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로버트 단턴의 문화사 읽기
2008.12.20.
베스트
주제로 읽는 역사 top100 3주
가격
20,000
10 18,000
YES포인트?
1,0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사건의 흐름 속에서
1. 라무레트의 입맞춤
2. 폴란드가 폴란드이게 하라

제2부 미디어
3. 영화 : 당통과 이중적 의미
4. 텔레비전 : 어느 프로듀서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
5. 언론 : 인쇄에 적합한 뉴스라면 모두
편집국의 구조 / 부차적인 준거 집단과 대중 / 직업적 사회화 /
표준화와 틀에 맞추기
6. 출판 : 학술 작가의 생존 전략

제3부 인쇄된 언어
7. 책의 역사란 무엇인가
8. 잊혀진 문학의 중개인
9. 읽기의 역사를 향한 첫걸음

제4부 그 땅의 지형
10. 지성사와 문화사
11. 사상의 사회사
12. 망탈리테의 역사
떠돌이 눈 소송 / 프랑스 혁명 / 범죄 / 죽음 / 결론

제5부 좋은 이웃들
13. 역사와 지식사회학
14. 역사와 문학
15. 역사와 인류학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 소개2

로버트 단턴

관심작가 알림신청
 

Robert Darnton

1939년 미국 뉴욕 출생. 1954년부터 필립스 아카데미와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하고, 1960년부터 1964년까지 옥스퍼드 대학에 유학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4년부터 1년 동안 「뉴욕 타임스」 기자로 근무한 뒤, 1965년부터 하버드 대학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다. 1968년부터 프린스턴 대학에서 유럽사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그는 수많은 저서와 논문, 왕성한 학회활동과 학술지 편집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힌 『고양이 대학살』은 11개국에서 번역되었으며, 특히 1996년에 미국비평가협회상을 받은 『책과 혁명』은 5개국에서 번역되었다. ‘
1939년 미국 뉴욕 출생. 1954년부터 필립스 아카데미와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하고, 1960년부터 1964년까지 옥스퍼드 대학에 유학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4년부터 1년 동안 「뉴욕 타임스」 기자로 근무한 뒤, 1965년부터 하버드 대학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다. 1968년부터 프린스턴 대학에서 유럽사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그는 수많은 저서와 논문, 왕성한 학회활동과 학술지 편집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힌 『고양이 대학살』은 11개국에서 번역되었으며, 특히 1996년에 미국비평가협회상을 받은 『책과 혁명』은 5개국에서 번역되었다. ‘책의 역사가’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그는 2000년 미국역사학회장에 취임하면서 「초기 정보화 사회」(An Early Information Society)라는 명강연을 하기도 했다. 다른 저서로는 『앙시앵 레짐 시대의 문학적 지하세계』, 『조지 워싱턴의 틀니』, 『로버트 단턴의 문화사 읽기』,『시인을 체포하라』,『책과 혁명』 등이 있다.

로버트 단턴의 다른 상품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박사과정을 마쳤다.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세종대학교에서 영화와 역사를 주제로 강의했고 현재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영화, 역사』, 『역사 속의 매춘부들』, 『로버트 단턴의 문화사 읽기』, 『잭 구디의 역사 인류학 강의』, 『시인을 체포하라』, 『영화로 본 새로운 역사』(공역), 『대중의 국민화』(공역) 등이 있다.

김지혜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08년 12월 20일
쪽수, 무게, 크기
426쪽 | 623g | 153*224*30mm
ISBN13
9788987671895

출판사 리뷰

매체의 역사 : 책도 ‘만들어지고’ 신문기사도 ‘만들어진다’
“학제적이 되라. 분야들을 혼합하라. 대담해져라, 아니 그렇게 보이라. 수정주의자가 되라. 저속해져라, 아주 조금만. 제대로 된 제목을 골라라.” 이 책의 저자인 로버트 단턴(Robert Darnton, 1939~ )이 학술적인 책을 준비 중인 저자들에게 던지는 충고이다. 프린스턴 대학출판부에서 일한 경험(1년에 1000편의 글 가운데 120편을 책으로 낸다고 한다)을 토대로 어떻게 책을 써야 편집자 내지는 편집위원 눈에 쏙 들어오는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그는 비루한 논문 지상주의를 보여주는 수많은 글들을 직접 경험하면서 나름의 출판 원칙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는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에서 기자로 일한 경험을 솔직ㆍ담백하게 털어놓고 있다. 1964년 맨해튼 경찰 본부 맞은편 기자실 담벼락에 적혀 있던, 그가 가장 좋아했다는 문구인 “인쇄에 적합한 뉴스라면 모두”조차도 신문사의 내부 논리에 따라 취재한 기사가 이미 존재하는 양식을 쫓아 사건을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사실이라는 점을 밝힌다.

