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Jeff Gottesfeld
피터 매카티의 다른 상품
신여명의 다른 상품
자유와 인권, 평화의 상징이 된 마로니에 나무
나무는 조용하고 얌전한 언니와 늘 무언가를 적는 동생의 모습, 창문을 커튼으로 가리고 가끔 커튼 틈 사이로 얼굴을 보이는 슬픈 안네의 모습, 전투기가 굉음을 지르며 날아가고 폭탄이 떨어지는 비참한 모습, 입을 맞추며 사랑을 속삭이는 안네와 남자아이의 모습, 촛불을 켜고 생일을 축하하는 행복한 가족의 모습, 그리고 군인들이 안네와 가족들을 잡아가던 고통스러운 날의 모습을 모두 기억하고 있다. 또한 시간이 흘러 전쟁이 끝나고 홀로 살아남아 은신처로 돌아와 안네의 일기와 글들을 보며 눈물을 흘리는 안네 아버지의 모습도 빠짐없이 지켜본다. 그러다가 안네 프랑크의 나무라고도 불리는 이 마로니에 나무는 안네가 살아 있으면 여든한 살이 되었을 2010년 죽고 만다. 마로니에 나무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나 안네 프랑크처럼 나무도 사람들 곁에서 지금도 계속 살아가고 있다. 안네 프랑크와 더불어 자유와 인권, 평화의 상징이 된 안네 프랑크 나무의 씨앗과 묘목이 세계 곳곳에 심어져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 안네 프랑크와 마로니에 나무의 이야기는 아이들에게 전쟁의 참혹함, 인권과 평화의 소중함 등을 일깨워주고 있다. 칼데콧 상 수상 작가의 아름다운 그림이 돋보이는 그림책 미국 뉴욕시각예술대학을 졸업하고, 어린이들을 위한 책의 저자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피터 매카티는 2003년에 『누렁이랑 야옹이(HONDO AND FABIAN)』로 칼데콧 아너 상을 받았다. 또한 2016년에는 『안네 프랑크와 마로니에 나무』로 ≪뉴욕 타임스≫ 최고의 그림책(The 2016 New York Times Best Illustrated Children’s Books) 상을 받았다. ≪뉴욕 타임스≫는 매카티의 갈색 잉크와 가느다란 선을 사용한 그림이 암울한 현실과 안네의 제한된 삶의 모습을 잘 표현했으며, 매우 강렬하고 가슴을 울린다고 평했다. 『안네의 일기』의 내용을 정리한 부록 수록 이 책에는 ‘안네 프랑크와 『안네의 일기』가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다. 『안네의 일기』는 너무나 유명하지만 제대로 읽어본 사람은 많지 않은 책 중 하나일 것이다. 『안네의 일기』는 출간된 지 70년이 지난 지금도,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는 기록으로, 자유와 인권의 상징으로, 반전·평화 교육의 단골 소재로 읽히고 있다. 그러나 『안네의 일기』를 나치에 대한 저항 문학이나 성에 눈뜨기 시작한 사춘기 소녀의 고백으로 한정해 버리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안네의 일기』는 깜짝 놀랄 정도로 솔직하고 당돌하고, 때론 어이없을 정도로 순수하게, 한 소녀가 갇혀 지내며 전쟁처럼 치열하게 치렀던 내면의 전투 상황을 그리고 있다. 특수한 환경에서 사춘기를 맞이한 안네는 풍부한 감수성과 남다른 관찰력으로 자신과 은신처 사람들을 내밀하게 관찰했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고스란히 남겼다. 일기장을 거울삼아, 여성으로서 자기 정체성에 눈뜨고 작가의 꿈을 키우는 주체적 성인으로 성장하게 되는 과정이 『안네의 일기』에 오롯이 담겨 있다. 일기 곳곳에서 독자들은 나치의 유대 인 탄압에 대한 두려움으로 떠는 안네와 함께, 어떠한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긍정적으로 삶의 의지를 불태우는 안네를 만날 수 있다. 또한 숨 막히는 하루하루를 보내면서도 유머와 재치를 잃지 않고 은신처 생활을 위대한 모험이라고 묘사하는 안네의 재능을 엿볼 수 있다. 『안네의 일기』는 2년여의 생활을 담은 기록이라 어린 독자들이 다 읽기에는 분량이 만만치 않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안네의 일기』의 주요 내용들을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축약, 정리해놓았다. 안네 프랑크 가족의 간략한 연보 1925년 오토 프랑크와 에디트 홀랜드 결혼. 1926년 첫째 딸 마르고트 프랑크 태어남. 1929년 6월 12일, 둘째 딸 안네 프랑크 태어남. 1933년 히틀러가 독일 총리가 되다. 안네의 가족, 1933~34년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이주. 1939년 9월, 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다. 1942년 6월 12일, 안네가 일기장을 선물로 받다. 7월 8일, 안네의 가족들이 은신처로 숨다. 7월 13일, 헤르만 반 펠스(일기장에는 판 단 씨) 가족 3명 은신처에 합류. 11월 16일, 치과 의사인 프리츠 페퍼(일기장에는 뒤셀 씨) 은신처에 합류. 1944년 8월 4일, 은신처가 발각되어 은신처 식구들 모두 잡혀가다. 1945년 1월 6일, 안네의 어머니(에디트 홀랜드) 아우슈비츠 비르케나우에서 사망함. 1945년 1~3월, 마르고트 프랑크와 안네 프랑크가 베르겐-벨젠 수용소에서 티푸스에 걸려 사망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