싣고서 우주를 여행하고 있으며, 머나먼 그 여정만큼 오랫동안 우리를 계속 살아 있게 할 것이다. ― 앤 드루얀

우리는 우리 생물학의 화학적 속성에 대한 약간의 단서라도 보이저호를 발견한 종족의 과학자들에게는 대단히 흥미로운 정보가 되리라고 생각했다. ― 존 롬버그

우리는 우리 지구에서는 언어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이며, 우주의 다른 곳에 이야기를 나눌 줄 아는 문명이 있다면 그들과의 대화를 반기겠다고―더 나아가 즐기겠다고―말하는 것이다. ― 린다 살츠먼 세이건

레코드판은 이렇게 말하는 셈이다. 우리가 아무리 작은 존재라도, 우리 안에는 스스로가 이미 멸종했거나 못 알아볼 만큼 변했을 게 분명한 머나먼 미래에 미지의 발견자에게 닿고 싶어 할 만큼 크나큰 무언가가 있었답니다. ― 티머시 페리스

리뷰/한줄평14

리뷰

8.2 리뷰 총점

한줄평

9.6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27,000
1 2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