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개정판을 펴내며
제I부 인도 철학의 형성기 제1장 인도 철학의 성격 제2장 베다의 철학 사상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제4장 비바라문계 철학의 발흥 제5장 소승 부파 불교 철학의 발전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제II부 인도 철학의 체계적 발전기 제7장 상키야 철학과 요가 철학 제8장 승론 학파의 철학 제9장 정리 학파의 철학 제10장 대승불교 철학의 전개 제11장 중관 철학 제12장 후기 대승 경전들의 사상 제13장 유가행 철학 제14장 세친 이후의 유식 철학 제15장 자이나 철학의 체계 제16장 미맘사 학파의 철학 제17장 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III부 교파 철학 제18장 한정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19장 비슈누파의 베단타 철학 제20장 쉬바파의 철학 제IV부 현대 인도 사상 제21장 현대 인도 사상의 배경 제22장 현대 인도의 철학 사상 부록 1 인도 철학의 실재관 부록 2 인도인의 전통적 우주관 부록 3 인도 철학사 및 정치·문화사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
길희성의 다른 상품
인도의 전통적 철학은 생사윤회의 세계를 벗어나는 해탈을
최고의 가치 내지 관심사로 삼고 있으며, 인도 철학의 다양한 학파들의 차이도 주로 해탈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 이와 같은 역사의식의 결핍은 바라문교 내지 힌두교의 성격과 무관하지 않다. 모든 종교가 그렇지만 힌두교는 특히 무상하고 고통스러운 시간과 역사의 세계를 넘어 영원한 구원·해탈을 갈망하는 성격이 강하다. 인도인에게 구원을 역사와 물질계로부터 영혼·정신의 해방, 즉 해탈이었다. 인도의 전통적 철학은 생사윤회의 세계를 벗어나는 해탈을 최고의 가치 내지 관심사로 삼았다. 인도 철학의 다양한 학파들의 차이도 주로 해탈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 이처럼 역사성이 약한 인도 철학사는 개별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기보다는 학파별로 전개되었고, 개별 사상가나 경전 혹은 주석서들 가운데서 연도를 모르는 저술도 허다하다. 따라서 학파별로 철학 사상을 다루는 경우라 해도 주로 문헌을 중심으로 해서 학파들의 대략적 연대를 추측할 수밖에 없고, 문헌 중심이라 해도 철학자 개인이 처했던 역사적 상황이나 철학적 문제의식에 비추어 그들의 저서와 사상을 논하기보다는 그가 속한 학파의 권위가 되는 경(經, s?tra)에 대한 주석(bh?sya), 그리고 주석에 또 주석을 가한 복주(復註) 중심으로 사상의 발전을 개관하였다. 종교학계 거장 길희성 교수의 『인도 철학사』 개정판 이 책이 처음 나온 1980년대 초에 비해 우리 학계의 글쓰기 스타일이 많이 바뀌었고 특히 요즈음 젊은 세대는 대부분 한자를 전혀 배우지 않았거나 거의 읽지 못하는 실정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 작업을 하였다. 문장 구조를 가능한 단순화했으며,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한자를 모두 없애고 처음 혹은 한참 지나서 잊을 만한 경우에만 한자를 병기했다. 또한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연구자의 편의를 위해 인명, 저서명, 개념어 등에는 산스크리트어를 병기했다. 아울러 일부 명료하지 못한 내용을 바로잡고 보충하는 작업을 했다. 더불어 참고문헌 목록에 우리나라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의 대표적인 단행본 연구서들을 추가했다. |