단턴이 이런 개인적 경험을 자세히 밝히는 것은 책이라는 매체와 신문기사라는 팩트조차도 그 나름의 어떤 내적 논리에 따라, 즉 수많은 전략과 다양한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진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이런 경험은 단턴이 생산과 유통과 소비의 회로를 거치며 물리적 실체와 정신적 과정이 끊임없이 교차하는 ‘책’이라는 지극히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대상의 연구를 통해 체득한 바의 직접적인 ‘내용’이다.

이 책은 우리에게도 『고양이 대학살』(조한욱 옮김, 문학과지성사, 1996)로 잘 알려진 신문화사의 대가 로버트 단턴 자신이 참여하고 그의 동시대인들이 유통하고 소비하는 ‘역사’를 이야기하는, 따라서 역사서나 역사비평서라기보다는 역사로 불리는 영지(領地)를 탐사한 일종의 인류학적 현지조사서와 같은 성격을 갖고 있다.

책의 역사를 중심으로 ‘문화사’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다
어떻게 보면 이 책은 외형적으로 무척 평범해 보인다. 『뉴욕 서평』에 실린 글들 위주로 묶여 있는 형식적 측면에서 더더욱 그러하다. 그렇지만 단턴은 그저 그럴 것 같은 이 책을 그럴 듯한 ‘품격의 역사 읽기’ 속으로 독자들을 안내하고 있다. 즉 일반 독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좀더 일상적인 차원에서 이야기를 시작(프랑스 혁명과 텔레비전에서의 ‘역사’)하고 워밍업이 끝났을 때 본격적인 ‘책의 역사’를 소개한다. 이 책의 핵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제4부와 제5부에서 그는 책의 역사를 가능하게 한 역사학 내분의 변화와 외부에서 영향을 준 인접 학문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이 그려내는 것은 대략 지성사에서 사회사와의 결합을 통해 문화사에 이르는 여정임을 밝힌다. 곧 엘리트 문화에 대한 질적 접근에서 시작해 그에 대한 사회적 접근을 거쳐 민중 문화에 대한 양적 접근으로, 다시 미시적인 차원에서 하층 문화에 질적으로 접근해가는, 그리고 최종적으로 두 문화가 서로 교차하는 공간으로서의 사회에 접근해가는 역사학의 여정을 그려내고 있다.

그래서일까. 그는 이 책에 네 가지 목적이 있다고 한다. 첫째, 현재의 저류(低流)로서 과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것이고, 둘째, 구체적인 사례 연구로 매체의 작용을 분석하는 것이며, 셋째, 매체 연구에 역사적 차원을 제공하는 특정한 하나의 학문 영역, 책의 역사를 개괄하는 것이며, 끝으로 그런 논의에서 인문학 내의 역사와 인접 학문들에 대한 폭넓은 논의로 향하고 있다고 한다.

역사학자로서 경험한, 솔직한 속내를 가감없이 드러내 보이다
로버트 단턴은 신문기자 경험을 갖고 있는 독특한 역사가이다. 거기에 더해 『고양이 대학살』은 그에게 학술적인 명성과 대중적인 사랑을 한 몸에 받게 한 역작이다. 비록 이 책이 그런 그의 명성과 명저와는 분명히 구별되지만, 역사학자로서 일반 독자와 ‘역사’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속내를 솔직히 드러낸 점에서 흥미로운 저작임에 틀림없다. 끝으로 역사가의 책무를 떠올리게 하는 그의 말을 들어보자. “미국인들은 2세기 전(前) 유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전혀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혁명은 인간의 조건을 재규정하고 역사의 경로를 바꾼 보기 드문 사건의 하나이다. 나로 말하자면, 프랑스 혁명을 전공한 몇 안 되는 미국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래서 나는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일반 시민들을 위해 글을 쓰고 프랑스 혁명의 무엇이 그렇게 혁명적인지를 설명하려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리뷰/한줄평1

리뷰

8.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8,000
1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